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 of forms the composition elements of pyeonbokpo (men's coat) excavated in the tombs of the 15th-18th century (1) - Focused on collar and seop -

15~18세기 출토복식 편복포 구성요소의 형태변화 연구 (1) - 깃과 겉섶을 중심으로 -

  • Kim, Jung-Ae (Dept. of Apparel Design, College of Art & Design, Konkuk Univ) ;
  • Lee, Dong-A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Kangwon Univ.)
  • 김정애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의상디자인전공) ;
  • 이동아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학과)
  • Received : 2019.07.09
  • Accepted : 2019.11.14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is paper tried a detailed approach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basic elements that influenced the change of forms of the Po. To this end,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the clothing from the 15th to the 18th century, which was found in the tombs of the period of Pyeonbokpo. The total number of excavated artifacts measured directly is 6 and other correctly described excavated artifacts for a total of 54 items. Per period and element, the types of collars and Seop were presented by classifying collars in 4 types, and Seop in 3 types. On the basis of the classification, the relics selected in this paper were analyzed considering the appearance, period, and rate per type of each element. The type and the change of forms of each element per period, with the focus on the appearance, were identified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of forms per elem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uch factors were investigated. The representative type in the first period included dual collars, dual Seop and the representative type in the second period was characterized by a shawl collar and a dual Seop joining the pieces. The representative type in the third period was characterized by round collars and a short Seop. The elements determining the forms of Po, including collars and Seop, had a correlation to the lapse of time and had been systematically influencing each other. Furthermore, the overall change of form was caused due to the social functions as well as the supplementary function of keeping balance among the elements and accordingly, the change of forms was think characterized per period.

Keywords

References

  1. 고부자. (2001). 韓國服飾. 19호. 용인시: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 고부자. (2006). 韓國服飾. 제 24호. 용인시: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3. 건국대학교박물관. (2007). 16.17세기 출토복식. 서울: 건국대학교박물관.
  4. 경기도박물관. (2001).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시: 경기도박물관.
  5. 경기도박물관. (2003).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시: 경기도박물관.
  6. 경기도박물관. (2004). 심수륜 묘 출토유물 복식고찰. 용인시: 경기도박물관.
  7. 김영숙. (편).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8. 대전선사박물관. (2007). 조선 초.중기 여산송씨 출토복식. 대전시: 대전선사박물관.
  9. 민속박물관. (2010). 유물보존총서IV 이진숭 묘 출토복식. 서울: 민속박물관.
  10. 박성실. (2008). 정사공신 신경유公 墓 출토복식. 용인시: 단국대학교출판부.
  11. 서울대박물관. (2000). 이석명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 서울대학교박물관.
  12. 석주선기념박물관. (2015). 韓國服飾 제33호. 용인시: 단국대학교.
  13. 석주선기념박물관. (2002). 韓國服飾 제20호. 용인시: 단국대학교.
  14. 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韓國服飾 제23호. 용인시: 단국대학교.
  15. 석주선기념박물관. (2009). 韓國服飾 제27호. 용인시: 단국대학교.
  16. 석주선기념박물관. (2008). 韓國服飾 제26호. 용인시: 단국대학교.
  17. 석주선 기념박물관. (2004). 韓國服飾 제22호. 용인시: 단국대학교.
  18. 석주선 기념박물관. (2001). 韓國服飾 제19호. 용인시: 단국대학교.
  19. 송미경. (2004). 심수륜 묘 출토유물 복식고찰. 용인시: 경기도박물관.
  20. 심연옥. (2002). 한국직물 오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21. 안동대박물관. (2000). 포항 내단리 장기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안동시: 안동대학교박물관.
  22. 영주시. (1998). 判決事 金欽祖先生 合葬墓 發掘調 査報告書. 영주시: 영주시청문화관광과.
  23. 유송옥.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수학사.
  24.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25. 이은주. (2003). 17세기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시: 경기도박물관.
  26. 이은주. (2008). 1743 영조 오순 어언례 참여자의 복식고증. 한복문화. 11(2). 서울: 한복문화학회.
  27. 충주박물관.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충주시: 충주박물관.
  28. 충북대박물관. (1995). 우리나라 16.17세기 출토복식. 청주시: 충북대학교박물관.
  29. 금종숙. (2003). 조선시대 철릭의 형태 및 바느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김신애. (2014). 조선시대 남자포에 나타난 무의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김정애. (2018). 조선시대 편복포의 구성요소별 형태변화 연구. -15-18세기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박성실. (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안전혜. (2011). 조선시대 출토된 도포의 형태 및 바느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유정순. (2010). 근세 한일 남자 포(袍)의 조형적 특징 비교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이은주. (1998). 道袍양식의 발전에 대한 갈등.기능론적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이주영. (2001). 조선시대 直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