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년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고통감내력과 반추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ried Middle-aged Women's Life Stress an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and Rumination-

  • 김은숙 (명지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정은정 (명지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투고 : 2019.02.11
  • 심사 : 2019.03.22
  • 발행 : 2019.04.28

초록

본 연구는 중년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서울과 경기도, 대전 지역의 중년 기혼 여성 32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와 AMOS를 이용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스트레스는 반추와 우울에 정적 상관, 고통감내력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우울은 반추와 정적 상관, 고통감내력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고통감내력과 반추도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반추가 각각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반추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년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 고통감내력, 반추가 우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llected 328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rom the married middle-aged women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Daejeon province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rumination in the relation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SPSS 20.0 and AMOS 20.0 were used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Following is the summarizaton of the study. First, the life str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umination and depression, and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wiith distress tolerance. Also, i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distress tolerance and rumination. Second, each distress tolerance and rumination showed meaningfu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Third, dual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rumination is showed meaningful in the relation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above, we verified that three variables, life stress, distress tolerance and rumination, affect depression significantly in married middle-aged women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ult,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키워드

CCTHCV_2019_v19n4_63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CCTHCV_2019_v19n4_638_f0002.png 이미지

그림 2.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4_638_f0003.png 이미지

그림 3. 구조모형 검증

표 1. 인구통계학적 특성

CCTHCV_2019_v19n4_638_t0001.png 이미지

표 2. 연구 변인의 상관분석 및 기술통계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4_638_t0002.png 이미지

표 3.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

CCTHCV_2019_v19n4_638_t0003.png 이미지

표 4.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

CCTHCV_2019_v19n4_638_t0004.png 이미지

표 5. 구조모형의 경로계수

CCTHCV_2019_v19n4_638_t0005.png 이미지

표 6. 구조모형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및 유의성 검증

CCTHCV_2019_v19n4_638_t0006.png 이미지

표 7. 팬텀변수를 생성하여 개별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

CCTHCV_2019_v19n4_638_t0007.png 이미지

참고문헌

  1. 김남순, "여성의 우울 양상과 관리방향," 보건지이슈 앤 포커스, 제279권, 2015.
  2. 허제은, 중년 기혼 여성의 우울 구조모형,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 이동훈, 함경애, 김지윤, 김민경, 정성원, 김정범, "성별에 따른 주요 우울증 DSM-IV 증상 연구-한국 정신 장애 진단 선별 질문지(Korean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 naire;K-PDSQ) 를 중심으로," 한국재활심리학회, 제20권, 제3호, pp.501-522, 2013.
  4. 박선애, 김정석, "김훈의 <화장>과 <언니의 폐경>에 나타난 중년의 신체 변화와 가족관계의 변화 양상: 중년의 위기감과 노년의 삶 전망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제25권, 제4호, pp.120-151, 2013.
  5. 변외진, 김춘경, "중년 여성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 자아분화, 내면체계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4권, 제12호, pp.155-165, 2006.
  6. 함명화, 군인가족 중년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갱년기증상: 일반가족 중년 여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7. 박수민, 중년 여성의 사회적 지지, 생활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8. 김민희, 중년기 생활스트레스,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9. 신혜섭, "중년기 위기와 가족스트레스," 생활과학 연구, 제11권, pp.84-90, 2006.
  10. 강 인, 중년기 가족스트레스와 가족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11. J. Simons and R. Gather, "The Distress Tolerance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Motivation and Emotion, Vol.29, No.2, pp.83-102, 2005. https://doi.org/10.1007/s11031-005-7955-3
  12. M. Rutter,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57, No.3, pp.316-331, 1987. https://doi.org/10.1111/j.1939-0025.1987.tb03541.x
  13. M. J. Zvolensky, A. Bernstein, and A. A. Vujanovic, Distress Tolerance, New York: Guilford Press, 2011.
  14. 이경은,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 인지적 정서 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5. 정구경,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해 및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서울사이버대학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6. C. O'Cleirigh, G. Ironson, and J. A. Smits, "Does distress tolerance moderate the impact of major life events on psychosocial variables and behaviors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IV?," Behavior therapy, Vol.38, No.3, pp.314-323, 2007. https://doi.org/10.1016/j.beth.2006.11.001
  17. 정지현, 권석만, "고통감내력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 탈중심화와 회피적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2권, 제3호, pp.627-647, 2013.
  18. 오새롬, 아동, 청소년기 외상경험과 경계선 성격 성향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강도와 고통감내력의 역할,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 S. Nolen-Hoeksema, "Response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0, No.4, pp.569-582, 1991. https://doi.org/10.1037/0021-843X.100.4.569
  20. L. B. Alloy, L. Y. Abramson, M. E. Hogan, W. G. Whitehouse, D. T. Rose, M. S. Robinson, R. S. Kim, and J. B. Lapkin, "The Temple-Wisconsin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CVD) project: Lifetime history of Axis I psychopathology in individuals at high and low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9, No.3, pp.403-418, 2000. https://doi.org/10.1037/0021-843X.109.3.403
  21. 김선혜, 스트레스와 반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2. 김지혜, 스트레스가 우울 및 사회불안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역기능적 태도와 반추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3. 이은지, 반추와 사고억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신경증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4. J. M. Smith and L. B. Alloy, "A roadmap to rumination: A review of the definition, assess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this multifaceted construct,"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9, pp.116-128, 2009. https://doi.org/10.1016/j.cpr.2008.10.003
  25. 권희주, 고통감내력, 분노반추와 역기능적 분노의 관계에서 청소년과 성인집단 비교,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6. J. F. Magidson, A. R. Listhaus, C. J. Seitz-Brown, K. E. Anderson, B. Lindberg, A. Wilson, and S. B. Daughters, "Rumin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substance user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37, No.3, pp.456-465, 2013. https://doi.org/10.1007/s10608-012-9488-x
  27. 김은미, 중년 여성의 외현적 자기애.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 반추 반응양식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8. T. H. Holmes and R. H. Rahe,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11, pp.213-218, 1967. https://doi.org/10.1016/0022-3999(67)90010-4
  29. 이평숙, "중년 여성의 분노, 지각된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상태와의 관계," 한국간호학회지, 제33권, 제6호, pp.856-864, 2003.
  30. 정선화, 중년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1. 박성아,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의 정서에 대한 두려움과 고통감내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2. 김소정, 김지혜, 윤세창, "한국판 반추적 반응 척도(K-RR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9권, pp.1-19, 2010. https://doi.org/10.21193/KJSPP.2015.29.3.001
  33. A. T. Beck, C. H. Ward, M. Mendelson, J. Mock, and J. Erbaugh,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4, pp.561-571, 1961. https://doi.org/10.1001/archpsyc.1961.01710120031004
  34. 이영호, 송종용,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0권, 제1호, pp.98-113, 1991.
  35. 송은미, 중년 기혼 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6.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2012.
  37. 이찬미, 정서인식명확성, 정서강도, 고통감내력과 정서장애 공병 증상 및 심각도와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8. 곽복선, 장애자녀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9. 안요안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과의 관계: 고통감내력과 분노반추를 매개변인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0. 유연화, 이신혜, 조용래, "자기자비, 생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증상들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제10권, 제2호, pp.43-59, 2010.
  41. A. Ehlers, J. Bisson, D. M. Clark, M. Creamer, S. Pilling, D. Richards, and W. Yule, "Do all psychological treatments really work the same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30, No.2 pp.269-276, 2010. https://doi.org/10.1016/j.cpr.2009.12.001
  42. 박영미, 신창식, "갱년기 여성의 생활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54-26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254
  43. S. C. Hayes, K. D. Strosahl, and K. G. Wils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York: Guilford Press, 1999.
  44. 양혜미, 대학생의 사회 지향성, 고통감내력과 폭식행동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5. 정지현, 고통감내력과 정신건강의 관계: 주관적 행동적 고통감내력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 박사학위논문, 2015.
  46. 장하연, 조용래,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구 신념과 정서적 고통감내력이 사회적 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 행동 치료, 제12권, 제3호, pp.299-313, 2012.
  47. J. Kabat-Zinn,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New York: Dell Publishing, 1990.
  48. S. L. Shapiro, L. E. Carlson, J. A. Astin, and B. Freedman "Mechanisms of mindfulnes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2, No.3, pp.373-386, 2006. https://doi.org/10.1002/jclp.20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