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tical Study on the Design and Function of Food Safetey Application

식품안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과 기능 분석 연구

  • 손정은 (인제대학교 U디자인학과) ;
  • 정의태 (인제대학교 U디자인학과) ;
  • 백진경 (인제대학교 U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9.01.28
  • Accepted : 2019.03.11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With about 600 officially licensed food additives now living in modern people's lives, consumers' interest in the additives, food safety and harmfulness in food products is also increasing, and mobile services for consumers who want to properly recognize and purchase the safety of food they want to consume are being implemented at home and abroad. In this study, six major applications that provide food safety information were analyzed for functions and designs, evaluated by design experts and evaluated for usability to actual users. Through the function and design analysis results, three similar domestic applications were selected, and the design experts were evaluated for UI and usability, and two of the most similar applications were selected for usability testing.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two applications were similar in usability, but considering the overal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trictest available food safety application. After this study, we propose improvements in the design of food safety applications and existing designs and functions to help improve the convenience of food application developers and users, and thus to ensure the safe and correct eating habits of the people.

국내에 공식 허가된 식품 첨가물은 약 600개에 달하여 이제 현대인들의 삶 속에 공존하고 있으며 식품에 함유되어있는 첨가물과 식품의 안전성, 유해성에 관한 소비자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고자 하는 식품의 안전성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구매하고자하는 소비자들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가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안전정보를 제공하는 대표 애플리케이션 6개의 기능과 디자인을 분석하고, 디자인 전문가 평가 및 실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능 및 디자인 분석 결과를 통하여 비슷한 성격의 국내 애플리케이션 3가지를 선정하여 디자인 전문가에게 UI 및 사용성 등 디자인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후 가장 유사한 애플리케이션 두 가지를 선택하여 사용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테스트 결과 엄정, 엄선 두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이 비슷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종합적 결과를 고려하여 엄정이 가장 사용성이 높은 식품안전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식품안전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시 고려해야 할 점과 기존 디자인과 기능의 개선사항을 제안하여 식품애플리케이션 개발자와 이용자의 편의 향상과, 나아가 국민의 안전하고 올바른 식생활 영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Keywords

CCTHCV_2019_v19n4_91_f0002.png 이미지

그림 1. 엄선 컬러라벨

표 1. 엄선 기본정보 분석

CCTHCV_2019_v19n4_91_t0001.png 이미지

표 2. 엄선 사용자 리뷰 분석

CCTHCV_2019_v19n4_91_t0002.png 이미지

표 3. 엄정 기본정보 분석

CCTHCV_2019_v19n4_91_t0003.png 이미지

표 4. 엄정 사용자 리뷰 분석

CCTHCV_2019_v19n4_91_t0004.png 이미지

표 5. 푸딩 기본정보 분석

CCTHCV_2019_v19n4_91_t0005.png 이미지

표 6. 식품안전나라 기본정보 분석

CCTHCV_2019_v19n4_91_t0006.png 이미지

표 7. 식품안전나라 사용자 리뷰 분석

CCTHCV_2019_v19n4_91_t0007.png 이미지

표 8. 내손안 식품안전정보 기본정보

CCTHCV_2019_v19n4_91_t0008.png 이미지

표 9. 내손안 식품안전정보 사용자 리뷰 분석

CCTHCV_2019_v19n4_91_t0009.png 이미지

표 10. Food Additives 식품안전정보 기본정보

CCTHCV_2019_v19n4_91_t0010.png 이미지

표 11. 애플리케이션 기능 분석 표

CCTHCV_2019_v19n4_91_t0011.png 이미지

표 12.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분석표

CCTHCV_2019_v19n4_91_t0012.png 이미지

표 13. 전문가 디자인평가 예시문

CCTHCV_2019_v19n4_91_t0013.png 이미지

표 14. 엄선 전문가 디자인 평가

CCTHCV_2019_v19n4_91_t0014.png 이미지

표 15. 엄정 전문가 디자인 평가

CCTHCV_2019_v19n4_91_t0015.png 이미지

표 16. 내손안의 식품안전정보 전문가 디자인 평가

CCTHCV_2019_v19n4_91_t0016.png 이미지

표 17. 과제 분석 목록

CCTHCV_2019_v19n4_91_t0017.png 이미지

표 18. 과제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4_91_t0018.png 이미지

References

  1. 장시복 기자, "MSG, 해롭지 않은 천연소재 조미료인데 왜?," https://news.joins.com/article/10442043, 중앙일보, 2018.11.10.
  2. 네이버 지식백과, "식품첨가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8605&cid=40942&categoryId=32099, 2018.11.23.
  3. 제미혜, 시각적 촉감을 적용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사용자 감성 연구: 2010년 출시된 터치형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4-37, 2011.
  4. 이가영, "모바일 앱의 시각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인터넷 서점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제14권, 제1호, p.620, 2014.
  5. 고의, 스마트폰 기반의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app의 UI디자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6. 두산백과, "레이아웃,"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837, 2018.11.26.
  7. 네이버 지식백과, "아이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84753&cid=41828&categoryId=4182, 2018.11.26.
  8. 송현정, 이상선, "SNS의 글쓰기 및 타임라인 GUI 분석과 사용자 심성모형 : 모바일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를 중심으로," Journal of Intefrated Design Research, 제13권, 제4호, 2014(12).
  9. 문희정, "소셜커머스 앱에서의 UX디자인에 관한 연구 : 정보구조, 레이아웃 인터페이스 (GUI) 요소 중심으로," Journal of Intefrated Design Research, 제12권, 제3호, pp.35-46, 2013(9). https://doi.org/10.21195/jidr.2013.12.3.003
  10. 김태현, 이재익,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UI 사례연구 - 국내 애플워치 앱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제24권, pp.159-171, 2016.
  11. 이석, 스마트폰 UI접근성을 위한 앱 컬러 가이드라인, 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2. 박제창, 이제훈, "당뇨병 환자를 위한 실내자전거 기반 운동 코칭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86-95,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086
  13. 정수철, "의약품 사용평가(DUR) 확대를 통한 의약품 부작용 보고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234-241,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234
  14. 왕보람, 박지윤, 최인영, "스마트폰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수용을 위한 주요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pp.396-40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0.396
  15. 루한이, 서한석, "태블릿 PC의 GUI 디자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158-169,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