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Mediator Effects of Depression-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을 매개효과로-

  • 이미영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Received : 2019.01.29
  • Accepted : 2019.02.19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whether depression i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st to 31, 2017 from 400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381 valid one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and the Soble test was conducted in addition to verification of mediator effect according to procedures of Baron & Kenny(1986) for verification of mediator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ress of the subjec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employment stress r=.353, economic stress r=.193, heterosexual relationship stress r=.138) and smartphone addiction(employment stress r=.262, economic stress r=.178, heterosexual relationship stress r=.190). Second, depress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mediator between employment-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Z=2.7151, p<.0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proposed education/counseling programs that can relieve employment-stress and depression.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우울감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1일에서 5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 중 유효한 381명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 & Kenny(1986)의 절차에 의한 매개효과 검증과 더불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는 우울감(취업 스트레스 r=.353, 경제 스트레스 r=.193, 이성친구 스트레스 r=.138) 및 스마트폰 중독(취업 스트레스 r=.262, 경제 스트레스 r=.178, 이성친구스트레스 r=.190)간에 정적 상관관계(p<.01)를 나타냈다. 둘째, 우울감은 취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을 부분매개(Z=2.7151, p<.001)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취업스트레스 및 우울을 완화시킬 수 있는 교육/상담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9_v19n3_375_t0001.png 이미지

표 2. 조사대상자의 스트레스, 스마트폰 중독, 우울감 정도

CCTHCV_2019_v19n3_375_t0002.png 이미지

표 3.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3_375_t0003.png 이미지

표 4.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에서 우울감의 매개효과 검증

CCTHCV_2019_v19n3_375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2. 전호선, 장승옥, "스트레스와 우울이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103-129, 2014.
  3. 미래창조과학부, 2013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결과,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2014.
  4. 김학범,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동향," 한국중독범죄학회, 제3권, 제1호, pp.74-89, 2013.
  5. 김설희, 최예나,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관련성 분석,"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제17권, 제1호, pp.27-37, 2017.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1.27
  6. 성준모,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2권, 제3호, pp.5-32, 2014.
  7. 김영경,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및 도박행동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1호, pp.127-156, 2013.
  8. 여성가족부, 통계청, 2015 청소년 통계(보도자료), 서울: 여성가족부, 통계청, 2016.
  9. 김남선, 이규은,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7권, 제2호, pp.72-83, 2012.
  10. 심미영, 이온유, 김은희, "대학생의 가족지지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와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복지상담교육연구, 제5권, 제2호, pp.27-47, 2016.
  11. 김민경,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및 문제음주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청소년시설환경, 제11권, 제2호, pp.29-38, 2013.
  12. 김민경,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제력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제12권, 제2호, pp.117-126, 2014.
  13. 강주연,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4. 김보연,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5. 박병선, 박수지,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인터넷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 친구, 교사관계의 다중매개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1호, pp.61-88, 2016. https://doi.org/10.15709/HSWR.2016.36.1.61
  16. 백혜영, 유서현, 조성상,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8권, 제3호, pp.1621-1635, 2016.
  17. 심미영, 이둘녀, 김은희,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관계: 우울과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227-236,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5.227
  18. 서기순, 방소연,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생활 스트레스, 가족 의사소통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4호, pp.398-407,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4.398
  19. 강경아, 박성희,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pp.210-218, 2018. https://doi.org/10.5762/KAIS.2018.19.2.210
  20. 부정민, 강대옥, 강은희, "대학생의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7권, 제3호, pp.295-318, 2016.
  21. 김병년, 고은정, 최홍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중독 위험군 분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3호, pp.67-98, 2013.
  22. 이어리, 이강이, "부모요인, 친구요인, 심리적 요인이 초등학생의 중독적인 휴대전화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지, 제21권, 제2호, pp.27-40, 2012.
  23.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365-37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365
  24. 강민정, 이명순, "청소년들의 우울 및 자살관련 행태와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련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1권, 제5호, pp.147-158, 2014. https://doi.org/10.14367/kjhep.2014.31.5.147
  25. 심순구, 대학생이 지각한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6. 조미라, 오승진, "대학생의 우울.불안수준에 따른 색채선호도의 차이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제12권, 제4호, pp.79-93, 2016.
  27. 정안수, 김상훈, 김정호, 김남철, 정형식, 박종철, 김영심, "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증상과의 관계: 긍정심리의 조절효과," Mood Emot, 제14권, 제3호, pp.166-171, 2016.
  28. 서보준,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과 공격성의 이중매개효과," Crisisonomy, 제14권, 제6호, pp.77-90, 2018.
  29.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30.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5권, 제2호, pp.316-335, 2000.
  31.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대응센터, 인터넷 중독 공존병리 척도(성인용), https://www.iapc.or.kr/info/mediaAddc/showInfoMediaAddcDetail.do?article_id=ICCART_0000000003535&board_type_cd=A1
  32.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3. 최진오,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취업스트레스와 우울증상의 다중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제15권, 제2호, pp.65-73, 2017.
  34. 윤우석,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Agnew의 일반긴장이론의 논의에 기초하여,"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3권, 제1호, pp.95-118, 2016. https://doi.org/10.25023/KAPSA.13.1.201605.95
  35. 강석화, 나동석, "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4호, pp.49-71, 2013.
  36. 유계숙, 신동우, "대학생의 학업.취업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 및 취업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제14권, 제6호, pp.3849-3869, 2013.
  37. 강슬아, 김효원, 박부진,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호, pp.77-98, 2016.
  38. 윤명숙, 이효선, "대학생의 우울,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문제 음주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3호, pp.109-137, 2012.
  39. 최승혜, 이혜영, "대학생의 불안, 취업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619-62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619
  40. 안윤숙, 김홍주,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비행경험의 매개효과,"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5권, 제1호, pp.453-479, 2014.
  41. 조성경, 최연실, "남.녀 대학생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22권, 제1호, pp.53-74, 2014.
  42. 김종운, 곽태은,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와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10호, pp.1055-1076, 2016.
  43. 최현석, 사회과학 통계 분석 SPSS/PC+ Windows 20.0, 나남,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