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신옥.방혜선(2010).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비교연구 : 충북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49, 287-310.
- 고대선.원영신(2005). 노인주거복지시설의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의 의미. 한국사회체육학회, 24, 413-424.
- 고윤순.이정숙(2009). 노인대학에 참여하는 농촌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능력, 여가만족 및 성공적 노화. 노인간호학회지, 11(2), 226-235.
- 곽인숙(2011). 노인의 자녀와의 상호간 지원 교환이 성공적인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107-127.
- 김동배(2008).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0(1), 211-231.
- 김미령(2008).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28(1), 33-48.
- 김미혜.신경림(2005).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2), 35-52.
- 김재중(2008).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 김정순(1988).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정영.한상훈(2013). 노인의 평생학습 참여도가 심리적 안녕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논총, 34(2),179-208.
- 김호정.허전(2008). 한글 SPSSWIN 14.0 통계 분석 및 해설. 서울: 삼영사.
- 김희영(2013). 농촌지역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사회 심리적 특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희주.주경희(2008). 한국적 노후 성공적 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1(13), 125-158.
- 노준희(2014). 농촌거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모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경희(2006).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은희(2015).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을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주희(2017). 장기요양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부양부담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자원의 조절효과-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중심으로.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121-139.
- 박현식(2008).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차별경험이 사기(morale)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1), 127-139.
- 백은미(2013). 노인의 사회적 여가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백지은(2008). 한국노인의 전통적 가치관에 따른 성공적 노화인식 차이. 한국노년학, 28, 227-249.
- 보건복지부.사회보장정보원(2018). http://www.bokjiro.go.kr.
- 서울시복지재단(2018). http://www.welfare.seoul.kr.
- 성혜영.유정헌(2002).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2), 75-93.
- 송혜자(2009). 노인의 역할수행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신유진(2009). 노인의 비공식적 지지망 기능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학진.전상남(2009). 노인의 이미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26, 165-187.
- 오인근.오영삼.김명일(2009). 저소득 노인들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무망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관 서비스이용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14(1), 111-130.
- 유계숙.김제희(2017). 효도계약과 불효자 방지법안에 대한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의 태도. 보건사회연구, 37(1), 216-252.
- 유호신(2001). 전국 법정복지대상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치매와의 상관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1(1), 139-149. https://doi.org/10.4040/jkan.2001.31.1.139
- 윤정원.엄기욱(2015). 여성노인의 긍정적 사회관계망 기능이 사회적관계망 접촉빈도와 성공적 노화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 노인복지연구, 69, 171-192.
- 윤지원(2015). 노인의 여가활동 및 여가만족과 성공적 노화 인식의 관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현숙. 유희정(2006).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31.
- 이미나(2016).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민주(2013).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주환(2014). 노후 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 대한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혜준(2017). 도시 초고령 노인의 친구관계의 경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상남.신학진(2009). 주관적 건강 및 노인차별경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9(4), 1383-1396.
- 정병은.이기홍(2009). 노인이 인식하는 사회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1327-1340.
- 정여진.안정신(2010).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2), 535-550.
- 정혜윤.정혜민(2016). 농촌노인의 지각된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지지, 건강증진 행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4), 2167-2181.
- 지승훈(2010). 노인의 여가활동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차경숙(2015).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최해경(2013). 노인의 성공적 노화수준과 예측요인. 사회과학연구, 24(1), 193-217.
- 통계청(2018). http://www.index.go.kr.
- 홍성희 (2016). 노인의 삶의 질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 89-108.
- 홍성희.곽인숙(2012). 베이비부머세대의 성공적 노화 :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69-92.
- 홍현방(2001). 성공적 노화 개념정의를 위한 문헌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홍현방(2002). 성공적인 노화와 노인의 종교성 관계 연구. 한국노년학, 22(3), 245-259.
- 홍현방(2005). 생산활동 수준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9, 203-235.
- Atchley, R. C.(2000). Social forces and aging. Belmont. CA: Wadsworth Thompson Learning.
- Baltes, P. B. & Baltes, M. M.(1991). Successful ageing perspective from the behavior sci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Ell, K. (1984). Social networks,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 A review. The Social Service Review, 58(1), 133-149. https://doi.org/10.1086/644168
- Mitchell, B. A.(1995). Successful aging: Integrating contemporary ideas, research finding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 Rowe, J. W. & Kahn, R. L.(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 433-440.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