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velopment of Theatre Art Major Course based on Case Studies of Media Technology-converged Performances

미디어기술 융합공연 사례분석을 통한 무대미술 전공 교과목 연구

  • 박진원 (상명대학교 무대미술학과) ;
  • 김가은 (상명대학교 무대미술학과)
  • Received : 2019.03.27
  • Accepted : 2019.05.12
  • Published : 2019.05.28

Abstract

The expansion of the performing arts market to include new genres of art that combine art and cutting-edge media technology has surpassed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theatre art elements such as stage, costumes, lighting, sound, and props, allowing free expression of space-time and visual art. It is growing into a wide area with unlimited potential in the performing arts sector.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and the demands of the tim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multi-talents who can plan and produce arts and technology-converged contents tha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s a result, university departments related to theatre art across the country feel that it is urgent to develop curricula that will enhance students' competency by incorporating the latest media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holography, and interactive motion sensors into the existing performance art visualization process. In this study, the author will examine the process of developing courses in technology-incorporated theatre art (design) through case studies of media technology-converged performances from the past 10 years. Based on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atre art, the attempt to fuse stage art with media technology will be a cornerstone of attempts to foster a group of talented artists who transcend the limits of creative visual expression and creative value.

예술과 미디어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장르의 공연콘텐츠 시장의 확장은 전통적인 무대미술 표현범위의 한계를 넘어 창의적인 시공간적 표현을 자유롭게 하며 공연예술분야 내 블루오션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요구에 따른 공연예술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예술 기술 융합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융합 인재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의 무대미술 전공 관련학과에서는 기존의 미술교육 외 시대에 상응하는 무대영상 및 다양한 미디어 매체 기술(가상현실. 홀로그램, 인터렉티브 모션센서)등을 공연예술 분야 시각화 과정에 접목시키는 역량제고를 위한 교과목 개발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본 논문은 최근 10년간 미디어기술 융합공연 사례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기술융합 무대미술 전공 교과목 개발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무대미술과 미디어 기술 융합교육 시도는 기존의 전통적인 무대미술 개념을 기반으로 작품성과 더불어 창조적인 시각적 표현의 한계를 뛰어넘는 융합인재 양성의 초석이 될 것이다.

Keywords

CCTHCV_2019_v19n5_562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뮤지컬 『Lion King』유투브 가상현실(VR) 콘텐츠

CCTHCV_2019_v19n5_562_f0002.png 이미지

그림 2.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 착용 공연 관람

CCTHCV_2019_v19n5_562_f0003.png 이미지

그림 3. K-POP 홀로그램 공연 『PSY』콘서트

CCTHCV_2019_v19n5_562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직접투사방식 유사홀로그램 기술적 활용방법

CCTHCV_2019_v19n5_562_f0005.png 이미지

그림 5. 간접투사방식 유사홀로그램 기술적 활용방법

CCTHCV_2019_v19n5_562_f0006.png 이미지

그림 6. 라이브 디지털 공연 『The Tempest』

CCTHCV_2019_v19n5_562_f0007.png 이미지

그림 7. 페이스 모션 트랙킹 센서 장착 배우

CCTHCV_2019_v19n5_562_f0008.png 이미지

그림 8. 클레이애니메이션 + 라이브 공연 『Golem』

CCTHCV_2019_v19n5_562_f0009.png 이미지

그림 9. 프로젝션 맵핑 기술 구현에 사용된 무대세트

CCTHCV_2019_v19n5_562_f0010.png 이미지

그림 10. 융합방식

표 1. 교과목 개요

CCTHCV_2019_v19n5_562_t0001.png 이미지

표 2. 수업계획

CCTHCV_2019_v19n5_562_t0002.png 이미지

표 3. 평가방법

CCTHCV_2019_v19n5_562_t0003.png 이미지

표 4. 선수학습 교과목 예시

CCTHCV_2019_v19n5_562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http://techm.kr/bbs/board.php?bo_table=article&wr_id=4965, 2019.01.15.
  2. 주강, 서래원, 노창배, "KINECT 기반 3D 홀로그래픽과 제스처에 대한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지, 제14권, 제4호, pp.411-417, 2013
  3. https://knicc.re.kr:41902/board/read.php?db=06_02_reporter&n=25&p=6&l=23, 2019.04.28.
  4. 이관준, "4W 홀로그램의 구현원리와 경제적 효과 연구," 영상문화콘텐츠연구, 제11호, pp.79-99, 2016.
  5. 임수연, 김상욱, "관객접근에 의해 행동하는 3D 홀로그래픽 콘텐츠 저작 및 프로젝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597-60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597
  6. 한혜원, 정아람, "K-POP 홀로그램 콘서트에 나타난 스펙터클 분석 : SM Entertainment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740-749,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740
  7. 김성원, 정영란, 우애자, 이현주,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33권, 제2호, pp.338-401, 2012.
  8. 김진곤, "VR기술기반 융합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사례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제47권, pp.33-44,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