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pecialization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in Korea through the Japanese Private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일본 민간경비원 검정제도 연구를 통한 한국 민간경비산업 전문화 방안

  • 이치영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경호학과)
  • Received : 2019.04.30
  • Accepted : 2019.06.05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As the demand for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safety is gradually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and social environment, and the use of private areas for effective prevention and supply required for the demand for safety services, this paper analyzed the Japanese private security testing system for the introduction of the Korea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as a way to secure expertise in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and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certificate segmentation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learly divided field and scope of the expense oper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qualification of the private security 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Third,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combined evaluation method through the departmental and practical tests. Fourth, an assessment should be made through the link between departments and practical subjects. Fifth, the diversity of the acquisition methods should be placed to ensure the gainer's accessibility. Finally, the use of professional and visible use of professional personnel should be achieved through benefit assessment for those who are qualified for

시대적 흐름과 사회적 환경에 따라 국가안보와 국민안전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안전서비스 수요에 필요한 공급과 효과적 예방을 위한 민간영역의 활용이 점차 요구됨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민간경비산업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일본의 민간경비원 검정제도의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그 시사점을 한국 민간경비산업 전문화 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명확히 구분된 경비업무의 분야와 범위에 따른 자격증 세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수준에 따른 민간경비 검정자격의 구분이 필요하다. 셋째, 학과시험과 실기시험을 통한 복합적 평가방법의 활용이 필요하다. 넷째, 학과-실기과목의 연계를 통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자격취득 방법의 다양화를 두어 자격취득자의 접근성을 확보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검정합격자에 대한 혜택부여를 통해 전문인력의 활용과 가시적 활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처럼 6가지의 시사점에 대하여 한국 민간경비 검정제도의 도입 시 민간경비업 구분의 불명확함, 교육훈련체계 미비로 인한 검정을 위한 과목구성과 체계 부족, 검정과목과 업무 관련성 미비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새로운 시대의 전문화된 안전전문산업으로서의 역할과 고객의 수요에 부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동균, 박기범 (2012). 일본 민간경비 산업의 특징 및 정책적 시사점.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1(2), 97-128.
  2. 박성수 (2017). 민간경비교육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일반경비원 신임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16(3), 105-132.
  3. 박장규, 김남중 (2013). 한국 민간경비 자격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경비지도사 및 경비원 자격을 중심으로. 융합보안 논문지, 13(5), 117-127.
  4. 박준석, 홍준혁 (2006). 민간경호.경비 관련 전문자격제도 도입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보, 7, 121-162
  5. 박형식 (2014). 경비원의 직무교육과 경비지도사의 역할.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3(2), 107-127.
  6. 안황권 (2006). 민간경비 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1, 159-181
  7. 조상현 (2015). 민간경비 교육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비교법학, 26, 95-121.
  8. 조용철 (2007). 외국 민간경비원의 자격증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0, 133-152.
  9. 조용철, 김순석 (2008). 일본 민간경비원의 자격 및 훈련제도에 관한 연구. 경호경비연구, 16, 1-18.
  10. 최정택 (2009). 민간경비 자격검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8, 143-167.
  11. 警備業法(昭和四十七年法律第百十七号)
  12. 警備業法施行規則(昭和五十八年総理府令第一号)
  13. 警備員検定等に関する規則(平成十七年国家公安委員会規則第二十号), 平成三十一年三月二十九日公布 (平成三十一年国家公安委員会規則第四号) 改正
  14. 第096回国会 地方行政委員会 第15号 昭和五十七年四月二十二日 (木曜日)
  15. 일본경찰청 생활안전국 통계자료(http://www.npa.go.jp/bureau/saf etylife/index.html, 2019년 4월 29일 검색)
  16. 경비업법 시행규칙[행정안전부령 제112호, 2019. 4. 23. 일부개정]
  17. 경비업법[법률 제16316호, 2019. 4. 16. 일부개정]
  18. 자격기본법[법률 제14397호, 2016. 12. 20. 일부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