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tress on Happiness in University Students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Healthiness-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 이미영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Received : 2019.02.07
  • Accepted : 2019.02.21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healthiness between stress and happines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381 valid ones. 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data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perception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happiness. But negative perception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happiness. Second, family healthi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happiness. Third, family healthiness hadn't moder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positive perception stress and happiness. But family healthiness had moder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negative perception stress and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family healthiness for improving happiness and reducing negative perception stre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가족건강성이 조절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 중 유효한 381명을 분석하였다.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 스트레스는 행복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부정 스트레스는 행복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변수인 가족건강성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긍정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반면, 부정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행복감 향상, 부정적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가족건강성의 중요성,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CCTHCV_2019_v19n3_557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9_v19n3_557_t0001.png 이미지

표 2.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3_557_t0002.png 이미지

표 3. 스트레스, 행복감, 가족건강성의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3_557_t0003.png 이미지

References

  1. W. R. Wilson, "Correlates of avowed happin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67, No.4, pp.294-306, 1967. https://doi.org/10.1037/h0024431
  2. 김은임, 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공감능력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 박응임, 배정인, 이혜상, 안건미, 정운선, "대학생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환경 요인,"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6권, 제3호, pp.575-587, 2015. https://doi.org/10.7856/kjcls.2015.26.3.575
  4. 이지희, 대학생 우울증.자살률 늘어... 대학도 대안 마련에 분주, 한국대학신문, 2018년 4월 4일.
  5. 대학내일 20대 연구소 홈페이지 https://www.20slab.org/archives/19175 (2019년 2월 2일 접속)
  6. 서지윤, 대학생 행복도, '현재'도 '5년 후'도 불행하다, 프레시안, 2018년 8월 27일.
  7. 권재환, 이윤지, "대학생의 적극적 대처방식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104-116,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2.104
  8. 김용회, 엄명용, "청소년의 차별경험, 스트레스, 그리고 행복감간의 경로분석 연구," 아동과 권리, 제22권, 제4호, pp.587-610, 2018.
  9.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984.
  10. 김소영,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 관계에 대한 자아개념과 종교의 조절효과," 열린교육연구, 제21권, 제1호, pp.257-278, 2013.
  11. 김영경,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및 도박행동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1호, pp.127-156, 2013.
  12. 전미순, 김현정, 박연숙,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다문화건강학회지, 제4권, 제1호, pp.1-6, 2014.
  13. 여성가족부, 통계청, 2015 청소년 통계(보도자료), 서울: 여성가족부, 통계청, 2016.
  14.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7 국민건강통계, 2018
  15. 조민규, 대학생 자살자 최근 5년간 60% 증가...학업.진로 문제 커, 쿠키뉴스, 2015년 9월 2일.
  16. 양점미, 문승연, "교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과 행복의 관계에 미치는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교정연구, 제26권, 제3호, pp.27-56, 2016.
  17. 박재연,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학교폭력,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친구, 가족, 교사의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43권, 제2호, pp.263-289, 2017.
  18. 김은영, 임경숙, "스트레스가 간호대학생의 행복 지수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12호, pp.381-391,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12.381
  19. 안성아, 심미영,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우울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7021-7033,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10.7021
  20. 서수균, 백지영, 정영숙, "노인의 스트레스 및 삶의 의미성과 행복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5권, 제3호, pp.17-30, 2012.
  21. 심우엽,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제25권, 제2호, pp.1-16, 2014.
  22. 모상현, 이중섭,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탐색: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가족관계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제16권, 제3호, pp.23-40, 2012.
  23. 조희금, 김경신, 정민자, 송혜림, 이승미, 성미애, 이현아, 건강가정론(제4판), 서울: 신정, 2018.
  24. 최정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와 가족 건강성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4호, pp.29-46, 2011.
  25. 김재엽, 성신명, 장건호,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가족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51권, pp.187-218, 2016.
  26. 박영신, 김의철,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5권, 제3호, pp.399-429, 2009. https://doi.org/10.16983/KJSP.2018.15.3.399
  27. 신숭배, "한국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제17권, 제3호, pp.135-184, 2016.
  28. 김흥규, 한순미, "가정환경의 건강성과 대학생의 정서지능 및 행복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제17권, 제1호, pp.121-161, 2011.
  29. 송인숙, 홍달아기, 박현성,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18권, 제4호, pp.579-298, 2013. https://doi.org/10.13049/kfwa.2013.18.4.579
  30. 서은국, 구재선, "단축형 행복척도(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5권, 제1호, pp.95-113, 2011. https://doi.org/10.21193/kjspp.2011.25.1.006
  31. S. Cohen, T. Kamarck, and R. Mermelstein,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4, pp.385-396, 1983. https://doi.org/10.2307/2136404
  32. 박준호, 서영석,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9권, 제3호, pp.611-629, 2010.
  33. 이미애,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레질리언스가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4. 김소희,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5. 최지혜, "자기통제, 공정함, 행복 간 구조적 관계에 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9호, pp.331-338, 2017. https://doi.org/10.15207/JKCS.2017.8.9.331
  36. 日本家政学会家庭経営学部会関東地区, 新しい家庭生活を考えるー家庭生活の健全度調査報告, 日本東京 : 楽遊書房, 1980.
  37. F. Walsh,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Guilford Press, 1998.
  38. 이민정, 정구철,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도움추구태도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492-503,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492
  39. 김종운, 김미정,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희망 및 행복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청소년상담연구, 제25권, 제2호, pp.93-122, 2017.
  40. 탁승현,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관계,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