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Rice Growth and Yield in Different Direct Seeding Methods Following by Italian Ryegrass Harvest

사료작물 후작 벼 직파 방법별 생육 및 수량 비교

  • Park, K.H. (Department of Food Crops,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Park, S.T. (Department of Food Crops,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박광호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식량작물학과) ;
  • 박성태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식량작물학과)
  • Received : 2019.03.18
  • Accepted : 2019.05.09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The field trial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ice growth and yield in different direct seeding methods after Italian Ryegrass Harvest The required time for seed emergence was for 7 ~ 8days in the tested direct seeding methods and there was high in seedling establishment in order of wet hill-seeding with iron-coated seeds > water seeding with iron-coated seeds > wet hill-seeding with soil coverage with pregerminated seeds. The rice plant height was shorter in the tested direct seeding methods than that of machine transplanting until 45day after seeding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tatistical analysis at 63day after seeding. The growth of tiller number in the rice plant was high in water seeding with iron-coated seeds and wet hill-seeding with soil coverage and low in wet hill-seeding with iron-coated seeds compared to machine transplanting. The yield component in the tested direct seeding methods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tatistical analysis. The milled rice yield in the tested direct seeding methods was higher 2 ~ 8% being with 4.94 ~ 5.24t/ha than that of machine transplanting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tatistical analysis. The percentage of head rice was low in the tested direct seeding methods compared to machine transplanting. The weedy rice was not occurred in the tested rice cultivation methods. In conclusion the direct seeding method would be recommended to be a suitable to in following by Italian ryegrass harvesting in southern area of Korea in terms of reduction in production cost and high income basis for rice growing farmers.

철분코팅볍씨 사용 담수산파와 무논점파, 싹튼 볍씨 사용 복토 무논점파의 생육 및 수량 비교(기계이앙-대조구)를 위한 포장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벼 직파재배 방법별 출아일수는 7 ~ 8일 소요되었으며, m2당 입모수는 109 ~ 167개로 무논점파(철분) > 담수산파(철분) > 무논점파(복토) 순으로 많았다. 무논점파 결주율은 1.2 ~ 2.3%로 기계이앙 1.7%와 거의 비슷하였다. 벼 초장은 기계이앙에 비하여 담수산파(철분)와 무논점파(복토)는 파종 후 30일, 무논 점파(철분)는 파종 후 45일까지 유의하게 짧았으나, 이후 점차 차이가 적어져 파종 후 63일에는 거의 비슷하였다. 벼 직파방법 간에는 싹튼볍씨를 사용한 무논점파(복토)에서 초장이 약간 길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차는 없었다. 벼 경수는 기계이앙에 비하여 담수산파(철분)와 무논점파(복토)는 많았고, 철분코팅볍씨 사용 무논점파는 적었다. 벼 직파방법별로는 담수산파(철분) > 무논점파(복토) > 무논점파(철분) 순으로 많았다. 출수기는 8월 22일 ~ 24일로 기계이앙 8월 19일 보다 3 ~ 5일이 늦었고, 직파재배 방법 중에는 싹튼볍씨 이용 무논점파(복토)에서 1 ~ 2일이 빨랐다. 간장은 기계이앙에 비하여 0.1 ~ 11.6 cm가 짧았고, 철분코팅볍씨를 사용한 담수산파와 무논점파는 통계적 유의차도 있었다. 벼 직파방법별로는 무논점파(복토) > 무논점파(철분) > 담수산파(철분) 순으로 길었고, 직파재배방법 간에 통계적 유의차도 있었다. 수장은 20.0 ~ 20.7 cm로 기계이앙 18.4 cm에 비하여 1.6 ~ 2.3 cm가 길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수량구성요소는 다 같이 벼 재배방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차는 없었으나, m2당 수수는 413 ~ 441개로 기계이앙과 3 ~ 22개 차이가 있었고, 벼 직파방법 간에는 담수산파(철분) > 무논점파(복토) > 무논점파(철분) 순으로 많았다. 수당입수는 76 ~ 84개로 기계이앙에 비하여 4 ~ 12개가 많았고, 벼 직파방법 간에는 무논점파(복토) > 담수산파(철분) > 무논점파(철분) 순으로 많았다. m2당 입수는 담수산파(철분) > 무논점파(복토) > 무논점파(철분) > 기계이앙 순으로 많았고, 등숙비율은 81.3 ~ 88.6%, 현미천립중은 24.1 ~ 25.8g이었다. 쌀수량은 10a당 494 ~ 524 kg으로 기계이앙 보다 2 ~ 8% 높았고, 벼 재배방법 간에는, 담수산파(철분) > 무논점파(복토) ≥ 무논점파(철분) > 기계이앙 순으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차는 없었다. 현미품위는 완전미 비율이 무논점파(철분) 52.9% > 무논점파(복토) 43.6% > 담수산파(철분) 40.% 순으로 높았으나, 벼 직파재배의 현미품위는 기계이앙(64.3%) 보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잎도열병은 이앙 후 45일(8월 2일) 전·후에 기계이앙 보다 좀 더 심하게 발생하였으나 벼 재배방법 다 같이 목도열병은 발생하지 않았다. 잎집무늬마름병은 기계이앙 10%, 직파재배 2 ~ 5% 정도 내외 이삭누룩병은 벼 재배방법 다같이 0.1% 정도 발생하였다. 잡초는 8월에 들어서 부터 기계이앙 0.5 ~ 1%, 담수산파(철분) 3 ~ 8%, 무논점파는 1 ~ 5% 발생하였다. 특히 담수산파는 9월 상순이후 후발 피 발생이 증가하였다. 잡초성벼는 벼 재배방법 다 같이 발생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구, 최민규, 구본일, 상완규, 이민희, 김영두, 박홍규, 최원영, 김보경, 이점호. (2014). 남부평야지 이모작에서 벼 무논점파 재배시 파종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6(3): 251-257.
  2.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2015). 중ㆍ북부지역 주요 작부체계: 53~69.
  3. 농촌진흥청, 농협, 한국직파농업협회. (2016). 벼 직파재배기술 매뉴얼(무논점파ㆍ건답점파): pp. 27.
  4. 朴錫洪. (1993). 벼 直播栽培의 現況 및 問題點과 發展方向. '93 直播栽培硏究: 1~27.
  5. 박광호. (2016). 담수산파 파종 전 제초제 처리에 따른 철분코팅종자와 잡초성벼의 출아, 입모 및 초기생육 영향. 현장농수산연구지. Vol.18(1): 93-100.
  6. 박광호, 박성태. (2017). 벼 직파 유형별 생육 및 수량 비교 연구. 현장농수산연구지, 19(1):119~128.
  7. 백남현, 남정권, 김택겸, 양창휴, 이상복, 김시주, 정재혁, 조광민, 백채훈, 이경보, 강태경. (2012). 무인헬기를 이용한 벼 직파재배기술. 24(5): 531-535.
  8. 양원하, 김제규, 이문희, 전세창, 한희석. (2015). 벼 직파재배 농가의 재배기술 현황과 전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7(3): 342-347.
  9. 최민규, 구본일, 강신구, 상완규, 백남현, 김영두, 박홍규, 최원영, 박태선, 김보경. (2012). 호남평야지에서 벼 무논점파 재배시 적정 파종기 구명.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4(3): 325 -330.
  10. Lee C. W., Y. S. Ki and J. T. Lim. (1994). Optimum number of seedling stands of rice for high yield in direct water-seeded culture. Kor. J. Crop Sci. 39(5): 405-411.
  11. Furuhata, M., T. Chosa, O. Matsumura and T. Yukawa. (2009). Effect of ironpowder coating versus calciumperoxide coating of seeds on seedling emergence and establishment of rice direct seeded in submerged paddy field. Jpn. J. Crop Sci. 78(2): 170-179.
  12. Lee S. S. and J. H. Kim. (1999). Morphological change, sugar content, and α-amylase activity of rice seeds under various priming conditions. Korean J. Crop. Sci. 44, 138-142.
  13. Mori, S., H. Fujimoto, S. Watanabe, G. Ishioka, A. Okabe, M. Kamei and M. Yamauchi. (2012). Physiological performance of iron-coated primed rice seeds under submerged conditions and the stimulation of coleoptile elongation in primed rice seeds under anoxia. Soil Science and Plant Nutrition 58(4): 469-478.
  14. Park, S. T., J. E. Hill, A. C. Chang, and S. K. Lee. (1993). Effects of different water depths on early growth of rice and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 Korean J. Crop Sci.38(5): 405-412.
  15. Yamauchi, M. (2002). Reducing floating rice seedling in wet direct sowing by increasing specific gravity of seeds with iron powder coating(In Japanese). Jpn. J. Crop Sci. 71(extra issue 1): 150-151.
  16. Yamauchi, M. (2004). Improved anchorage and bird protection with ironcoated seeds in wet direct seeding of rice crops. In Proceeding of the World Rice Research Conference held in Tokyo and Tsukuba, Japan, 4-7 November 2004: 209-211.
  17. Yun S. H. (1998). Climate change and its impact on agricultural ecosystem. KSCS & KBS Symposium for 50th Anniversary GSNU, Jinju,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in Korean].
  18. 苗播機稻作硏究會. (1966). 移秧作の機械化苗播栽培法 實用化に關する 試驗硏究報告書: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