DOI QR코드

DOI QR Code

Contingent Interactivity of New Media Contents: Film Re-cut and Game Modding

뉴미디어 콘텐츠의 우연적 상호작용성: 영화 리컷과 게임 모딩

  • 김무규 (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9.05.15
  • Accepted : 2019.06.17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gnize and embody the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interactivity. Among the many types of interactivity already proposed, this paper sheds light especially on the so-called contingent interactivity. The contingency means a condition in which a particular performance or selection of a subject is considered neither necessary nor conclusive, and also the potential for various activities of this subject. The contingent interaction comes into being when the involvements of users in dealing with a message or content are experimental or creative. The interaction does not orient toward the completion of content or the immersion to a particular reality. Rather, the results of a user's contingent performance are not the finalized content and have characteristics that lead to the continuous modification. In order to embody this meaning of contingent interactivity, the paper examined the two example, the film re-cut and game modding. In both cases, it is comprehensive that the user of these two new media activities lies in the contingent situ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뉴미디어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활용되는 상호작용성 개념의 폭넓은 함의를 인지하고 그것을 구체화시키는 것이다. 이미 제안된 여러 상호작용성의 유형들을 참고하여 우연적인 상호작용성(contingent interactivity)을 고려하였다. 우연성이란 수행이나 선택이 필연적이거나 확정적인 것으로 간주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또한 주체의 활동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잠재성을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연적 상호작용이란 메시지나 콘텐츠를 대하는 사용자들의 관여가 필연적인 것이 아니고 실험적이거나 창의적인 경우를 말한다. 상호작용은 콘텐츠의 완성이나 특정한 현실의 몰입을 지향하지 않는다. 오히려 우연적 수행의 결과는 최종적 콘텐츠가 아니며 또 다른 사용자들의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이렇게 개념화된 우연적 상호작용성의 의미를 영화 리컷과 게임 모딩의 두 가지 사례로 고찰하였다. 두 가지 경우 모두 상호작용을 행하는 주체가 우연적인 상황에 놓여있으며, 아울러 리컷이나 모딩을 통해 개별적인 콘텐츠들이 지속적으로 창출되도록 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병원, "VR영화에 대한 미학적 고찰," BIT Forum, 영화트랜스미디어 연구소 주최, 2019.
  2. Y Liu and L. J. Shrum, "What is Interactivity and Is It always Such a Good Thing?," J. of Advertising, Vol.31, No.4, pp.53-64, 2002. https://doi.org/10.1080/00913367.2002.10673685
  3. J. Steuer, "Defining Virtual Reality," J. of Communication, Vol.42, No.4, pp.73-93, 1992.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2.tb00812.x
  4. C. Boucko, "Interactivity and Immersion in a Media-Based Performance," Vol.11, No.1, pp.254-269, 2014.
  5. S. Dixon, "Digital Performance," MIT, 2007.
  6. 김용영, 진석형, 김미애, "상호작용성 관점의 온라인게임분석, WOW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3486-3494, 2010. https://doi.org/10.5762/KAIS.2010.11.9.3486
  7. C. B. Grant, "Destabilizing Social Communication Theory," Theory, Culture & Society, Vol.20, No.6, pp.95-119, 2003. https://doi.org/10.1177/0263276403206005
  8. 김용재, "게임 퀴스트 스토리텔링 구조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pp.69-7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0.069
  9. J. Speckenbach, "Match Frame and Jump Cut," http://www.keyframe.org/txt/matchframe. 2019.5.1.
  10. N. Luhmann, Beobactungen der Moderne, Westdeutscher Verlag, p.96, 1992.
  11. 울리히 벡, 정치의 재창조, 성찰적 근대화 이론을 향하여, 성찰적 근대화, p2, 1998.
  12. M. Makropoulos, "Kontingenz: Zur Bestimm einer moderner Zentralkategorie," Eigentlich konnte alles auch anders sein, Koln: Konig, p.13, 1998,
  13. 김지훈, "우발성의 테크놀로지들," 문학과영상, 제12권, 제1호, pp.47-85, 2011.
  14. L. Gao, P. Wang, J. Song, Z. Huang, J, Shao, H. T. Sheng, "Event Video Mashup: From Hundreds of Videos to Minutes of Skeleton," Proceedings of the 31. AAAI Conference on A.I., pp.1323-1330, 2017.
  15. D. Cardillo, A. Rapp, S. Benini, L. Console, R. Simeoni, E. Guercio, R. Leonardi, "The Art of Video MashUp: Supporting Creative Users with an Innovative and Smart Application," Multimed Tools Appl. Vol.53, pp.1-23, pp.16-18, 2011. https://doi.org/10.1007/s11042-009-0449-7
  16. 윤혜영, "디지털 게임 모드하기의 문화적 의미 고찰," 인문콘텐츠, 제40호, pp.41-60, pp.44-45, 2016.
  17. 박근서, "모드하기의 문화적 실천에 대한 연구: <엘더스크롤 IV: 오블리비언>의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55호, pp.100-118, p.108, 2011.
  18. 심호빈, 빌렘 플루서의 디지털 상상론: 컴퓨터 게임의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
  19. 레프 마노비치, 뉴미디어의 언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