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경희.송리라(2016). 민주주의 의식과 젠더 의식의 군집 유형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세계가치관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16(2), 3-39.
- 김기헌.배상률.성재민(2018). 청년 핵심정책 대상별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 청년 니트(NEET).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김문길.이주미(2017). 청년 고용 및 빈곤의 국제적 조망과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244, 20-37.
- 김영빈.김동규.김소현.박가열.오민흥.장현진.정윤경(2017). 직업세계와 직업정보 탐색지도.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 김정운.박정열.손영미.장훈(2005).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여가학연구, 2(3), 29-48.
- 김지경(2018). 청년세대 삶의 인식 수준과 행복도의 영향요인. 한국사회정책, 25(3), 209-245. https://doi.org/10.17000/KSPR.25.3.201809.209
- 김진욱.고은주(2015). 시간압박, 누가 얼마나 경험하는가?: 한국 기혼부부의 수면, 개인관리, 여가시간 결핍 결정요인 분석. 사회복지정책, 42(2), 135-161.
- 김형주.임지연.유설희(2018). 청년 사회.경제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III-기초분석보고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도남희(2018). 아동의 하루 생활시간 분석을 통한 아동의 시간 활용 제안. 이슈페이퍼.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박정현.이은복(2015). 글로벌 5개국 20대의 가치관 비교. LGERI 리포트. LG경제연구원. http://www.lgeri.com/report/view.do?idx=18835
- 서문기(2015). 잘 사는 국가는 행복한가?:삶의 질에 관한 국가간 비교분석. 한국사회학, 49(1), 111-137.
- 손동현.홍경남.백송이(2013). 한국 대학생의 가치관 변화에 관한 조사 연구. 서울: 한국교양기초교육원
- 손영미.박정열(2015).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조직, 지역사회 변인의 영향력에 대한 국가비교연구: 한국, 일본, 영국 기혼여성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51-74.
- 손헌일.권혁기(2018). 일과 삶의 균형과 조직 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3(5), 77-87. https://doi.org/10.9723/JKSIIS.2018.23.5.077
- 신경아(2009). 일-삶의 균형(work-life balance)과 노동시간.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16, 176-212.
- 양지명.정영금(2018). 청년 취업 1인가구의 일과 여가의 균형에 대한 연구, 2018년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73.
- 유홍준.신인철.정태인(2018). 일.여가의 변화와 행복 복지. 파주: 집문당.
- 오정아.이은경(2013). GGobi를 이용한 한중일 청소년의 가치관에 관한 요인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2), 769-783.
- 이규용(2015). 청년층 일자리정책의 방향 모색. 노동리뷰, 124, 15-30.
- 이수현(2017). 청년 여가정책의 필요성 연구 : 청년세대의 여가자원 분포 특성 검토를 통하여. 여가학연구, 15(3), 71-93.
- 이명숙(2015). 청년세대의 행복감과 정서적 안녕에 미치는 건강, 사회적지지, 삶의 기대요인의 상대적 영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22(7), 179-199.
- 이승윤.이정아.백승호(2016). 한국의 불안정 청년노동시장과 청년 기본소득 정책안. 비판사회정책, 52, 365-405.
- 이재완.강혜진(2018). 워라밸과 삶의 만족 - 세대간 차이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2(3), 267-291.
- 이혜정(2012). 다수준 분석을 통한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연구 :세대별 일의 가치와 제도 및 지원 분위기의 효과.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혜정.유규창(2013). Y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 노동정책연구, 13(4), 1-31. https://doi.org/10.22914/JLP.2013.13.4.001
- 전지원(2017). 시간균형 관점에서 본 한국인의 잠: 다국적시간연구(MTUS) 자료를 활용 한 생애 주기별 수면시간 국제 비교 연구. 통계연구, 22(2), 26-52. https://doi.org/10.22886/JKOS.2017.22.2.26
- 정선영(2016).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개인 가치관의 영향력: 한국, 중국, 일본의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대회발표집, 69-82.
- 정해식.김성아(2015). OECD BLI 지표를 통해 본 한국의 삶의 질. 보건복지포럼 227, 75-88.
- 한승헌.임다혜.강민아(2017). 한국 청년의 삶의 불안정성(precariousness)과 행복. 한국사회정책, 24(2), 87-126. https://doi.org/10.17000/KSPR.24.2.201706.87
- Aboim, S. (2010). Family and gender values in contemporary Europe: The attitudinal gender gap from a cross - national perspective. Portuguese Journal of Social Science, 9(1), 33-58. https://doi.org/10.1386/pjss.9.1.33_1
- Calnan, S. (2005). Changing the way we work: Towards more flexible form of employment.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European Focus. October 2005.
- Fegg, M. J., Wasner, M., Neudert, C., & Borasio, G. D.(2005). Personal values and individual quality of life in palliative care patient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30(2), 154-159.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05.02.012
- Fischer, R., & Boer, D. (2016). Values: The dynamic nexus between biology, ecology and culture, Current Opinion in Psychology, 8, 155-160. https://doi.org/10.1016/j.copsyc.2015.12.009
- Goldin, N., Patel, P., & Perry, K. (2014). The Global Youth Wellbeing Index. CSIS & International Youth Foundation.
- Gropel, P., & Kuhl, J. (2009). Work-life bal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need fulfilment.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100, 365-375. https://doi.org/10.1348/000712608X337797
- Hakansson C. & Matuska, K. (2010). How Life Balance is Perceived by Swedish Women Recovering from a Stress-related Disorder: A Validation of the Life Balance Model.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7(2), 112-119. https://doi.org/10.1080/14427591.2010.9686682
- Inglehart, R., & Welzel, C. (2014). Cultural Map. http://www.worldvaluessurvey.org/WVS Contents.jsp
- Leslie, L. M., King, E. B., & Clair, J. A. (2019). Work-Life Ideologies: The Contextual Basis and Consequences of Beliefs about Work and Lif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4(1), 72-98. https://doi.org/10.5465/amr.2016.0410
- OECD (2016), Society at a Glance 2016: OECD Social Indicators, OECD Publishing, Paris.
- OECD (2017). How's Life? 2017: Measuring Well-being, OECD Publishing, Paris. http://dx.doi.org/10.1787/how_life-2017-en.
- Schwartz, S. H. (2012). An Overview of the Schwartz Theory of Basic Values. Online Readings in Psychology and Culture, 2(1). https://doi.org/10.9707/2307-0919.1116
- Sirgy, M. J. & Wu, J. (2009). The pleasant life, the engaged life and the meaningful life: What about the balanced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0, 183-196. https://doi.org/10.1007/s10902-007-9074-1
- Tausing, M., & Fenwick, R. (2001). Unbinding time: Alternate work-schedules and work-life balance.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22(2), 101-119. https://doi.org/10.1023/A:1016626028720
- Twenge, J. M., Campbell, W. K., & Freeman, E. C. (2012). Generational differences in young adults' life goals, concern for others, and civic orientation, 1966-2009.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2(5), 1045. https://doi.org/10.1037/a0027408
- Twenge, J. M. (2013). The evidence for generation me and against generation we. Emerging Adulthood, 1(1), 11-16. https://doi.org/10.1177/2167696812466548
- 국회뉴스ON (2018.06.01.). 고심 끝에 내놓은 청년기본법, 어떤 내용 담길까. http://www.naon.go.kr/content/html/2018/06/01/71814622-f5ae-4c0a-9c46-d1930c589cfc.html
- 데일리안 (2018.05.28.). 세대마다 직장 선택기준 달라도..."점심 회식은 좋아요". https://www.dailian.co.kr/news/view/714651
- 메디칼업저버 (2019.03.16.). 우리나라 청소년, 수면 부족해 정신건강 위험하다.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414
- 에듀동아 (2018.06.19.). 좋은 일자리 기준, '일과 삶의 균형' > '연봉'.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180619093131468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