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진군, 강정현, 김인규. (2008). 농촌의 자원지도력 육성을 위한 농업인 조직의 활력화 방안 연구: 농촌지도자회 사례. 농촌지도와 개발. Vol. 15-5.
- 신지영. (2000). 부모와의 갈등적 독립 및 가족응집력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관형, 장용규, 안현미. (2000). 교육대학 남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만족도 연구. 학생생활연구 Vol 26. 115-145.
- 이시연. (2017). 대학생 자기대상욕구와 진로 정체감 및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순천향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찬숙, 이혜경. (2014). 전문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K전문대학교 신입생을 중심으로. 대학생활연구, 20권 1호. 19-31.
- 정보연. (2010).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 허용준. (2013). 한국농업의 영농 규모와 형태별 총요소생산성 추이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현진원. (1992). '완벽주의' 성향과 평가수준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Hinkle, S. E. (2005). Making the transition: The adjustment experiences of first-year students attending a pre-college academic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Indianapolis.
- HollandJ. L, Gottfredson. D. C. ,& Power. P. G. (1980). Some diagnostic scales for research in decision making and personality ;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Joum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39(6),1191-1200.
- Holland J. L., J. E: Holland. (1977).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 Counseling Psychology 24(5), 404- 414.
- Holland, J. L. (1985).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2nd ed.). Englewood Cliffw. NJ ; prentice-Hall.
- Lazarus, R. S. (1976). Patterns of adjustment (3rd ed). New York :McGraw-Hi.
- Skorikov, V., & Vondracek, F. (1998). Vocational identity development: Its relationship to other identity domains and to overall identity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6(1). 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