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of Culture Inclusiveness Concept for Hongdae-ap Case

홍대앞 사례를 통한 문화적 포용성 개념의 적용

  • Park, Minha (Department of Digital Culture & Contents, Hanshin University) ;
  • Lee, Byungmin (Department of Digital Culture & Contents, Konkuk University)
  • 박민하 (한신대학교 디지털문화콘텐츠학과) ;
  • 이병민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9.12.16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a conceptualization model of 'cultural inclusiveness' organically connected to social inclusiveness, by expanding the implications of urban inclusiveness to the domain and relationship. Based on the process of necessity of relation, connection of space, and execution of act, the cultural inclusiveness could be connected to the formation of organic/learning relation, the creation of openness focusing on public space, and the practice of diverse subjects. Concretely, the concept of cultural inclusiveness is applied to the case of 'Hongdae-ap'. The recent Hongdae-ap is showing the value of coexistence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 that could protect the diversity of individual subjects and groups(artists, residents, government officials, students, cultural activists, citizens, tourists, and etc.), the formation of public space such as 'Hongdae-up playground', 'pedestrian-friendly street', and 'Gyeongui-Line book street', social network service & horizontal network, and access.

본 연구는 도시 포용성의 함의를 영역성과 함께 관계성을 더해 확장하여, 사회적 포용성과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문화적 포용성'의 개념화 모델을 제시한다. 문화적 포용성은 관계의 필요와 공간의 연결, 행위를 통한 실행의 과정을 바탕으로 유기적·학습 관계의 형성 및 공적 공간을 중심으로 한 개방성의 창출, 다양한 주체의 실천으로 연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적 포용성의 개념을 '홍대앞' 사례에 적용한다. 최근 홍대앞은 개별 주체 및 그룹·집단들(예술가, 주민, 관, 학생, 문화 활동가, 시민, 관광객 등)의 다양성을 보호할 수 있는 환경 조성, '홍대앞 놀이터', '걷고싶은 거리', '경의선 책거리' 등의 공적 공간 형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수평적인 관계망, 접속 등의 요소가 공존의 가치로 나타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연구원, 2016, 포용적 국토 실현을 위한 정책과제 연구.
  2. 김수아, 2013, 서울시 문화공간의 담론적 구성: 홍대 공간을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3. 김수진, 2015, 포용도시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국토연구원.
  4. 남기범, 2018, "보통도시로서 포용도시 논의와 서울의 과제," 대한지리학회지 53(4), pp.469-484.
  5. 박경환.이영민.이용균 역, 2016, 공간을 위하여, 심산 (=Massey, D., 2005, For Space, Sage: London).
  6. 박민하, 2019, 도시의 문화적 포용성에 대한 연구: '홍대앞'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박배균, 2010, "장소마케팅과 장소의 영역화: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pp.498-513. https://doi.org/10.23841/EGSK.2010.13.3.498
  8. 박인권, 2015, "포용도시 개념과 한국의 경험," 공간과 사회 51, pp.95-139.
  9. 박인권.이민주, 2016, "도시 포용성 구성개념과 지표체계의 개발 한국의 포용도시 의제 설정을 위하여," 공간과 사회 58, pp.109-158.
  10. 박준홍, 2019, 시각장애인 역학사의 사회공간적 배제와 포용으로의 관계적 변화,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변미리, 2017, 포용도시를 향하여_ 서울형 포용도시 지표 개발과 포용성 진단, 서울연구원.
  12. 서울역사박물관, 2018, 서울의 문화발전소 홍대앞, 서울책방.
  13. 이기웅, 2015, "젠트리피케이션 효과: 홍대지역 문화유민의 흐름과 대안적 장소의 형성," 도시연구 14, pp. 43-85.
  14. 이무용, 2005, 공간의 문화정치학, 논형.
  15. 이병민, 2013, "소셜 네트워크 리소스(Social Network Resource)의 적용과 활용: 공간적 의미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1), pp.50-70.
  16. 이병민.이원호, 2014,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의 문화변동과 지역발전: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pp.215-230.
  17. 이상봉, 2017, "모빌리티 공간정치학: 장소의 재인식과 사회관계의 재구성," 대한정치학회보 25(1), pp.113-138.
  18. 이호영.김희연.강장묵, 2012, e-플랫폼에서 소셜 플랫 폼으로의 변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9. 임승빈, 2007, 환경심리와 인간행태-친인간적 환경설계 연구, 보문당.
  20. 조권중, 2017, 포용도시 서울, 성과와 과제, 서울연구원.
  21. 조명래, 2016, "도시의 진보와 진보도시의 조건," 한국공간학회.서울연구원, 위기의 도시 희망의 도시 심포지엄 자료집.
  22. 최병두, 2017, "관계적 공간과 포용의 지리학," 대한지리학회지 52(6), pp.661-682.
  23. 손지현, 2016, 포용성 제고를 위한 공간.사회.경제적 계획요소 구축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를 대상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황선아.김종구.손지현, 2016, "포용도시를 위한 사회적. 물리적 지표의 구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36(4), pp.735-745.
  25. Berman, Y. and Phillips, D., 2000, "Indicator of Social Quality and Social Exclusion at National and Community," Social Indicators Research 50(3), pp. 329-350. https://doi.org/10.1023/A:1007074127144
  26. Booth, T., 1996, "A Perspectives on Inclusion from England,"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26(1), pp.87-99. https://doi.org/10.1080/0305764960260107
  27. Duffy, K., 1995, Social exclusion and human dignity in Europe, Strasbourg: Council of Europe.
  28. Pierson, J., 2002, Tackling social exclusion, Routledge.
  29. Room, G., 1995, Beyond the threshold: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Bristol: The Policy Press.
  30. Sasaki, M., 2010, "Urban regeneration through cultural creativity and social inclusion: Rethinking creative city theory through a Japanese case study" Cities 27, pp.3-9. https://doi.org/10.1016/j.cities.2009.10.005
  31. Sharp, J., Pollock, V. and Paddison, R., 2005, "Just Art for a Just City: Public Art and Social Inclusion in Urban Regeneration," Urban Studies 42(5/6), pp.1001-1023. https://doi.org/10.1080/00420980500106963
  32. Silver, H., 1994, "Social exclusion and social solidarity, Three paradigms," International Labour Review 133(5-6), pp.531-578.
  33. Nakagawa, S., 2010, "Socially inclusive cultural policy and arts-based urban community regeneration," Cities 27, pp.16-24. https://doi.org/10.1016/j.cities.2010.03.003
  34. van der Maesen, L. J. G. and Walker, A. C., 2005, "Indicators of Social Quality: Outcomes of the European Scientific Network," Europ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5(1-2), pp.8-24.
  35. World Bank, 2015, Inclusive Cities Approach Paper, GSUR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