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xperiences Regarding the Healing of Job Performance Stress of Fire Fighting Officers

소방공무원의 직무수행 스트레스 치유에 관한 경험 연구

  • 김종선 (선문대학교 통합의학과 가족상담)
  • Received : 2019.03.04
  • Accepted : 2019.04.12
  • Published : 2019.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 depth the experiences regarding the healing of stress that takes place in the process of the job performance of fire fighting officers. For this, by having seven incumbent fire fighting officers a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had been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experiences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Colaizzi, the 17 topic bundles, 5 subcategories, and 3 categories were derived.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ly, it appeared that the stress resulting from the job performance in the diverse processes of solving the petitions experienced as the obsessive anxiety, feeling of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 etc. Secondly, it had appeared that fire fighting officers show the strong feeling of pride and sense of calling regarding the job performance, but their dread regarding the life after the retirement was high. Thirdly, it appeared that such stress were offset and healed through the positive experiences, including the professional vocation, companionship and support by the family, etc. Because the high job stress gets developed into the continuous and complex physical problems and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it shows that there is a limitation to the healing with only the professional calling, companionship and support by the family. As such, for the healing of stress that takes place in the job performance by fire fighting officers and not just fo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s that are related with the job, but for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this research arrived at the point of the suggestion that the operations of the complex and systematized supporting programs, including the strengthening of vocation and companionship, emotional support by the family etc., must be carried out.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이 직무수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치유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7명의 현직 소방공무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개별적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의 경험을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17개의 주제묶음과 5개의 하위범주와 3개의 범주화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다양한 민원해결 과정에서 직무수행에 따른 스트레스가 강박적 불안, 우울감, 수면장애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수행에 대해 강한 자부심과 소명감을 보이지만 퇴직 이후 삶에 대해 두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스트레스는 직업적 소명의식과 동료애, 가족의 지지 등의 긍정적 경험으로 상쇄되고 치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높은 직무 스트레스는 지속적이고 복합적인 신체적 문제와 정서적 심리적 문제들로 발전되어 직업적 소명이나 동료애, 가족 지지 만으로는 치유에 한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에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수행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 치유를 위해 직무 환경개선 뿐만이 아니라 심리 정서 지원과 직업소명의식과 동료애 강화, 가족의 정서적 지원을 위해 복합적이고 체계화된 지원프로그램 운영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표 1. 연구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CCTHCV_2019_v19n5_520_t0001.png 이미지

표 2. 소방공무원이 직무수행경험

CCTHCV_2019_v19n5_520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소방기본법, 법률 제 11037호, 시행 2012,2,5.
  2. 노경환,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유발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 이종열, 박광욱, "직무스트레스요인과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행정총론, pp.331-356, 2011.
  4. 이경호, "소방서비스 3교대근무제도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 제26권, 제4호, pp.221-243, 2012. https://doi.org/10.17327/IPPA.2012.26.4.009
  5. 이종협,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도와 직무몰 입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 김성환,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경험과 자생각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7. W. Comeil, R. Beaton, S. Murphy, C. Johnson, and K. Pike, "Exposure to Traumatic incidents and prevalence of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urban fire fighters un two countri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iatry, Vol.4, No.2, pp.131-141, 1999. https://doi.org/10.1037/1076-8998.4.2.131
  8. N. K. Rytwinski, M. D. Scur, N. C. Feeny, and E. A. Youngstrom, "The Co-Occur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mong Individuals With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 meta-Analysi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26, No.3, pp.299-309, 2013. https://doi.org/10.1002/jts.21814
  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SM-IV, Washington DC;APA, 1994.
  10. 김태우, 김규상, 안연순, "현장직 소방공무원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증상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학회지, 제3권, 제22호, pp.378-379, 2010.
  11. 임태호, "소방공무원의회복탄력성," 소방청, pp.3-113, 2017.
  12. 소방청, 2018년도 소방청성과보고서, 2018.
  13. 김광석, 박정, 박부연, 김성길, 황은영, "소방관직무스트레스가 우울 및 피로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224-228, 2014.
  14. 박정민, 김대성, 김행희, "직무환경이 소방공무원 심리적 탈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 제19권, 제1호, pp.25-49, 2012.
  15. 문유석,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환경유발요인," 지방정부연구, Vol.15, No.1, pp.119-141, 2002.
  16. 최낙순, 김재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5권, 제3호, pp.481-501, 2011. https://doi.org/10.18398/KJLGAS.2011.25.3.481
  17. John W. Creswell, 질적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6.
  18. J. W, Creswell, 질적연구방법론, 학지사, 2010.
  19. 최경호,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문학과 지성사, pp.41-45, 1997.
  20. 김경식,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순천향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1. 김순진, 김환, 충격적 경험의 후유증,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이상심리시리즈7, 서울학지사, 2013.
  22. 이영주, 소방공무원이 지각한 외상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3.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2011.
  24. 김혜숙, 가족치료 및 이론과 기법, 학지사, 2003.
  25. 배점모,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심리적복지감 및 우울간의 관계비교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논문, 2011.
  26. P. F. Cola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and M. King(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27. 신경림, "질적 연구방법의 이론,"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회동연수자료, pp.5-22, 2001.
  28. 김분한, 김금자, 박인숙, 이금재, 김진경, 홍정주, 이 미향, 김영희, 유인영, 이회영,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Giorgi, Colaizzi, Van Manen방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제29권, 제6호, pp.1208-220, 1999. https://doi.org/10.4040/jkan.1999.29.6.1208
  29. 신경림, 고명숙, 고병혜, 김경선, 김미영, 김은하, 노승옥, 노영희, 조명옥, 양진향,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30. V. Bhatia and R. K. Tandon, "Review, stress and the gastrointestinal tract," J. of Gastro & Hapato, Vol.20, No.3, pp.332-337, 2005. https://doi.org/10.1111/j.1440-1746.2004.03508.x
  31. E. Wolf berg, "Social crisis and occupational fatigue among health porfessionals : warnings and resources," Vertex, Vol.54, No.14, pp.268-279, 2003.
  32. 이숙진, 최낙현, 주창범, "여성소방공무원의 '외상 후스트레스 장애(PTSD)와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제27권, 제3호, pp.70-102, 2017.
  33. 이혜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251-25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251
  34. 박승규, 소방공무원의 사망사건 외상경험의 어려움과 대처에 대한 질적연구,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5. Robert K. Yin.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