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dults' Self-Compassion, Anxiety, Depression, and Color Preference Based on Sasang Constitution

일반 성인의 사상체질에 따른 자기자비와 불안, 우울 및 색선호도에 대한 연구

  • 이은혜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임상미술치료전공) ;
  • 장석환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 Received : 2019.03.08
  • Accepted : 2019.04.23
  • Published : 2019.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indices such as self-compassion, trait anxiety, and depression, and color preference based on Sasang Constitution type.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relationships among self-compassion, trait anxiety, and depression. 205 adults were surveyed for participants of this study. A Two-Step Questionnaire (TS-QSCD) was conducted to diagnose Sasang Constitution such as Tae-yangin, Tae-yinin, So-yangin, and So-yinin. Also, scales for self-compassion, trait anxiety, depression level, and color preference were utilized for measure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Sasang Constitutional groups, Ta-yangin had a higher level of self-compassion and lower trait anxiety than So-yinin. Furthermore, in relationships among mental health indices, trait anxiety and depression tendency were lower with higher self-compass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depression level and color preference based on Sasang constitution.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mental health were suggested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상체질유형에 따라, 정신건강 지표 중 자기자비, 특질불안, 우울 수준 및 색선호도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자기자비와 불안 및 우울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였다. 성인 남녀 총 205명의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사상체질 진단을 위한 2단계 설문지(TS-QSCD)를 이용하여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등 4체질로 진단하고, 자기자비척도(Self-Compassion Scale), 특질불안척도(SATI-X-2), 우울척도(CES-D), 그리고 색선호도 설문지(CRR)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태양인은 소음인보다 자기자비 수준이 더 높았고 특질불안 수준이 더 낮았다. 또한 자기자비와 특질 불안 및 우울 간 관계에서는 자기자비가 높을수록 특질불안과 우울 성향이 낮았고, 특질불안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도 높았다. 사상체질에 따른 색 선호도와 우울 수준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표 1. 사상체질 별 자기자비, 특질불안, 우울 수준의 평균과 표준편차(SD)

CCTHCV_2019_v19n5_578_t0001.png 이미지

표 2. 사상체질에 따른 자기자비, 특질불안, 우울의 변량분석

CCTHCV_2019_v19n5_578_t0002.png 이미지

표 3. 사상체질 집단 간 자기자비와 특질불안 수준의 평균차이와 표준편차(SD)

CCTHCV_2019_v19n5_578_t0003.png 이미지

표 4. 자기자비와 불안, 우울 간의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5_578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이제마, 동의수세보원, 여강출판사, 1992.
  2. 송일병, "사상인의 체질병증약리에 관한 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14, 1996.
  3. 유준상, "사상의학의 예방의학사상," 사상체질의학회지, Vol.30, No.1, pp.7-13, 2018. https://doi.org/10.7730/JSCM.2018.30.1.7
  4. 김형택, "청소년 정신 건강과 복지정책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승가대학교 논문집, 제7권, pp.199-236, 1998.
  5. 조은숙, 서지민, "아동의 정신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9권, 제1호, pp.57-67, 2010.
  6. K. D. Neff,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Vol.2, No.2, pp.85-102, 2003a. https://doi.org/10.1080/15298860309032
  7. 박세란, "자기자비가 타인의 안녕에 대한 관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제16권, 제2호, pp.187-212, 2016.
  8. K. D Neff and E. A. Pommie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other-focused concern among college undergraduates, community adults, and practicing meditators," Self and Identity, Vol.12, No.2, pp.160-176, 2013. https://doi.org/10.1080/15298868.2011.649546
  9. E. A. Pommier, "The compassion scale.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ection A,"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Vol.72, p.1174, 2011.
  10. M. R. Leary, E. B. Tate, C. E. Adams, B. A. Allen, and J. Hancock,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s: The implications of treating one self kindl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2, No.5, pp.887-904, 2007. https://doi.org/10.1037/0022-3514.92.5.887
  11. K. D. Neff, K. L. Kirkpatrick, and S. S. Rude, "Selfcompassion and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41, No.1, pp.139-154, 2007. https://doi.org/10.1016/j.jrp.2006.03.004
  12. R. M. Mueller, Perspective taking,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A preliminary meta-analytic study of correlates with self-esteem and self-compassion, Department of Psychology Concordia University, 2016.
  13. 조용래, 노상선, "자기자비 대 분산처치와 특질 자기자비가 불쾌한 자기관련 사건에 대한 정서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30권, 제3호, pp.707-726, 2011.
  14. P. Gilbert and S. Proctor, "Compassionate mind training for people with high shame and self-criticism: overview and pilot study of a group therapy approach,"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Vol.13, pp.353-379, 2006. https://doi.org/10.1002/cpp.507
  15. L. K. Barnard and J. F. Curry, "Self-compassion:Conceptualizations, correlates, & interven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15, No.4, pp.289-303, 2011. https://doi.org/10.1037/a0025754
  16. K. D. Neff, Y. Hseih, and K. Dejitthirat, "Self-compassion, achievement goals, and coping with academic failure," Self and Identity, Vol.4, pp.263-287, 2005. https://doi.org/10.1080/13576500444000317
  17. A. Mills, P. Gilbert, R. Bellew, K. McEwan, and C. Gale, "Paranoid beliefs and self criticism in students,"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Vol.14, No.5, pp.358-364, 2007. https://doi.org/10.1002/cpp.537
  18. K. E. Neff and R. Vonk, "Self-compassion versus global self-esteem: Two different ways of relating to oneself," Journal of Personality, Vol.77, No.1, pp.23-50, 2009. https://doi.org/10.1111/j.1467-6494.2008.00537.x
  19. D. Cervone and L. A. Pervin, Editor,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Wiley and Sons Pub, 2013.
  20. C. D. Spielberger, Editor, Anxiety: State-trait process. Heimisphere Pub, 1972.
  21. 김종우, 황의완, 이의주, "MBTI를 이용한 사상체질의 심리적 특징에 대한 연구," 대한 신심스트레스 학회, 스트레스 연구, 제7권, 제2호, pp.19-24, 1999.
  22. 서웅, 송정모, "발한에 대한 사상의학적고찰," 사상체질의학학회지, 제12권, 제2호, pp.56-61, 2000.
  23. 채한, 이수진, 박소정, 김병주, 홍진우, 황민우, 이상남, 한창현, 권영규, "SCL-90-R을 사용한 사상체질별심리정신 특성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제24권, 제4호, pp.722-726, 2010.
  24. C. J. Murray and A. D. Lopez, "ternative projections of mortality and disability by cause 1990-2020: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Lancet, Vol.349, pp.1498-1504, 1997. https://doi.org/10.1016/S0140-6736(96)07492-2
  25. 조미라, 대학생의 색채선호와 우울, 불안과의 관계,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6.
  26. 김선호,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 II)의 타당화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2.
  27. 전소연, 사상체질에 따른 SCL-90-R(간이정신진단검사)과 색채선호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2.
  28. 이명복, 체질을 알면 건강이 보인다, 대광출판사, 1993.
  29. J. B. Cunningham and E. McCrum-Gardner, "Power, effect and sample size using GPower: practical issues for researchers and members of research ethics committees," Evidence Based Midwifery, Vol.5, No.4, pp.132-136, 2007.
  30. 김영원, 신동윤, 김정호, 최대성, 임미경, 이경로, 송정모, "사상체질 진단을 위한 2단계 설문지 (TS-QSCD)의 개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제18권, 제1호, pp.75-90, 2006.
  31. K. D. Neff,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Vol.2, No.3, pp.223-250, 2003b. https://doi.org/10.1080/15298860309027
  32.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한국 자기-자비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13권, 제4호, pp.1023-1044, 2008. https://doi.org/10.17315/KJHP.2008.13.4.012
  33. C. D. Spielberger, Editor,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Consulting Psychologist Pub, 1970.
  34. 김정택, 특정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Spielberger의 STAI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78.
  35. 이영진, 방수영, 최선, 이해국, 김병후, 김원, 이상혁, "중, 고등학생의 한국판 상태-특성 불안척도의 적용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제47권, 제5호, pp.471-480, 2008.
  36.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통합 한국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제6권, 제1호, pp.59-76, 2001.
  37. A. Demirchyan, V. Petrosyan, and M. Thompson, "Psychometric value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cale for screening of depressive symptoms in Arm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133, pp.489-498, 2011. https://doi.org/10.1016/j.jad.2011.04.042
  38. J. H. Park and K. W. Kim, "A review of the epidemiology of depress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54, pp.362-369, 2011 https://doi.org/10.5124/jkma.2011.54.4.362
  39. 나선숙 역, 내 삶에 색을 입히자 :색채 심리와 색채 치료, 예경, 2006.
  40. 윤일주 역, 먼셀 색채의 문법, 민음사, 1977.
  41. 정원조, 사상의학 새 연구, 서울: 푸른사상, 2012.
  42. 박세란, 이훈진, "자존감, 자기자비와 심리적 부적응 및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제32권, 제1호, pp.123-139, 2013.
  43. 박승림, 색채 심리 및 치료와 한의학에서의 색채 적용, 대전대학교 한의학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