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the Children's Social Power: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사회적 힘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한세영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 조인영 (휴맥스 어린이집) ;
  • 한아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학과)
  • Received : 2018.10.15
  • Accepted : 2018.11.26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the children's social power through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Methods: A total of 339 four-year and five- year old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 and teachers in Seoul and Gyeongi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by path analysis using AMOS 21.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social power. Also,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social power. Second,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had indirect effects on social power - prosocial leadership and social dominance-through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between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social power. Also, these findings will be helpful in order to understand children's social power and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s.

Keywords

BOJGB2_2019_v15n1_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BOJGB2_2019_v15n1_1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친사회적 리더십과 사회적 지배에 미치는 경로

표 1.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기술통계

BOJGB2_2019_v15n1_1_t0001.png 이미지

표 2. 모형의 적합도

BOJGB2_2019_v15n1_1_t0002.png 이미지

표 3. 모형의 경로계수 추정치

BOJGB2_2019_v15n1_1_t0003.png 이미지

표 4. 연구변인들의 효과분석

BOJGB2_2019_v15n1_1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희연, 강문희 (1999).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유형, 유아의 대처반응 및 또래수용간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20(3), 171-182.
  2. 권연희, 이종희 (2005).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아동의 정서성 및 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6), 201-216.
  3. 김지윤 (2007). 유아의 기질 및 부부갈등과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지현 (2010). 어머니 양육행동이 아동의 공격적 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대한가정학회지, 48(2), 13-22. https://doi.org/10.6115/khea.2010.48.2.013
  5. 김성애, 박성연 (2009). 유아에 대한 양육자의 애착,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간의 관계: 시설보호 유아와 일반 유아의 비교. 아동학회지, 30(1), 43-57.
  6. 김현지, 전경아 (2010). 유아-교사 관계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방과후아동지도연구, 7(2), 17-34.
  7. 박성연, 이은경, 배주희 (2011).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 및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유형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6), 55-69. https://doi.org/10.7466/JKHMA.2011.29.6.055
  8. 박지숙, 임승현, 박성연. (2009). 아동의 성,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사회적 위축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0(3), 85-98.
  9. 배주희 (2011). 유아의 기질과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서혜린, 이영 (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 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2), 33-56.
  11. 신주혜, 정윤경 (2016). 어머니의 정서발달관련 신념이 자녀의 부정정서 표현에 대한 반응과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9(2), 21-42.
  12. 오지현 (2015).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공감과 정서조절 방식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6(2), 17-37. doi:10.5723/KJCS.2015.36.2.17
  13. 윤해수, 홍용희 (2016). 산들유치원 만 5 세 유아들의 사회적 힘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교육과학연구, 47(4), 95-124. doi:10.15854/jes.2016.12.47.4.95
  14. 이경님, 부예숙 (2013).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 및 교사-유아 관계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31-53.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031
  15. 이연실 (2011).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리더십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173-203.
  16. 이지현 (2011). 유아의 성별에 따른 정서조절능력, 사회정보처리과정 및 공격성 간의 관계. 아동교육, 20(3), 225-241.
  17. 이지희, 김혜연 (2012). 유아기 긍정적.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에 관련된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301-322.
  18. 이채호 (2016). 유아의 또래 유능성, 자기조절 및 놀이유형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5(4), 103-119. doi:10.21183/kjcm.2016.12.15.4.103
  19. 장윤희, 문혁준 (2011).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이 또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2), 73-87.
  20. 정은희 (2017). 다문화가정 유아들과 일반가정 유아들 간의 사회적 힘의 관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어린이집 만 5세반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조인영 (2016).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정서조절 능력 및 또래유능성의 관계: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한애희 (2009). 유아의 기질, 언어능력 및 대인관계유형이 유아의 사회적 힘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한유진 (2005).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 및 또래관계의 질. 아동학회지, 26(4), 85-100.
  24. Bohlin, L. C. (2000). Determinants of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dominance strategies during pla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USA.
  25. Berger, C. R. (1985). Social power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M. L. Knapp & G. R. Miller (Eds.),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p. 439-499). Newbury Park, CA: Sage.
  26.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27. Davidov, M., & Grusec, J. E. (2006). Untangling the links of parental responsiveness to distress and warmth to child outcomes. Child Development, 77(1), 44-58. doi:10.1111/j.1467-8624.2006.00855.x
  28. Denham, S. A., Blair, K. A., DeMulder, E., Levitas, J., Sawyer, K., Auerbach-Major, S., et al. (2003). Preschool emotional competence: Pathway to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74(1), 238-256. doi:10.1111/1467-8624.00533
  29. Eisenberg, N., Cumberland, A., & Spinrad, T. L. (1998).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 Psychological Inquiry, 9(4), 241-273. doi:10.1207/s15327965pli0904_1
  30. Eisenberg, N., Fabes, R. A., Guthrie, I. K., & Reiser, M. (2002). The role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i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adjustment. In L. Pulkkinen & A. Caspi (Eds.), Paths to successful development: Personality in the life course (pp. 46-7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Eisenberg, N., Fabes, R. A., & Murphy, B. C. (1996).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comforting behavior. Child Development, 67(5), 2227-2247. doi:10.1111/j.1467-8624.1996.tb01854.x
  32. Eisenberg, N., Fabes, R. A., Shepard, S. A., Guthrie, I. K., Murphy, B. C., & Reiser, M. (1999). Parent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Longitudinal relations to quality of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70(2), 513-534. doi:10.1111/1467-8624.00037
  33. Eisenberg, N., Gershoff, E. T., Fabes, R. A., Shepard, S. A., Cumberland, A. J., Losoya, S. H., et al. (2001).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social competence: Mediation through children's regul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7(4), 475-490. doi:10.1037/0012-1649.37.4.475
  34. Fabes, R. A., Eisenberg, N., & Bernzweig, J. (1990).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 (CCNES): Description and scoring. Tempe, AZ: Arizona State University.
  35. Goodwin, M. H. (2001). Organizing participation in cross-sex jump rope: Situating gender differences within longitudinal studies of activities. Research on Language and Social Interaction, 34(1), 75-106. doi:10.1207/S15327973RLSI3401_4
  36. Hatch, J. A. (1987). Status and social power in a kindergarten peer group.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8(1), 79-92. doi:10.1086/461525
  37. Hartup, W. W. (1996). The company they keep: Friendships and their developmental significance. Child Development, 67(1), 1-13. doi:10.2307/1131681
  38.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39. Nelson, J. A., & Boyer, B. P. (2018). Maternal responses to negative emotions and child externalizing behavior: Different relations for 5-, 6-, and 7-year-olds. Social Development, 27(3), 482-494. doi:10.1111/sode.12296
  40. Rubin, K. H., Chen, X., McDougall, P., Bowker, A., & McKinnon, J. (1995). The waterloo longitudinal project: Predicting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c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4), 751-764. doi:10.1017/S0954579400006829
  41. Schultz, D., Izard, C. E., & Ackerman, B. P. (2000). Children's anger attribution bias: Relations to family environment and social adjustment. Social Development, 9(3), 284-301. doi:10.1111/1467-9507.00126
  42. Shields, A. & Cicchetti, D. (1997). Emotion regulation among school-age childre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criterion Q-Sort scale. Developmental Psychology, 33(6), 906-916. doi:10.1037//0012-1649.33.6.906
  43. Strayer, F. F., & Strayer, J. (1976). An ethological analysis of social agonism and dominance relations among pre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47(4), 980-989. doi:10.2307/1128434
  44. Sluckin, A. M., & Smith, P. K. (1977). Two approaches to the concept of dominance in pre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48(3), 917-923. doi:10.2307/112834
  45. Trawick-Smith, J. (1992). A descriptive study of persuasive preschool children: How they get others to do what they wa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1), 95-114. doi:10.1016/0885-2006(92)90021-p
  46. Von Suchodoletz, A., Trommsdorff, G., & Heikamp, T. (2011). Linking maternal warmth and responsiveness to children's self-regulation. Social Development, 20(3), 486-503. doi:10.1111/j.1467-9507.2010.0058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