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연구모형
그림 2.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그림 3. 구조모형 검증
표 1. 인구통계학적 특성
표 2. 연구 변인의 상관분석 및 기술통계분석 결과
표 3.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
표 4.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
표 5. 구조모형의 경로계수
표 6. 구조모형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및 유의성 검증
표 7. 팬텀변수를 생성하여 개별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
참고문헌
- 김남순, "여성의 우울 양상과 관리방향," 보건지이슈 앤 포커스, 제279권, 2015.
- 허제은, 중년 기혼 여성의 우울 구조모형,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이동훈, 함경애, 김지윤, 김민경, 정성원, 김정범, "성별에 따른 주요 우울증 DSM-IV 증상 연구-한국 정신 장애 진단 선별 질문지(Korean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 naire;K-PDSQ) 를 중심으로," 한국재활심리학회, 제20권, 제3호, pp.501-522, 2013.
- 박선애, 김정석, "김훈의 <화장>과 <언니의 폐경>에 나타난 중년의 신체 변화와 가족관계의 변화 양상: 중년의 위기감과 노년의 삶 전망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제25권, 제4호, pp.120-151, 2013.
- 변외진, 김춘경, "중년 여성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 자아분화, 내면체계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4권, 제12호, pp.155-165, 2006.
- 함명화, 군인가족 중년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갱년기증상: 일반가족 중년 여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박수민, 중년 여성의 사회적 지지, 생활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김민희, 중년기 생활스트레스,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신혜섭, "중년기 위기와 가족스트레스," 생활과학 연구, 제11권, pp.84-90, 2006.
- 강 인, 중년기 가족스트레스와 가족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 J. Simons and R. Gather, "The Distress Tolerance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Motivation and Emotion, Vol.29, No.2, pp.83-102, 2005. https://doi.org/10.1007/s11031-005-7955-3
- M. Rutter,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57, No.3, pp.316-331, 1987. https://doi.org/10.1111/j.1939-0025.1987.tb03541.x
- M. J. Zvolensky, A. Bernstein, and A. A. Vujanovic, Distress Tolerance, New York: Guilford Press, 2011.
- 이경은,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 인지적 정서 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정구경,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해 및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서울사이버대학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C. O'Cleirigh, G. Ironson, and J. A. Smits, "Does distress tolerance moderate the impact of major life events on psychosocial variables and behaviors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IV?," Behavior therapy, Vol.38, No.3, pp.314-323, 2007. https://doi.org/10.1016/j.beth.2006.11.001
- 정지현, 권석만, "고통감내력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 탈중심화와 회피적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2권, 제3호, pp.627-647, 2013.
- 오새롬, 아동, 청소년기 외상경험과 경계선 성격 성향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강도와 고통감내력의 역할,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S. Nolen-Hoeksema, "Response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0, No.4, pp.569-582, 1991. https://doi.org/10.1037/0021-843X.100.4.569
- L. B. Alloy, L. Y. Abramson, M. E. Hogan, W. G. Whitehouse, D. T. Rose, M. S. Robinson, R. S. Kim, and J. B. Lapkin, "The Temple-Wisconsin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CVD) project: Lifetime history of Axis I psychopathology in individuals at high and low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9, No.3, pp.403-418, 2000. https://doi.org/10.1037/0021-843X.109.3.403
- 김선혜, 스트레스와 반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김지혜, 스트레스가 우울 및 사회불안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역기능적 태도와 반추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이은지, 반추와 사고억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신경증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J. M. Smith and L. B. Alloy, "A roadmap to rumination: A review of the definition, assess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this multifaceted construct,"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9, pp.116-128, 2009. https://doi.org/10.1016/j.cpr.2008.10.003
- 권희주, 고통감내력, 분노반추와 역기능적 분노의 관계에서 청소년과 성인집단 비교,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J. F. Magidson, A. R. Listhaus, C. J. Seitz-Brown, K. E. Anderson, B. Lindberg, A. Wilson, and S. B. Daughters, "Rumin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substance user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37, No.3, pp.456-465, 2013. https://doi.org/10.1007/s10608-012-9488-x
- 김은미, 중년 여성의 외현적 자기애.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 반추 반응양식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T. H. Holmes and R. H. Rahe,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11, pp.213-218, 1967. https://doi.org/10.1016/0022-3999(67)90010-4
- 이평숙, "중년 여성의 분노, 지각된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상태와의 관계," 한국간호학회지, 제33권, 제6호, pp.856-864, 2003.
- 정선화, 중년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박성아,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의 정서에 대한 두려움과 고통감내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김소정, 김지혜, 윤세창, "한국판 반추적 반응 척도(K-RR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9권, pp.1-19, 2010. https://doi.org/10.21193/KJSPP.2015.29.3.001
- A. T. Beck, C. H. Ward, M. Mendelson, J. Mock, and J. Erbaugh,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4, pp.561-571, 1961. https://doi.org/10.1001/archpsyc.1961.01710120031004
- 이영호, 송종용,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0권, 제1호, pp.98-113, 1991.
- 송은미, 중년 기혼 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2012.
- 이찬미, 정서인식명확성, 정서강도, 고통감내력과 정서장애 공병 증상 및 심각도와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곽복선, 장애자녀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안요안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과의 관계: 고통감내력과 분노반추를 매개변인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유연화, 이신혜, 조용래, "자기자비, 생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증상들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제10권, 제2호, pp.43-59, 2010.
- A. Ehlers, J. Bisson, D. M. Clark, M. Creamer, S. Pilling, D. Richards, and W. Yule, "Do all psychological treatments really work the same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30, No.2 pp.269-276, 2010. https://doi.org/10.1016/j.cpr.2009.12.001
- 박영미, 신창식, "갱년기 여성의 생활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54-26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254
- S. C. Hayes, K. D. Strosahl, and K. G. Wils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York: Guilford Press, 1999.
- 양혜미, 대학생의 사회 지향성, 고통감내력과 폭식행동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정지현, 고통감내력과 정신건강의 관계: 주관적 행동적 고통감내력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 박사학위논문, 2015.
- 장하연, 조용래,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구 신념과 정서적 고통감내력이 사회적 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 행동 치료, 제12권, 제3호, pp.299-313, 2012.
- J. Kabat-Zinn,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New York: Dell Publishing, 1990.
- S. L. Shapiro, L. E. Carlson, J. A. Astin, and B. Freedman "Mechanisms of mindfulnes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2, No.3, pp.373-386, 2006. https://doi.org/10.1002/jclp.20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