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3김정치시대 이전 국회 원내단체교섭 정당별 의석수
<표 2> 3김정치시대 국회 원내단체교섭 정당별 의석수
<표 3> 3김정치시대 이후 정당별 국회의원 의석수
<표 4> 3김정치시대 이전 대통령선거 분석
<표 5> 3김정치시대 대통령선거 분석
<표 6> 3김정치시대 이후 대통령선거 분석
<표 7> 3김정치시대 이전 제1당 및 제2당 분석
<표 8> 3김정치시대 정당구도의 분석
<표 9> 3김정치시대 이후 정당구도의 분석
<표 10> 3김정치시대 이전 대통령후보의 지역별 득표율
<표 11> 3김정치시대 대통령후보의 지역별 득표율
<표 12> 3김정치시대 이후 대통령후보의 지역별 득표율
<표 13> 3김정치시대와 3김정치시대 이후 영·호남의 지역구 의석 현황
References
- 강원택. 2012. "3당 합당과 한국 정당정치." 한국정당학회보 제11권 제1호, 171-193.
- 고성국. 1992. "역대 대통령선거에서 맞선 라이벌 박정희 대 김대중." 역사비평 통권19호, 180-181.
- 김성수. 2013. "한국 지역주의 현상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이해: 지역정당체제의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아태연구 제20권 제3호, 82-85.
- 김성식. 1992. "14대 대통령선거의 정치적 의미와 범야권의 과제." 동향과 전망 통권 제18호, 219-238.
- 김영명. 2008. 한국의 정치변동. 서울: 을유문화사.
- 김용욱. 2004. 한국정치론. 서울: 오름.
- 김용철 외. 2018. 현대한국정치의 이해. 파주: 마인드탭.
- 김용호. 2016.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종치의 제도화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미래정치연구 제6권 제1호, 10-14.
- 김진하. 2010. "한국 지역주의의 변화: 투표행태와 정당을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 제3권 제2호, 89-114.
- 김태룡. 1998. "김영삼 정부 시기의 정당개혁에 대한 평가." 한국행정논총 제10권 제2호, 515-532.
- 문우진. 2016. "한국 선거경쟁에 있어서 이념 갈등의 지속과 변화: 15대 대선 이후 통합자료 분석." 한국정당학회보 제15권 제3호, 40-42.
- 민준기. 2007. "김대중 정부의 개혁평가." 아태연구 제14권 제1호, 19-31.
- 박경미 외. 2012.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구상적 특성." 한국정당학회보 제11권 제3호, 127-154.
- 박상훈. 2000. "민주화 이전의 선거와 지역주의." 아세아연구 통권 제104호, 187.
- 송백석. 2006. "김대중 정부의 정책성격 분석 비판: 복지국가 성격논쟁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통권 제71호, 126-153.
- 쑨이페이, 정태일. 2017. "한국의 정치변동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승만과 박정희 정권을 중심으로." 동북아연구 제32권 2호, 38-65.
- 이준한. 2013. "한국의 이념성향과 생애주기효과: 2007년과 2012년 대통령선거." 정치정보연구 제16권 2호, 17-18.
- 임성한. 1998. "김영삼 정부 주도하의 정치개혁법이 한국정치에 미친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37집, 35-57.
- 임혁백. 2011. 1987년 이후의 한국 민주주의: 3김정치시대와 그 이후.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 정관용. 1990. "3당 합당의 구조적 본질과 실천적 대안." 동향과 전망 통권 제7호, 198-219.
- 정근하. 2017. "5.18민주화운동의 지역성 극복을 위한 방안연구: 학술논문 저자와 학술지 편중분포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사회 1권 2호, 5-32. https://doi.org/10.22718/KGA.2017.1.2.005
- 정대화. 1998. "제15대 대통령선거 결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여.야간 평화적 정권교체의 배경과 투표결과에 대한 해석." 동향과 전망 통권 제37호, 56-63.
- 정상호. 1998. "제15대 대선과 한국 민주주의의 공고화." 동향과 전망 통권 제48호, 93.
- 정영국. 1993. "지역주의와 선거전략: 제14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한국과 국제정치 제18권 2호, 33-60.
- 정주신. 2017a. "한국정당의 공천파동에 따른 선거결과 함의: 제20대 총선과정에서 여.야 정당의 공천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사회 1권 1호, 31-70. https://doi.org/10.22718/KGA.2017.1.1.031
- 정주신. 2017b. "유신체제시기 박정희 대통령의 집권욕과 폭압성: 통리주체국민회의.부마항쟁." 한국과 국제사회 1권 2호, 33-84. https://doi.org/10.22718/KGA.2017.1.2.033
- 정진민.황아란. 1999. "민주화 이후 한국의 선거정치: 세대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제33집 2호, 115-134.
- 정태일. 2015. "한국에서 지역주의의 정치적 효과." 한국동북아논총 제20집 제3호, 296.
- 정태일.쑨이페이. 2017. "한국대통령의 집권위기에 나타난 헌법개정의정치적 동인 분석." Crisisonomy 제13권 제9호, 178-179.
- 정태환. 2005. "김영삼 개혁정치의 성격과 정치적 동원." 한국학연구 제23권(2005), 281-306.
- 정태환. 2009. "김대중 정권의 개혁정치: 모순과 한계." 한국학연구 제31권, 387-416.
- 조현연. 1997. "15대 대통령선거와 'DJP 지역연합." 동향과 전망 통권 제33호, 103-131.
- 지충남. 2010. "김대중.노무현.이명박 정부와 영호남 지역주의: 엘리트충원을 중심으로." 2010 대한정치학회 추계학술회의 자료집, 77.
- 진영재.박준식. 2008. "한국정당통합 및 연합 유형과 선거결과와의 관계에서 특질: 1987년 민주화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제42집 제2호, 132.
- 최한수. 1999. 한국정당정치변동 I. 서울: 세명서관.
- 현재호. 2004. "민주화 이후 정당 간 연합에 관한 연구: DJP연합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제47권 1호, 147-178.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http://info.nec.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