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s among Integrative Creativity,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Benefits for Making Scientific Humor of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의 통합 창의성, 과학 유머 창의성,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의 관계

  • Received : 2019.02.27
  • Accepted : 2019.03.22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integrative creativity',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benefits for making scientific humor' of elementary students. To do this, five graders (n=42) at an elementary school and five graders (n=38) at a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in Seoul were selected. Tests for 'integrative creativity',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benefits for making scientific humor' were then administered.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cores for some subcategories of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ose for 'integrative creativity', especially for 'creative motivation (e.g., curiosity and playfulness)' and 'creative potency (e.g., knowledge, imagination, sensitivity, flexibility, and fluency)' more than 'creative attitude'. The subcategories of 'integrated creativity' tha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were somewhat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categories of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The scores for all subcategories of 'perception of educational benefits for making scientific humor'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for almost all subcategories of 'integrative creativity' and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Keywords

Table 1. Procedures for making scientific humor

CDRHBB_2019_v38n2_191_t0001.png 이미지

Table 2. Composition and reliability coefficients of integrative creativity test

CDRHBB_2019_v38n2_191_t0002.png 이미지

Table 3. Examples of analysis for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CDRHBB_2019_v38n2_191_t0003.png 이미지

Table 6.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and perception of educational benefits for making scientific humor

CDRHBB_2019_v38n2_191_t0006.png 이미지

Table 4.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integrative creativity and creativity in scientific humor

CDRHBB_2019_v38n2_191_t0007.png 이미지

Table 5.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integrative creativity and perception of educational benefits for making scientific humor

CDRHBB_2019_v38n2_191_t0008.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경희(2015). 현직 교사들이 개발한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기반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 분석. 교육연구, 64, 75-93.
  2. 강정란, 유미현(2016).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유머감각,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 비교 및 관계 분석. 과학영재교육, 8(1), 1-13.
  3.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9).
  4. 교육부(2017). 영재교육진흥법. 교육부 고시 법률 제15231호.
  5. 구현정(2017).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 유머 교육을 위한 시론. 한말연구학회지, 46, 5-30.
  6. 김송이(2009). 창의성의 구성 요소에 대한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경빈, 류지영, 방승진, 육근철, 윤여홍, 박인호, 이미순, 이선영, 이재호, 전미란, 전영석, 조석희, 진석언(2014). 한눈에 보는 영재교육. 서울: 학지사.
  8. 박병기, 강현숙(2006). 자기보고형 통합 창의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0(1), 155-177.
  9.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10. 박숙희, 유경훈(2014). 고등학생의 유머감각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13(2), 329-342.
  11. 박지영, 이길재, 김성하, 김희백(2005).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모형의 고안과 국내의 과학영재를 위한 생물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생물교육, 33(1), 122-131.
  12. 박진형(2013). 과학영재 학생의 리더십기술과 유머감각 및 유머스타일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문승(2010). 초등학생 영재 판별을 위한 창의적 성향 검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경학, 박종원(2012). 교사 연수를 통한 과제 수행형 과학적 창의성 평가도구(TATSC) 현장 활용 가능성 탐색. 교사교육연구, 51(1), 1-15.
  15. 이병일(2015). 정서지능과 유머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5(1), 35-47.
  16. 이봉우, 손정우(2017).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성과분석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발전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5), 775-785.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5.775
  17.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18. 이선영(2014). 영재성과 창의성 개념 간의 관계를 통해서 본 영재성과 창의성. 영재와 영재교육, 13(1), 107-127.
  19. 이수진(2015). 창의적 산출물 평가에서 평정방법과 척도, 교사-학생 및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평가 결과의 특성.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2009). 최신영재교육학개론(2판). 서울: 학지사.
  21. 이은주(2010).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성과 유머감각 및 유머스타일 비교.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지영, 강훈식(2015).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과학상상화 특성 및 과학상상화 그리기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5), 817-827.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5.0817
  23. 이지윤, 강훈식(2018).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이 만든 과학유머의 유형 및 과학 유머 만들기에 대한 인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37(3), 267-284.
  24. 이현주, 채유정(2018). 중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고양식 유형에 따른 학습흥미 및 자기조절학습의 차이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1), 57-68.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1.57
  25.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26. 정현철, 신윤주, 조선희(2013).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 현황 분석: 심화반 교육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3(2), 215-236. https://doi.org/10.9722/JGTE.2013.23.2.215
  27. 지성구, 송윤희(2012). 대학수업에서 교수 유머의 분석. 글로벌경영학회지, 9(4), 65-84.
  28. 차문희, 오희균(2006). 교사의 유머 감각과 과학 학습 효과의 상관관계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0(1), 67-83.
  29. 최경애, 이성혜, 채유정(2016). 온라인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학습자의 교수실재감, 수업인식, 학습결과간의 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2(2), 381-408.
  30. 최원호, 손정우, 이봉우, 이인호, 신영준(2009). 초등과학영재 판별도구의 개발과 이해. 서울: 북스힐.
  31. 최현주, 최연철, 딩슈잉(2016). 창의성과 인성의 통합 관점에 따른 창의.인성 연구의 동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0(4), 583-603.
  32. 한기순(2000).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에 관한 분석과 탐구. 영재교육연구, 10(2), 47-69.
  33. 허영주(2011). 교사유머의 유형화 및 유형별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23(1), 1-29. https://doi.org/10.17927/TKJEMS.2011.23.1.1
  34. Abraham, R. R., Hande, V., Sharma, M. E. J., Wohlrath, S. K., Keet, C. C. & Ravi, S. (2014). Use of humour in classroom teaching: Students' perspectives. Thrita, 3(2), e10517.
  35. Amabile, T. M. (1982).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5), 997-1013. https://doi.org/10.1037/0022-3514.43.5.997
  36. Ardalan, K. (2015). Using entertaining metaphors in the introduction of the case method in a case-based course. In Li, M., & Zhao, Y. (eds),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pp. 69-96). Berlin: Springer.
  37. Banas, J., Dunbar, N., Rodriguez, D. & Liu, S. J. (2011). A review of humor in educational settings: Four decades of research. Communication Education, 60(1), 115-144. https://doi.org/10.1080/03634523.2010.496867
  38. Berge, M. (2017). The role of humor in learning physics: A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7(2), 427-450. https://doi.org/10.1007/s11165-015-9508-4
  39. Besemer, S. P. (1998). Creative product analysis matrix: Testing the model structure and a comparison among products-three novel chair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2(4), 287-296.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204_6
  40. Davis, G. A., Rimm, S. B. & Siegle, D. (2011).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41. Gentry, M. & Owen, S. V. (2004). Secondary student perceptions of classroom quality: Instrumentation and differences between advanced/honors and nonhonors classes.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6(1), 20-29. https://doi.org/10.4219/jsge-2004-464
  42. Kellerby, D. K. (2011). Effective use of humor in a secondary science classroo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ontana State University.
  43. Lamminpaa, J. & Vesterinen, V. (2018). The use of humour during a collaborative inqui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14), 1718-1735. https://doi.org/10.1080/09500693.2018.1508926
  44. Martin, R. A. (2007). A comparison of humor styles, coping humor, and mental health between Chinese and Canadian university students. Humor, 20(3), 215-234. https://doi.org/10.1515/HUMOR.2007.011
  45. Renzulli, J. S. & Hartman, R. K. (1971). Scale for rat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Exceptional Children, 38(3), 243-248. https://doi.org/10.1177/001440297103800309
  46. Roth, W. M., Ritchie, S. M., Hudson, P. & Mergard, V. (2011). A study of laughter in science less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5), 437-458. https://doi.org/10.1002/tea.20412
  47. Wanzer, M. B. (2010). An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humor and student learning: Instructional humor processing theory. Communication Education, 59(1), 1-18. https://doi.org/10.1080/03634520903367238
  48. Ziegler, J. B. (1998). Use of humour in medical teaching. Medical Teacher, 20(4), 341-348. https://doi.org/10.1080/01421599880779

Cited by

  1. 초등학생의 유머 감각과 창의성, 과학 유머 창의성,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의 관계 vol.39, pp.4, 2019, https://doi.org/10.15267/keses.2020.39.4.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