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Elderly Welfare Act between the Korea and Japanese

한·일 노인복지법의 비교법적 연구

  • Received : 2019.01.03
  • Accepted : 2019.01.19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The proportion of people aged 65 or older in the world's major advanced nations is increasing to a significant extent. Aging population causes various socioeconomic problem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s the welfare of the elderly. Advanced foreign countries that have already experienced aging early are investing a lot of money or legal system to provide welfare services necessary for old age such as income security system for the elderly, health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and long-term protection problems. The contents of the social welfare legislation including the welfare of the elderly are closely related to the society,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of each country. Both Korea and Japan are actively intervening in the social security of the nation based on the constitutional ideology. The elderly welfare Act is a time when more careful diagnosis is needed because it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asic direction based on human dignity and pursuing the most efficient way to achieve it in such an ideology and reality.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Elderly Welfare Act of Japan, which is the selection country of aging, I would like to examine the implications for the Elderly Welfare Act in Korea.

'고령화' 및 '고령사회'라는 표현은 20세기 말부터 우리사회에 회자되어 온 용어라 하겠다. 즉, 65세 이상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짐에 따른 결과이다. 무엇보다 인구의 고령화는 사회경제적 차원의 많은 문제를 초래하기에 복지문제차원의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이미 고령화를 일찍 경험한 선진국은 보건의료서비스, 소득보장 및 장기요양보호문제 등의 노후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가 재정과 법제도적 차원의 대응방안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법이라는 법제적 차원의 선진 일본과의 비교법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무엇보다 노인복지를 포함한 사회복지법제의 내용은 각 국가의 사회, 정치, 경제, 문화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또한 고령사회로의 진입에 따른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법제도적 차원의 노인복지법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 즉, 노인이라는 사회적 존재 및 역할에 대한 다양한 이슈는 바로 법제도적 차원의 진단에서 출발한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령화의 선발국가인 일본의 노인복지법을 바탕으로 향후 우리가 당면해야 할 고령 및 초고령사회를 위한 법제도적 장치에의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Keywords

CCTHCV_2019_v19n3_429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우리나라 노인비율과 노인인구 현황[6]

표 1. 일본 노인복지법 구성체계

CCTHCV_2019_v19n3_429_t0001.png 이미지

표 2. 일본의 노인복지관련 법률의 제정과 개정 내역2)

CCTHCV_2019_v19n3_429_t0002.png 이미지

표 3. 한국 노인복지법 구성 체계

CCTHCV_2019_v19n3_429_t0003.png 이미지

표 4.「노인복지법」제1조(목적),제2조(기본이념)

CCTHCV_2019_v19n3_429_t0004.png 이미지

표 5. 한국의 노인복지법의 제정과 개정

CCTHCV_2019_v19n3_429_t0005.png 이미지

표 6. 한국과 일본 노인복지법의 비교

CCTHCV_2019_v19n3_429_t0006.png 이미지

References

  1. 인구보건복지협회, 2017년 세계인구현황보고서, 연구보고서, 2017.
  2. 김미숙 등, 고령화사회의 사회경제적 문제와 정책대응방안 : OECD 국가의 경험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2003-14, 2003.
  3. 김호식, 정미녀, 손경숙,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에 대한 세대간 해결방안,"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9, No.1, pp.73-93, 2005.
  4. 이윤호, "고령화와 경제적 쟁점: 논쟁문제 수업," 시민교육연구, Vol.45, No.4, pp.203-228, 2015.
  5. 매일경제신문사, "정년연장 안착, 양육부담 경감을 : 고령화.저출산," 매경이코노미, 제1907호, 2017.5.10.
  6. 통계청, 우리나라 노인비율과 노인인구 현황, 연구보고서, 2018.
  7. www.law.go.kr
  8. 이재원,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방재정의 영향과 향후 대책," 지방행정연구, Vol.31, No.1, pp.35-62, 2017. https://doi.org/10.22783/KRILA.2017.31.1.35
  9. 김남순 등,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건강 현황과 보건의료.복지서비스 제공 모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017-01, 2017.
  10. 김정순, 일본의 노인복지법제 : 고령사회 법제6, 현안분석2004-18, 한국법제연구원, 2004.
  11. 김동환, "일본의 고령화 대책," 금융VIP시리즈, Vol.2013, No.10, pp.1-55, 2013.
  12. 박용근, "독일과 일본의 노인복지법과 그 시사점," 법학연구, Vol.35, pp.163-195, 2012.
  13. 日本厚生勞働省, 厚生勞働白書, 2004.
  14. 加藤智章.前田雅子, 社會保障法(第2版), 有斐閣アルマ, 2003.
  15. 이금자, "21세기 노인복지법의 발전방향 - 한일 노인복지법을 중심으로," 복지상담학연구, Vol.2, No.1, pp.83-108, 2007.
  16. 조선닷컴, "노인 연령 기준, 70세로 높이려하지만...'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전문기자의 '뉴스 저격', 2018. 3.7기사,
  17. 현외성, "차기정부의 노인복지정책 실천방향," 사회복지정책, Vol.15, pp.183-201, 2002.
  18. 日本總務省, 總務省統計局勞働力調査, 2002.
  19. 전대욱,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역발전의 영향과 향후 대책 : 일본 로컬아베노믹스와 지방창생 전략의 시사점," 지방행정연구, Vol.31, No.1, pp.63-84, 2017. https://doi.org/10.22783/KRILA.2017.31.1.63
  20. 한국노인문제연구소, 노인보건법으로 노인문제 해결:일본, 2013.
  21. 나용선, "독일.일본.한국의 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유라시아연구, Vol.8, No.1, pp.255-281, 2011.
  22. 이정, 고령사회의 도래와 각국의 입법적 대응 및 현황, 한국법제연구원 보고서, 2003.
  23. 이흥재, "고령화사회에서의 법과 정책 : 논단 ; 高齡者の社會保障法的地位-國民年金法と老人福祉法を中心に," 한일법학연구, Vol.20, pp.203-214, 2001.
  24. 박용근, "독일과 일본의 노인복지법과 그 시사점," 법학연구, Vol.12, pp.163-195, 2012.
  25. 최봉석, "독일의 노인복지법제 연구," 토지공법연구, Vol.29, pp.413-436, 2005.
  26. 이상은, 정찬미, 조영식, "한국에서의 노인보충급여 도입방안: 선진국의 경험과 제도도입 효과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추계학술대회, pp.41-58, 2017.
  27. 이현민, 조문기, "노인학대의 현황 및 개입과정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일본문화연구, Vol.64, pp.247-269, 2017.
  28. 강동욱, "노인학대에 대한 노인복지법상 대응과 그 개선방안," 법학논총, Vol.25, No.2, pp.67-97, 2018.
  29. 강동욱, "노인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안)상 노인학대범죄의 처벌에 대한 검토와 개선방안," 법과정책연구, Vol.15, No.2, pp.473-495, 2015. https://doi.org/10.17926/KAOLP.2015.15.2.473
  30. 신복기, 박은앙, "한국과 일본의 노인학대 관련 법률 비교 연구," 사회복지법제연구, Vol.6, pp.149-178,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