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연구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표 2. 소방공무원이 직무수행경험
References
- 소방기본법, 법률 제 11037호, 시행 2012,2,5.
- 노경환,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유발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이종열, 박광욱, "직무스트레스요인과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행정총론, pp.331-356, 2011.
- 이경호, "소방서비스 3교대근무제도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 제26권, 제4호, pp.221-243, 2012. https://doi.org/10.17327/IPPA.2012.26.4.009
- 이종협,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도와 직무몰 입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김성환,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경험과 자생각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W. Comeil, R. Beaton, S. Murphy, C. Johnson, and K. Pike, "Exposure to Traumatic incidents and prevalence of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urban fire fighters un two countri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iatry, Vol.4, No.2, pp.131-141, 1999. https://doi.org/10.1037/1076-8998.4.2.131
- N. K. Rytwinski, M. D. Scur, N. C. Feeny, and E. A. Youngstrom, "The Co-Occur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mong Individuals With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 meta-Analysi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26, No.3, pp.299-309, 2013. https://doi.org/10.1002/jts.21814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SM-IV, Washington DC;APA, 1994.
- 김태우, 김규상, 안연순, "현장직 소방공무원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증상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학회지, 제3권, 제22호, pp.378-379, 2010.
- 임태호, "소방공무원의회복탄력성," 소방청, pp.3-113, 2017.
- 소방청, 2018년도 소방청성과보고서, 2018.
- 김광석, 박정, 박부연, 김성길, 황은영, "소방관직무스트레스가 우울 및 피로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224-228, 2014.
- 박정민, 김대성, 김행희, "직무환경이 소방공무원 심리적 탈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 제19권, 제1호, pp.25-49, 2012.
- 문유석,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환경유발요인," 지방정부연구, Vol.15, No.1, pp.119-141, 2002.
- 최낙순, 김재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5권, 제3호, pp.481-501, 2011. https://doi.org/10.18398/KJLGAS.2011.25.3.481
- John W. Creswell, 질적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6.
- J. W, Creswell, 질적연구방법론, 학지사, 2010.
- 최경호,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문학과 지성사, pp.41-45, 1997.
- 김경식,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순천향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김순진, 김환, 충격적 경험의 후유증,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이상심리시리즈7, 서울학지사, 2013.
- 이영주, 소방공무원이 지각한 외상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2011.
- 김혜숙, 가족치료 및 이론과 기법, 학지사, 2003.
- 배점모,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심리적복지감 및 우울간의 관계비교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논문, 2011.
- P. F. Cola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and M. King(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 신경림, "질적 연구방법의 이론,"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회동연수자료, pp.5-22, 2001.
- 김분한, 김금자, 박인숙, 이금재, 김진경, 홍정주, 이 미향, 김영희, 유인영, 이회영,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Giorgi, Colaizzi, Van Manen방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제29권, 제6호, pp.1208-220, 1999. https://doi.org/10.4040/jkan.1999.29.6.1208
- 신경림, 고명숙, 고병혜, 김경선, 김미영, 김은하, 노승옥, 노영희, 조명옥, 양진향,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 V. Bhatia and R. K. Tandon, "Review, stress and the gastrointestinal tract," J. of Gastro & Hapato, Vol.20, No.3, pp.332-337, 2005. https://doi.org/10.1111/j.1440-1746.2004.03508.x
- E. Wolf berg, "Social crisis and occupational fatigue among health porfessionals : warnings and resources," Vertex, Vol.54, No.14, pp.268-279, 2003.
- 이숙진, 최낙현, 주창범, "여성소방공무원의 '외상 후스트레스 장애(PTSD)와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제27권, 제3호, pp.70-102, 2017.
- 이혜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251-25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251
- 박승규, 소방공무원의 사망사건 외상경험의 어려움과 대처에 대한 질적연구,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Robert K. Yin.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