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redicting Presidential Election Results by Analyzing Twitter Message Contents: A Focus o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트위터 메시지 분석을 통한 선거 결과 예측 고찰: 18대 대선을 중심으로

  • 이서영 (동양대학교 공연영상미디어학부) ;
  • 권상집 (동국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부)
  • Received : 2019.02.15
  • Accepted : 2019.03.26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Twitter is very popluar with users who desire social interaction as it is a highly effective method of communicating compared to traditional communication platforms; and thus has garnered considerable interest from the academic community. This research reveals how election results can be predicted by the factors of total volume of messages, positive messages and negative messages tweeted about a candidate. Social matrix analysis revealed that the quantity of twitter messages was a strong predictor of election results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In addition, more positive messages than negative messages about a candidate from twitter users recorded better results in the elec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total quantity of messages, positive messages, and negative messages as key factors for predicting election result. Future studies should investigate other SNS platforms to discover what is the most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y on each platform.

트위터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원하는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온라인 SNS 플랫폼이다. 기존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에 비해 다른 이와 훨씬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트위터는 학문적 관점에서도 현재 매우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감안하여 트위터 사용자들이 표출하는 트위터 메시지의 총량, 긍정적 메시지, 부정적 메시지 등을 활용하여 이들 메시지가 대통령 선거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데 효과적인지 분석하였다. 소셜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특정 후보에 관한 트위터 메시지의 총량은 지난 18대 대통령 선거에서 실제 선거 승리를 예측하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트위터 공간에서 특정 후보에 관한 긍정적인 메시지가 많을수록 그리고 부정적인 메시지가 적을수록 해당 후보의 선거 승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트위터에서 전달되고 공유되는 메시지 총량, 긍정적 메시지, 부정적 메시지가 유권자의 투표 의사결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입증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른 SNS 플랫폼까지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연구를 진행, 가장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콘텐츠 전략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CCTHCV_2019_v19n4_17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본 연구 방법에 활용된 텍스트 마이닝 구조

CCTHCV_2019_v19n4_174_f0002.png 이미지

그림 2.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의 2012 대선 트위터 긍정 메시지 추이 비교

CCTHCV_2019_v19n4_174_f0003.png 이미지

그림 3.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의 2012 대선 트위터 부정 메시지 추이 비교

표 1. 각 후보의 트위터 메시지 비교

CCTHCV_2019_v19n4_174_t0001.png 이미지

References

  1. 민정식, "트위터 이용과 정치 참여: 트위터 이용 형태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2호, pp.274-303, 2012.
  2. 황유선, 심홍진, "트위터에서의 의견 지도력과 트위터 이용패턴: 이용동기, 트윗 이용패턴, 그리고 유형별 사례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6호, pp.365-404, 2010.
  3. 황유선, "트위터 활용과 사회자본과의 관계: 트위 터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6호, pp.94-120, 2013.
  4. 유미옥, 박경주, "트위터를 이용한 상호소통 시각화의 감각적 경험,"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29-35, 2012.
  5. 장덕진, "트위터 공간의 한국 정치: 정치인 네트워크와 유권자 네트워크,"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2호, pp.80-107, 2011. https://doi.org/10.22174/JCR.2011.48.2.80
  6. S. J. Kwon, E. Park, and K. J. Kim, "What drives successful social networking services? A comparative analysis of user acceptance of Facebook and Twitter," The Social Science Journal, Vol.51, No.4, pp.534-544, 2014. https://doi.org/10.1016/j.soscij.2014.04.005
  7. 류철균, 이주희, "트위터를 통한 선거 후보자의 스토리텔링 분석: 4.27 재보궐 선거기간의 최문순, 엄기영 후보의 트윗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제23권, pp.237-261, 2011.
  8. 장필식, "트위터 이용자의 언어권별 자기노출 및 경계 불투과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434-44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434
  9. 진소연, 이숙정, "트위터 유력자와의 의견일치 여부가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 유력자 유형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455-46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455
  10. 정재엽, 김현철, "영화 관객은 어떤 트위터 메시지에 영향을 받는가?: 메시지 전달자, 메시지 방향성, 영화 관람시기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7권, 제6호, pp.179-208, 2016.
  11. 박효찬, 박한우, "트위터 메시지를 활용한 재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분석: 2016년 경주 지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9권, 제1호, pp.291-302, 2017. https://doi.org/10.37727/jkdas.2017.19.1.291
  12. 고흥석, 심재웅, "2016년 미국 대통령 후보자의 소셜 미디어 메시지 내용 분석: TV토론 기간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제99호, pp.71-105, 2017.
  13. 황현정, 이준웅, "누가 어떻게 트위터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가?: 커뮤니케이션 속성과 메시지속성이 트위터 의견 지도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5호, pp.5-35, 2014.
  14. 전지나, "트위터 이용자들의 뉴스 생산, 유통, 소비 인식에 관한 연구," 주관성 연구, 제25권, pp.195-216, 2012.
  15. 윤성이, "트위터의 정치적 활용이 투표행태에 미치는 영향: 19대 총선 사례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보, 제23권, 제3호, pp.225-247, 2013.
  16. J. H. Huang, Y. R. Lin, and S. T. Chuang, "Elucidating user behavior of mobile learning: A perspective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lectronic Library, Vol.25, No.5, pp.585-598, 2007. https://doi.org/10.1108/02640470710829569
  17. 한창진, 김경수, "TV토론회에서 트위터가 선거에 미치는 영향: 18대 대통령 선거 TV토론회를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207-214, 2013.
  18. 이효성, "선거참여에 미치는 SNS와 포털 이용효과의 경로분석: 20대 총선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26권, 제1호, pp.97-115, 2018.
  19. K. Manzo, "Twitter lessons in 140 characters or less," Education Week, Vol.29, No.8, pp.1-14, 2009.
  20. R. D. Peterson, "To tweet or not to tweet: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early adoption of Twitter by house members in the 111th congress," The Social Science Journal, Vol.49, No.4, pp.430-438, 2012. https://doi.org/10.1016/j.soscij.2012.07.002
  21. R. Rauniar, G. Rawski, J. Yang, and B. Johns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social media usage: An empirical study on Facebook," Journal of Enterprise Information Management, Vol.27, No.1, pp.6-30, 2014. https://doi.org/10.1108/JEIM-04-2012-0011
  22. A. J. Sultan, "Addiction to mobile text messaging applications in nothing to 'lol' about," The Social Science Journal, Vol.51, No.1, pp.57-69, 2014. https://doi.org/10.1016/j.soscij.2013.09.003
  23. A. Tumasjan, T. O. Sprenger, P. G. Sandner, and I. M. Welpe, "Election forecasts with Twitter: How 140 characters reflect the political landscape,"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29, No.4, pp.402-418, 2011. https://doi.org/10.1177/0894439310386557
  24. K. A. Foot and S. M. Schneider, Web campaigning, Cambridge, MA: The MIT Press. 2006.
  25. 금혜성, "정치인의 SNS 활용: 정치적 소통 도구로서의 트위터," 한국정당학회보, 제10권, 제2호, pp.189-220, 2011.
  26. 이수범, 강연곤, "국내 일간지의 트위터 이슈에 관한 보도 프레임 분석: 정치적 소통과 여론 형성이라는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1호, pp.28-53, 2013.
  27. 권정언, 권상집, "안정그룹 애착이 개인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지식경영연구, 제15권, 제2호, pp.43-66, 2014.
  28. 권정언, 권상집, "안정그룹 애착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향력 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제18권, 제1호, pp.103-127, 2015.
  29. M. Choy, L. F. Michelle, M. N. L. Cheong, and K. P. Shung, A sentiment analysis of Singapore presidential election 2011 using Twitter data with census correction, Institutional Knowledge at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2011.
  30. 권상집, 정지용, "진성 리더십, 상사 신뢰, 심리적 웰빙, 지식공유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지식경영연구, 제17권, 제4호, pp.1-26, 2016. https://doi.org/10.15813/kmr.2016.17.4.001
  31. 권상집, "리더의 의사소통 유형이 직무성과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제18권, 제1호, pp.25-47, 2017. https://doi.org/10.15813/kmr.2017.18.1.002
  32. 신혜영, 권상집, "리더의 의사소통 유형, 상사 신뢰, 조직몰입,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지식경영연구, 제18권, 제2호, pp.23-43, 2017. https://doi.org/10.15813/kmr.2017.18.2.002
  33. 이상훈, 권상집,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융합 전략 및 성장 정책: IT & BT 융합기술 기반 네트워크 분석," 지식경영연구, 제16권, 제2호, pp.113-137, 2015. https://doi.org/10.15813/kmr.2015.16.2.006
  34. 배정환, 손지은, 송민,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2012년 한국대선 관련 트위터 분석," 지능정보연구, 제19권, 제3호, pp.141-156, 2013. https://doi.org/10.13088/jiis.2013.19.3.141
  35. D. Lee, H. Lee, and M. Choi,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orientation and US suicide rates: An analysis using big data-driven Google search querie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8, No.2, e35, 2016. https://doi.org/10.2196/jmir.4981
  36. 박창문, 조재욱, "SNS의 정치적 동원기능에 관한 비판적 고찰: 18대 대선에서 트위터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제12권, 제2호, pp.187-220, 2013.
  37. 권상집, "한류 증진을 위한 CGV의 성장 전략: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576-588,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576
  38. 권상집, "한류 확산을 위한 CJ E&M의 디지털 및 글로컬 콘텐츠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78-90,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078
  39. 이인혜, 권상집, "tvN의 콘텐츠 혁신: 폐기학습 및 흡수역량을 통한 탐험과 활용,"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355-368, 2017.
  40. S. Y. Lee and J. Choi, "Enhancing user experience with conversational agent for movie recommendation: Effects of self-disclosure and recipro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103, pp.95-105, 2017. https://doi.org/10.1016/j.ijhcs.2017.02.005
  41. K. Cha and S. J. Kwon, "Understanding the adoption of e-learning in South Korea: Using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pproach,"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15, No.2, pp.165-183, 2018. https://doi.org/10.22804/KJEP.2018.15.2.009
  42. 곽수정, 김현희, "텍스트 마이닝과 토픽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트위터에 나타난 사회적 이슈의 키워드 및 주제 분석,"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제8권, 제1호, pp.13-18, 2019. https://doi.org/10.3745/ktsde.2019.8.1.13
  43. 최두원, 김건, 이균형, 윤승욱, "대통령 기록관 및 기록물에 대한 SNS 이용자 인식변화 분석: 탄핵 전후 기간의 트위터와 뉴스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67-194, 2019.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1.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