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go-subjectivity Recovery Experience of the Wives of Alcoholics

알코올중독자 남편을 둔 여성배우자의 자아주체성 회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최미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소비자가족학과) ;
  • 조희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소비자가족학과)
  • Received : 2019.02.17
  • Accepted : 2019.03.20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ow wives of alcoholics could escape from the co-dependency relationship and recover their ego-subjectivity. This study conducted 1:1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wives of alcoholic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the phenomenological method proposed by Giorgi[1]. First, researchers extracted five subjects, including 'Co-dependency (Loss of ego-identity)', 'Impoverished life', Ego-prop', Ego-awareness', and 'Ego-subjectivity recovery' in the course of the data analysis. Secondly, researchers identified "Ego-subjectivity recovery through Ego-awareness of a wife of an alcoholic", an essential theme, by integrating all subjects. Researche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roposed practical alternatives for various psychological treatment system and ego-prop like as counselling, family member of alcoholic wives and power of faith.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배우자들이 남편인 알코올중독자와의 공동의존관계에서 벗어나 자아주체성을 어떻게 회복하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알코올중독자 여성배우자 5인과 1:1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Giorgi[1]가 제안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분석과정에서 연구자들은 '공동의존(자아주체성 상실)', '피폐한 삶', '자아의 버팀목', '자아에 대한 자각', '자아주체성 회복'을 포함하는 총5개의 주제를 추출했다. 둘째, 연구자들은 모든 주제들을 통합하여 '알코올중독자 여성배우자의 자아에 대한 자각을 통한 자아주체성 회복'이라는 본질적 주제를 뽑아냈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알코올중독자 여성배우자들에 대한 다양한 심리치료 시스템의 적용과 상담, 가족 및 신앙의 힘을 바탕으로 하는 자아버팀목에 관한 실천적 대안들을 제시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3_576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알코올중독자 여성배우자의 자아의 자각을 통한 자아주체성 회복

표 1. 연구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CCTHCV_2019_v19n3_576_t0001.png 이미지

표 2.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3_576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A. Giorgi,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method,"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Vol.43, No.1, pp.3-12, 2012. https://doi.org/10.1163/156916212X632934
  2. 강경화, "성인대상 알코올중독 예방 조기대입의 단기효과: 예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1, pp.550-56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1.550
  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Pub, 2013.
  4.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실태조사, 2016.
  5. 우재희, "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대처 방식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pp.180-18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180
  6. A. Copello, J. Orford, R. Valleman, L. Templeton, and M. Krishnan, "Methods for reducing alcohol and drug related family in non-specialist setting," JMH, Vol.9, No.3, pp.329-343, 2000.
  7. 강은실, "알코올중독자 부인의 경험에 관한 일 연구," 간호학회지, 제7호, pp.39-63, 1995.
  8. 이은주, 엄예선, 김미혜, 윤명숙, "알콜중독자 배우자의 회복 프로그램 욕구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제26권, pp.165-199, 1994.
  9. 김미혜, 알콜중독자 부인의 공동의존 심화요인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 강연우, 알코올의존자 가족의 공동의존 12단계 촉진치료에 대한 효과성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1. 김희성, 알코올중독자 부인의 공동의존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12. 강향숙, "알코올중독자 여성배우자의 자녀양육 경험,"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5호, pp.277-310, 2017.
  13. 이선화,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자아분화 향상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개발,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4. C. S. Widom, T. Ireland, and P. J. Glynn, "Alcohol abuse in abused and neglected children followed-up: are they at increased risk?,"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56, No.2, pp.207-217, 1995. https://doi.org/10.15288/jsa.1995.56.207
  15. 윤명숙, "회복중인 알코올중독자의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집단치료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6호, pp.119-155, 2003.
  16. 구승례, "회복중인 알코올 의존 부부의 의사소통에서 나타나는 분노에 대한 연구," 상담학연구, 제8권, 제4호, pp.1693-1710, 2007. https://doi.org/10.15703/KJC.8.4.200712.1693
  17. M. B. Powers, E. Vedel, and P. M. Emmelkamp, "Behavioral couples therapy(BCT) for alcohol and drug use disorders," A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8, No.6, pp.952-962, 2008. https://doi.org/10.1016/j.cpr.2008.02.002
  18. 최송식, 이솔지, "회복중인 알코올중독자의 배우자로 사는 삶의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3호, pp.431-462, 2012.
  19. 박미경, 알코올중독자 부인의 삶의 경험,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0. C. A. Allan and D. J. Cooke, "Stressful life events and alcohol misuse in women: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46, No.2, pp.147-152, 1985. https://doi.org/10.15288/jsa.1985.46.147
  21. 최송식, 알콜중독가족의 공동의존증에 대한 사정과 개입전략,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22. D. Lyon and J. Greenberg, "Evidence of codependency in women with an alcoholic parent: Helping out Mr. Wro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No.3, p.435,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1.3.435
  23. Melody Beattie, Codependent No More, Hazelden, p.34, 1992.
  24. C. L. Whitfield, "Co-dependence : Our most common addiction-Some physical, metal, emotional and spritual perspectives," Alcoholism Treatment Quarterly, Vol.6, pp.19-35, 1989. https://doi.org/10.1300/J020V06N01_03
  25. T. L. Cermark, Diagnosing and Treating Co-Dependence, Johnson Institute Books, 1986.
  26. 이금희,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이 알코올의존자 부인의 공동의존, 분노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7. 권중돈, 인간행동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p.319, 2014.
  28.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18.
  29. 김효숙,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주체성 형성에 관한 실행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0. E. H. Erikson, "Idenity and the Life cycle," Psychological Issue, Vol.1, No.1, p.23, 1959.
  31. 이찬훈, "현대사회 구조와 주체성," 대동철학, 제5호, pp.253-278, 1999.
  32. 임석진 등저, 철학사전, 중원문화, 2009.
  33. A. Giorgi,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oysands Oak, CA: Sage, 2004.
  34.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대출판부, 2007.
  35. L. M. Miller and C. L. Carpenter, "Altruistic leadership strategies in coaching: A case study of Jim Tressel of the Ohio State University," A journal for Physical and Sport Educators, Vol.22, No.4, pp.9-12, 2009.
  36. 서규동, 알코올중독자 가족 친목모임이 알코올 중독자 부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37. A. Giorgi,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Vol.28, No.2, pp.235-260, 1997. https://doi.org/10.1163/156916297X00103
  38. Y. S. Lincoln and E. G. Guba,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Sage,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