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Errors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Square Root of Positive Numbers and Related Calculations

제곱근의 뜻과 성질에 대한 이해 및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에서 나타나는 수학 학습 부진 학생들의 오류 분석

  • Received : 2018.09.11
  • Accepted : 2019.02.23
  • Published : 2019.03.30

Abstract

Mathematics is one of the subjects in which learners seriously experience under-achievements in school education. Middle school level mathematics especially plays such a role as a bridge between elementary level informal mathematics and high school level formal mathematics that learners' under-achievements in the middle school level mathematics may yield more serious under-achievements later. Therefore it is crucial to prevent learners' later under-achievements that we analyze the status of under achievements including analysing various under-achievers' errors in the middle school level mathematics. From this point of view, we analysed errors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square root of positive numbers and related calculations in this paper. As the results of our research, we found some unexpected errors of 'some mathematics under-achievers regarding the mathematical symbol ${\surd}$ of square root as a parenthesis ( ), and others interpret $x=-2{\pm}{\sqrt{10}}$ as x=-2 or ${\pm}{\sqrt{10}}$.' that suggest the necessity of more various and in-depth discussions and researches of analysis on learners' errors and misconceptions in all areas of school mathematics.

학교 교육에서 수학은 학습 부진의 문제가 가장 심각한 교과 중 하나이다. 특히 중학교 수학은 초등학교 수학과 고등학교 수학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비형식적 수학에서 형식적 수학으로 전환되는 시기에 위치해 있어 이 시기의 학습 부진은 이후의 수학 및 수학 관련 교과 학습에서 지속적인 부진을 야기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점에서 중학교 수학의 학습에서 발생하는 학습 부진의 실태와 그 원인의 분석은 학생들의 미래 수학 학습을 위한 토대 마련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 시기와 내용의 계통성 측면에서 중학교 3학년 수학의 출발점이자 근간에 해당하는 제곱근의 뜻과 성질 이해 및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 학습 부진 학생들의 오류를 조사하고 그 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여러 가지 오류가 발견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근호 ${\surd}$를 괄호 ( )처럼 인식하는 오류나 $x=-2{\pm}{\sqrt{10}}$ 을 x=-2 또는 ${\pm}{\sqrt{10}}$ 으로 인식하는 오류는 우리가 예상하지 못했던 뜻밖의 오류로서 본 연구와 같은 오류 분석 연구가 보다 광범위하고 심층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사례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미자 (2005). 수학 학습부진아의 학습부진 원인 분석과 효과적인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권오병 (2013). 기초 개념의 이해 및 계산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 학습 부진 학생들의 오류 분석 - 중학교 3학년 수와 식을 중심으로 -. 서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권오병, 도종훈 (2016). 기초 개념의 이해 및 계산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 부진 학생들의 오류 분석. 2016 국제수학교육학술대회 프로시딩.
  4. 권점례, 최승현, 김도남, 가은아 (2013).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 수학 학습부진아를 위한 학습 주제별 맞춤형 교수.학습 방법 자료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김미경 (2006). 일차방정식에 대한 수학 학습 부진아의 오류 유형과 교정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부미 (2006).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선, 김경옥, 김수동, 이신동, 임혜숙, 한순미 (2001). 학습부진아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8. 김옥경 (1991). 고등학교 수학에서 발생하는 수학적 오류의 분류모델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원경 외 6인 (2011). 중학교 수학3. 비상교육.
  10. 나세희 (2010). 오류분석을 통한 수학학습부진아의 일차방정식 풀이 지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성익 (1989). 학습 부진아 교육. 서울 : 법문사.
  12.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학 용어 사전. 하우동설.
  13. 안명희 (2009). 수학 부진아의 일차식의 계산에서의 오류에 관한 분석.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나미 (1997). 학습부진아 교육. 교육개발 110, 81-85.
  15. 이승민 (1999). 고등학교 수학에서 발생하는 수학적 오류에 대한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원정 (2008). 수학학습부진아의 오류 유형 분석 및 지도에 관한 연구(수학 7-가 '유리수의 사칙계산' 단원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은영 (2006). 정수 연산에서 학습 부진아의 오류분석과 교정.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은휘 (2001). 수학과 학습부진아의 수업방법의 탐색. 한국학교수학학회논문집 4(2), 33-48.
  19. 조완영 (2008). 수학부진아의 수학적 사고 특성-대수적 사고를 중심으로-. CBNU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9(1), 189-209.
  20. 정진혜 (2004). 수학학습부진아의 오류분석 연구 -식의 계산 단원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진선미, 송영무 (2007). 중학교 3학년 수학학습부진아가 함수 분야에서 겪는 어려움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2), 187-206.
  22. 최보영 (2005). '식의 계산' 단원에서 수학 학습부진아의 오류 분석과 교정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최승현, 남금천, 류현아 (2013). 수학 학습 부진 학생을 위한 오개념 교정 지도 자료 개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2), 117-133.
  24. 최승현, 황혜정 (2008). 수학과 내용교수지식(PCK)의 의미 및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569-593.
  25. 최영아 (2001). 고등학교 수학에서 수학적 오류의 분석과 분류에 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최지선 (2003). 중등학교 수학 학습에서 나타나는 오개념에 대한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Movshovitz-Hadar, N., Zaslavsky, O., & Inbar, S. (1987). An Empirical Classification Model for Errors in High School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1), 3-14. https://doi.org/10.2307/749532
  28. Skemp, R. R. (1971).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황우형 역(1987). 수학학습심리학. 사이언스북스.
  29. Winebrenner, S. (1996). Teaching kids with learning difficulties in the regular classroom. MN, Free Spirit Publishing Inc.

Cited by

  1. 인수분해에 대한 오류 분석과 온라인 개별화 수업의 효과 vol.24, pp.1, 2021, https://doi.org/10.30807/ksms.2021.24.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