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rocess-based Evaluation' for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Class

예비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수업에서 운영한 '과정중심평가' 실효성 연구

  • Received : 2019.11.27
  • Accepted : 2019.12.23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e study aims to run a 'Process-based Evaluation' and find out its effectiveness in science classes for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rocess-based Evaluation performed in this study was performed during unit classes and scored when significance was recognized in the student's learning behavior.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cored an average of 3.6 points on whether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conducted during class was appropriate as an assessment. Second, on the basis of the assessment presented by the students, the main positive content is "assessing the process, not the outcome", "contributing positively to class participation" and "promoting accident activities". Third, the negative contents of the assessment grounds presented by the students include 'lack of objectivity in evaluation methods and results', 'the individual tendencies of students are involved in evaluation results' and 'poor learning effects of the textbook knowledge'.

이 연구는 예비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과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운영하고 그 효과를 알아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과정 중심 평가는 단위 수업 중에 실시되었으며, 학생의 학습행동에서 유의성이 인정될 때 점수가 매겨졌다. 연구결과에 근거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시간에 실시한 과정정중심평가가 평가로서 적절한지에 대해 학생들의 평가는 평균 3.6점이었다. 둘째, 학생들이 제시한 평가 근거에서, 긍정적인 주요내용은 "결과가 아닌 과정을 평가", "수업 참여에 긍정적으로 기여함", "사고 활동의 촉진"이다. 셋째, 학생이 제시한 평가근거에서 부정적 내용은 '평가방법과 결과의 객관성 결여', '학생들의 개별 성향이 평가결과에 관여함', '교과 지식의 학습효과 미흡' 등이 주요 내용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우(2006). 학습을 위한 초등영어 교실평가. 고경석 외 15인(편), 초등영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465-494.
  2. 곽영순, 손정우, 김미영, 구자옥(2014). 핵심역량과 융합교육에 초점을 둔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방향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321-330.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321
  3.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별책 1>, 교육부.
  4. 권점례, 박은아, 김현경, 이영미, 강민규, 송민영, 배영권, 서영진(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방안(1): 초.중학교를 중심으로. 연구보고 RRC 2016-8-1. 서울: 교육과정평가원.
  5. 김동원, 김병수, 김지훈(2016). 거꾸로교실(Flipped Classroom) 수업 사례를 통한 초임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연구. 초등교육연구, 29(4), 1-23.
  6. 김유향, 노은희, 김인숙, 박종임, 이인화, 김미경, 정연준, 성경희, 김광규, 장근주, 김정효, 유창완(2017).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연구자료 ORM 2017-19-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노철현(2017). 초등 수업 관찰 사례 분석: 수업정상화를 위한 시사 탐색. 한국초등교육, 28(1), 53-76.
  8. 문병찬(2017). 거꾸로 수업기반 지구과학 수업모델 개발 및 적용 사례.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91-103.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2.91
  9. 문병찬, 김용택, 임형선(2016). 학교캠퍼스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방안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39-53.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39
  10. 박상준(2015). 거꾸로 교실 모형의 개발과 적용 사례의 연구: 예비교사 교육에의 적용 결과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22(2), 1-21.
  11. 박성익(1998). '수요자 중심 교육과정 운영방안'에 대한 토론. 열린교육연구, 6(1), 441-444.
  12. 박재희, 정현성(2017). 초등영어 과정중심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 교사교육연구지, 56(4), 367-384.
  13. 신영준, 하지훈, 홍준의, 전영석, 이수영, 박지선, 지재화, 이수아, 문혜숙, 이혜숙, 이성희(2016). 거꾸로 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과학교과서 모형개발연구. 과학교육연구지, 40(1), 90-102. https://doi.org/10.21796/JSE.2016.40.1.90
  14. 이경화, 강현영, 고은성, 이동환, 신보미, 이환철, 김선희(2016). 과정중심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26(4), 819-834.
  15. 이희숙, 강신천, 김창석(2016). 플립러닝의 학습효과 관련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1), 87-100.
  16. 임은영(2016).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의미. https://happyedu.moe.go.kr/bbs.
  17. 홍수향, 장인실, 김태선(2017). 합의적 질적 연구를 통한 초등교사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교육과정연구, 35(4), 47-69.
  18. 황윤한(2008). 교실 수업에서의 평가와 학습의 연계: 개별화수업(DI)에서의 평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6(4), 47-72.
  19. Bergmann, J., & Sams, A. (2012).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Eugene Oregon: ISTE & ASCD.
  20. Chappuis, S., & Chappuis, J. (2007). The best value in formative assessment. Educational Leadership, 65(4), 14-19.
  21. Guskey, T. R. (2007). The rest of the story. Educational Leadership, 65(1), 28-35.
  22. Marzano, R. J. (2003). What works in school: Translating research into action. Alexandria, VA: ASCD.
  23. Moskal, B. M., & Magone, M. E. (2000). Making sense of what students know: Examining the referents, relationships and modes students displayed in response to a decimal task.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3(4), 313-335. https://doi.org/10.1023/A:1011983602860
  24. Van den Heuvel-Panhuizen, M. (1994). Improvement of (didactical) assesment by improvement of problems: An attempt with respect to percentag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7(4), 341-372. https://doi.org/10.1007/BF01273377
  25. William, D., & Leahy, S. (2007).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formative assessment. In J. H. McMillan (Eds.), Formative classroom assessment: Thery into practice, pp.99-118.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