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ubjectivity in Capstone Design Subject with Teaming Teaching -The case of Culinary Art Major Students in Y College-

팀티칭 교수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과목의 주관적 인식연구 -Y대학 식음료조리계열 조리전공자를 중심으로-

  • 신승훈 (영남이공대학교 식음료조리계열) ;
  • 김찬우 (영남이공대학교 식음료조리계열)
  • Received : 2019.03.26
  • Accepted : 2019.05.14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ulinary arts major students' subjective perception toward capstone design subject which was thought by team teaching method through applying Q methodology. Generating future suggestions of the operation of the subject and finding common structure of students's responses are the main aim of this study. From the typological analysis, four types of common structures were found. There were Differentiation Curriculum Satisfaction Type(Type 1, N=14), Restaurant business plan Type(Type 2, N=5), Prefer franchise education Type(Type 3, N=3), Prefer menu development lesson Type(Type 4, N=3) and each type showed its own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he future research, additional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study will be applied for adjusting and developing more sophisticate questions of Q methodology and analysing process for gathering diverse responses and specific analysis.

본 연구는 팀티칭 교수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식음료조리계열 조리전공자를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팀티칭교수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이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공통적인 구조를 도출하여, 유형들 간의 특성을 기술하고 분석 한 후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유형분석 결과, 총 4가지로 도출되었다. 제 1유형(N=14) : 차별화된 교육과정 만족 형 (Differentiation Curriculum Satisfaction Type), 제 2유형(N=5): 외식창업 계획 형 (Restaurant Business Plan Type), 제 3유형(N=3): 외식프랜차이즈 교육 선호 형(Prefer Franchise Education Type), 제 4유형(N=3): 메뉴개발 수업 선호 형(Prefer menu Development Lesson Type)으로 각각의 유형마다 다양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팀티칭을 적용한 교육과정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헌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세밀한 Q방법론적인 질문과 분석기법을 보완하여,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Keywords

CCTHCV_2019_v19n6_450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각 진술문의 긍정 및 부정의견 점수 분포방식

표 1. 각 주별 수업의 진행과 운영

CCTHCV_2019_v19n6_450_t0001.png 이미지

표 2. Q 진술문

CCTHCV_2019_v19n6_450_t0002.png 이미지

표 3. 분포별 점수 및 진술문 수

CCTHCV_2019_v19n6_450_t0003.png 이미지

표 4. P 표본의 특성과 인자가중치

CCTHCV_2019_v19n6_450_t0004.png 이미지

표 5. 유형별 아이겐 값(eigen value)과 변량

CCTHCV_2019_v19n6_450_t0005.png 이미지

표 6. 전체 유형별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6_450_t0006.png 이미지

표 7. 제 1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9_v19n6_450_t0007.png 이미지

표 8. 제 1유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진술문

CCTHCV_2019_v19n6_450_t0008.png 이미지

표 9. 제 2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9_v19n6_450_t0009.png 이미지

표 10. 2유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진술문

CCTHCV_2019_v19n6_450_t0010.png 이미지

표 11. 3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9_v19n6_450_t0011.png 이미지

표 12. 제 3유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진술문

CCTHCV_2019_v19n6_450_t0012.png 이미지

표 13. 제 4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9_v19n6_450_t0013.png 이미지

표 14. 제 4유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진술문

CCTHCV_2019_v19n6_450_t0014.png 이미지

표 15. 일치하는 항목과 평균 표준점수 (Consensus Items And Average Z-Scores)

CCTHCV_2019_v19n6_450_t0015.png 이미지

References

  1. 한순희,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공학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7권, 제4호, pp.519-527, 2017.
  2. 변문경,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서 학생들의 주제 결정패턴 탐색," 한국공학교육학회, 제21권, 제1호, pp.14-26, 2018.
  3. 김정연, 태진미,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비공학 및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제12권, 제1호, pp.109-138, 2018.
  4. 임정훈, 진성희, 신수봉, 융합교육을 위한 팀티칭 교수법, 인하대학교 공학교육혁신연구센터, 2016.
  5. 김나영, 이소영, "공과대학 캡스톤 디자인의 학습성과에 대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공학교육학회, 제20권, 제5호, pp.34-42, 2017.
  6. 이희원, 김성환, 박근, 김정엽, "공학인증 :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기반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제13권, 제6호, pp.143-151, 2010.
  7. 태진미, 고일주, 박진호, 김정연, "비공학계열 대학생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제11권, 제3호, pp.109-130, 2017.
  8. 서연화, 심현애,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위한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제17권, 제2호, pp.185-196, 2016.
  9. 윤석범, 장은영, "창의적 캡스톤 디자인 교육 방법 개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5권, 제4호, pp.15-20, 2014.
  10. 이태식, 전영준, 이동욱, 장병철, "공학교육평가 : 공학대학 캡스톤 디자인(창의적 공학 설계)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학습 만족도 조사," 한국공학교육학회, 제12권, 제2호, pp.36-50, 2009.
  11. 장남경, "산학협동 캡스톤 디자인을 통한 패션디자인교육 - 지속가능한 패션을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제15권, 제1호, pp.1-14, 2015.
  12. 김현주, "대학 교과 과정에서의 산학협력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 사례 제안과 수업 평가 체계 디자인 - 디지털 날염을 활용한 가족형 라이프스타일 패션제품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제18권, 제2호, pp.125-142, 2017.
  13. 차유미, 김연경, "패션 캡스톤디자인의 선순환 시스템 운영모델 설계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제20권, 제2호, pp.165-180, 2016.
  14. 장훈종, "시각디자인 분야의 글로벌 캡스톤 디자인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제47권, pp.255-264, 2016.
  15. 이하원, 신원애,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언어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제27권, 제3호, pp.355-366, 2018.
  16. 오성록,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융합적인 영어번역학습," (사)아시아문화학술원, 제8권, 제1호, pp.1-16, 2017.
  17. 김지윤, 이태욱, "예비 정보교사를 위한 교과교육영역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제22권, 제2호, pp.151-154, 2018.
  18. 성은모, 오현석, 김윤영, "대학교육에서 산업형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탐구," 교육방법연구, 제25권, 제3호, pp.543-580, 2013. https://doi.org/10.17927/TKJEMS.2013.25.3.543
  19. 정상녀, "팀티칭 현장 수업 장학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제75권, pp.19-41, 2013.
  20. 김효정, 임자영, 이대균,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영아반 경력교사에게 주는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제16권, 제4호, pp.521-551, 2011.
  21. 이영미, "팀티칭 상황에서 유치원 초임 부담임 교사들이 인식한 어려움 탐색," 한국보육학회, 제14권, 제3호, pp.207-227, 2014.
  22. 김송은, 신은수, 김현진, "개인변인과 기관변인에 따른 팀티칭학급 교사의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제18권, 제6호, pp.1-21, 2013.
  23. 김미영, "교양영어 및 팀티칭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제74권, pp.105-126, 2013.
  24. 정인성, 이옥화, "대학의 웹 기반 가상수업 팀티칭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제7권, 제2호, pp.27-50, 2001.
  25. B. C. Collins, M. L. Hemmeter, J. W. Schuster, and K. B. Stevens, "Using team teaching to deliver coursework via distance learning technlogy,"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Vol.19, No.1, pp.49-58, 1996. https://doi.org/10.1177/088840649601900105
  26. 윤선민, 홍장선, 김명희, "음식 TV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들의 주관성 연구: 프로그램 기획의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제18권, 제1호, pp.651-664,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1.651
  27. 김흥규, "Q 방법론의 유용성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제1권, pp.15-33, 1996.
  28. 이제영, "건강 공익광고의 수용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홍보학과 전공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제16권, 제9호, pp.85-9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9.085
  29. 김동수, 이제영,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고객에 관한 음식 선호도 주관성 연구 : 지역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505-51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505
  30. 김홍규,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p.45,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