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 of Ex-offenders, Anger Expression between the in Childhood Trauma and Family Functioning

성인 출소자의 아동기 외상과 가족기능성과의 관계에서 분노표현방식의 매개효과검증

  • 이아름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외상심리건강연구소) ;
  • 김지윤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외상심리건강연구소) ;
  • 이동훈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외상심리건강연구소)
  • Received : 2018.12.04
  • Accepted : 2019.02.07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released prisoners through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on family functioning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method. For this purpos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were selected and finally 400 released prisoner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anger expression method played a role of mediating variable when childhood trauma experience affects family functioning. Childhood trauma experience not only directly affects family functioning, but indirectly affects family functioning through anger expression method and the anger expression method played a role as partial mediating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mphasized the need for intervention and education for anger expression method in psychological counseling interventions to improve family functioning as a way to suppress the second offense of released prisoners with childhood abuse experience.

본 연구는 출소자를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과 가족기능성과의 관계를 분노표현방식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에서 주거지원을 받고 있는 출소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여 최종 400명의 자료로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동기 외상은 가족기능과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아동기 외상과 기능적 분노표현방식인 분노조절은 부적상관을 나타낸 반면,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의 하위요인인 분노표출, 분노억제와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기능적 분노표현방식인 분노조절은 가족기능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인 분노표출, 분노억제는 가족기능성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아동기 외상경험과 가족기능과의 관계에서 기능적 분노표현방식인 분노조절과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인 분노표출,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분노조절과 분노표출, 분노억제가 아동기 외상경험과 가족기능과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아동기 외상경험과 가족기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은 가족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분노표출 및 분노억제는 가족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3_100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CCTHCV_2019_v19n3_100_f0002.png 이미지

그림 2. 분노조절 모형

CCTHCV_2019_v19n3_100_f0003.png 이미지

그림 3. 분노억제 모형

CCTHCV_2019_v19n3_100_f0004.png 이미지

그림 4. 분노억제 모형

표 1.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형사사법적 변인의 빈도분석

CCTHCV_2019_v19n3_100_t0001.png 이미지

표 2. 주요변인의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3_100_t0002.png 이미지

표 3. 측정 모형의 적합도

CCTHCV_2019_v19n3_100_t0003.png 이미지

표 4. 모형 적합도 검증

CCTHCV_2019_v19n3_100_t0004.png 이미지

표 5. 분노조절 부분매개 모형의 경로계수

CCTHCV_2019_v19n3_100_t0005.png 이미지

표 6. 분노억제 부분매개 모형의 경로계수

CCTHCV_2019_v19n3_100_t0006.png 이미지

표 7. 분노표출 부분매개 모형의 경로계수

CCTHCV_2019_v19n3_100_t0007.png 이미지

표 8. 매개모형 효과 검증

CCTHCV_2019_v19n3_100_t0008.png 이미지

References

  1. 법무연수원, 범죄백서, 법무연수원, 2007.
  2. T. Hirschi, Causes of Delinquenc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3. IV, J. H. Boman and T. J. Mowen, "Building the ties that bind, breaking the ties that don't: Family support, criminal peers, and reentry success," Criminology & Public Policy, Vol.16, No.3, pp.753-774, 2017. https://doi.org/10.1111/1745-9133.12307
  4. T. J. Mowen, R. Stansfield, and IV, J. H. Boman, "Family Matters: Moving Beyond "If" Family Support Matters to "Why" Family Support Matters during Reentry from Prison,"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0022427818820902, pp.1-41, 2018.
  5. 조희원, 도광조, "출소자의 취업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정복지학회, 제32권, pp.51-81, 2014.
  6. N. M. Morani, N. Wikoff, D. M. Linhorst, and S. Bratton, "A description of the self-identified needs, service expenditures, and social outcomes of participants of a prisoner-reentry program," The Prison Journal, Vol.91, No.3, pp.347-365, 2011. https://doi.org/10.1177/0032885511409896
  7. M. T. Berg and B. M. Huebner, "Reentry and the ties that bind: An examination of social ties, employment, and recidivism," Justice quarterly, Vol.28, No.2, pp.382-410, 2011. https://doi.org/10.1080/07418825.2010.498383
  8. A. Yocum and S. Nath, "Anticipating father reentry: A qualitative study of children's and mothers' experiences," Journal of Offender Rehabilitation, Vol.50, No.5, pp.286-304, 2011.
  9. S. J. Bahr, A. H. Armstrong, B. G. Gibbs, P. E. Harris, and J. K. Fisher, "The reentry process: How parolees adjust to release from prison," Fathering, Vol.3, No.3, pp.243-266, 2005. https://doi.org/10.3149/fth.0303.243
  10. E. Sullivan, M. Mino, K. Nelson, and J. Pope, Families as a resource in recovery from drug abuse: An evaluation of La Bodega de la Familia, New York, NY: Vera Institute of Justice, 2002.
  11. S. Farrall, Social capital and offender reintegration:Making probation desistance focused, In: After crime and punishment, Willan, 2013.
  12. 박선영, 수형자 사회복귀를 지원하는 공생의 사회구현 실행방안 연구, 경제 인문사회연구 공생발전 협동연구총서, 2012.
  13. 이인곤, "출소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가족지원(복지)사업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제14권, 제3호, pp.153-180, 2015.
  14. 이동훈, 강수운, 지승희, "수감자의 출소 후 가족복귀 경험에 관한교정기관 상담자의 인식," 한국 심리학회지: 문화및사회문제, 제22권, 제4호, pp.595-622, 2016.
  15. 유수연, "독일의 출소 (예정)자와 그 가족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보호관찰, 제15권, 제1호, pp.51-77, 2014.
  16. 이동훈, 신지영, 조은정, 김진주, "수감생활 및 출소 후 과정에서 여성출소자의 삶과 가족관계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1권, 제1호, pp.81-108, 2016.
  17. 류석진, 노지애, 이동훈, 박성현, 오세준, 조현주, "출소자 가정복귀의 위험 및 보호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재활심리연구, 제23권, 제2호, pp.469-490, 2016.
  18. D. H. Olson, J. Portner, and Y. Lavee, 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scales III, In D. H. Olson, H. I. McCubbin, H. L. Barnes, A. Sen, M. Muzen, & M. Wilson, Family Invent ories(p.41), MI: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5.
  19. 손승희, "아동기외상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여자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9권, 제3호, pp.743-763, 2017.
  20. J. G. Allen, H. Stein, P. Fonagy, J. Fultz, and M. Target, "Rethinking adult attachment: a study of expert consensus," Bulletin of the Menninger Clinic, Vol.69, No.1, pp.59-80, 2005. https://doi.org/10.1521/bumc.69.1.59.62266
  21. J. Brown, P. Cohen, J. G. Johnson, and E. M. Smailes, "Childhood abuse and neglect: specificity of effects on adolescent and young adult depression and suicid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Vol.38, No.12, pp.1490-1496, 1999. https://doi.org/10.1097/00004583-199912000-00009
  22. C. A. Courtois, "Complex trauma, complex reactions: Assessment and treatment,"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Vol.41, No.4, pp.412-425, 2004. https://doi.org/10.1037/0033-3204.41.4.412
  23. M. Driessen, T. Schroeder, B. Widmann, C. von Schonfeld, and F. Schneider, "Childhood trauma, psychiatric disorders, and criminal behavior in prisoners in Germany: a comparative study in incarcerated women and men,"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Vol.67, No.10, pp.1486-1492, 2006. https://doi.org/10.4088/JCP.v67n1001
  24. 신동욱, 아동.청소년기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성인범죄에 미치는 영향, 치안정책연구소 생활안정대책 연구실 책임연구보고서, 2013.
  25. 김지윤, 하은혜, "여고생의 완벽주의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분노표현방식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제21권, 제2호, pp.99-119, 2013.
  26. 임미옥, 송민경, 김청송,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과 심리적 부적응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재모형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4호, pp.247-270, 2012.
  27. C. D. Spielberger, E. C. Reheiser, and S. J. Sydeman, "Measuring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Vol.18, No.3, pp.207-232, 1995. https://doi.org/10.3109/01460869509087271
  28. G. W. Brown and P. Moran, "Clinical and psychosocial origins of chronic depressive episodes: I: A community survey,"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65, No.4, pp.447-456, 1994. https://doi.org/10.1192/bjp.165.4.447
  29. G. McCarthy and A. Taylor, "Avoidant/ambivalent attachment style as a mediator between abusive childhood experiences and adult relationship difficulties," Th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Vol.40, No.3, pp.465-477, 1999. https://doi.org/10.1111/1469-7610.00463
  30. D. M. Fergusson, L. J. Horwood, and M. T. Lynskey, "Childhood sexual abuse and psychiatric disorder in young adulthood: II. Psychiatric outcomes of childhood sexual abus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dolescent Psychiatry, Vol.35, No.10, pp.1365-1374, 1996. https://doi.org/10.1097/00004583-199610000-00024
  31. J. Bowlby and E. J. M Bowlby, Loss-Sadness and Depression: Attachment and Loss (Vol. 3). Random House, 2008.
  32. 이나영, 하수홍, 장문선,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과 성인기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분노억제와 전위공격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8권, 제2호, pp.203-222, 2017.
  33. N. R. Crick and K. A. Dodge, "A review and reformulation of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mechanisms in children's social adjustment," Psychological bulletin, Vol.115, No.1, pp.74-101, 1994. https://doi.org/10.1037/0033-2909.115.1.74
  34. S. D. Pollak and P. Sinha, "Effects of early experience on children's recognition of facial displays of emo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8, No.5, pp.784-791, 2002. https://doi.org/10.1037/0012-1649.38.5.784
  35. 황다연, 이경순, 장은영, "수형자들의 아동기 외상이 분노유발사건에 대한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인지적 매개효과," 대한불안의학회지, 제10권, 제2호, pp.95-102, 2014.
  36. M. Sarchiapone, V. Carli, C. Cuomo, M. Marchetti, and A. Roy, "Association between hildhood trauma and aggression in male prisoners," Psychiatry research, Vol.165, No.1, pp.187-192, 2009. https://doi.org/10.1016/j.psychres.2008.04.026
  37. A. Schimmenti, G. Di Carlo, A. Passanisi, and V. Caretti, "Abuse in childhood and psychopathic traits in a sample of violent offenders,"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Vol.7, No.4, pp.340-347, 2015. https://doi.org/10.1037/tra0000023
  38. Z. Zou, H. Meng, Z. Ma, W. Deng, L. Du, H. Wang, P. Chen, and H. Hu, "Executive functioning deficits and childhood trauma in juvenile violent offenders in China," Psychiatry research, Vol.207, No.3, pp.218-224, 2013. https://doi.org/10.1016/j.psychres.2012.09.013
  39. J. G. Allen, 트라우마의 치유[Coping with trauma: Hope through understanding, 2nd Ed]. (권정혜, 김정범, 조용래, 최혜경, 최윤경, 권호인 공역), 서울: 학지사, 2010.
  40. R. A. Fabes, S. A.Leonard, K. Kupanoff, and C. L. Martin, "Parental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with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responding," Child Development, Vol.72, No.3, pp.907-920, 2001. https://doi.org/10.1111/1467-8624.00323
  41. M. Schmitt and C. Altstotter-Gleich, "Differentielle und Persönlichkeitspsychologie - kompakt," Weinheim: Beltz, 2010.
  42. 정미라, 내현적자기애가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3. 고윤경, 분노표현태도와 대인관계문제: 분노표현방식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4. 최임정, 심혜숙,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2호, pp.479-492, 2010.
  45. J. L. Deffenbacher, P. M. Demm, and A. D. Brandon, "High general anger: Correlates and treatment,"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24, No.4, pp.481-489, 1986. https://doi.org/10.1016/0005-7967(86)90014-8
  46. 김우정, 분노가 대인관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분노조절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7. 박은혜, 유아교사론(3판), 서울 : 창지사, 2009.
  48. 강지연,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분노표현 및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9. R. Avci and S. S. Gucray, "An Investigation of Violent and Nonviolent Adolescents' Family Functioning, Problems Concerning Family Members, Anger and Anger Expression," Educational Sciences: Theory and Practice, Vol.10, No.1, pp.65-76, 2010.
  50. D. P. Bernstein and L. Fink,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A retrospective self-report: Manual, Harcourt Brace & Company, 1998.
  51. 이유경, 여대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심리적 증상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애착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52. 정희진, "게시발표: 복합외상경험과 관계성 역량의 변화 및 우울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논문집, 단일호, pp.346-347, 2008.
  53. 최영신, 황정임, 여성 출소자의 사회적응 지원방안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06.
  54. D. H. Olson, Faces III,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1985.
  55. 고은미, 청각장애청소년의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56. C. D. Spielberger, S. S. Krasner, and E. P. Solomon,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M.P. Janisse M. P. (Ed.), Health Psychology : Individual difference and stress(pp.89-108), NY.: Springer-Velag, 1988.
  57.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권, 제1호, pp.60-78, 1997.
  58. 전성희,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분노사고와 분노표현방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9. D. W. Russell, J. H. Kahn, R. Spoth, and E. M. Altmaier,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5, No.1, pp18-29, 1998. https://doi.org/10.1037/0022-0167.45.1.18
  60. 서영석,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4호, pp.1147-1168, 2010.
  61. A. Brassard, V. Darveau, K. Peloquin, Y. Lussier, and P. R. Shaver, "Childhood sexual abuse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a clinical sample of men: the mediating roles of adult attachment and anger management,"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Vol.23, No.7, pp.683-704, 2014. https://doi.org/10.1080/10926771.2014.933464
  62. A. E. Kazak, L. P. Barakat, K. Meeske, D. Christakis, A. T. Meadows, R. Casey, B. Penati, and M. L. Stuber, "Posttraumatic stress, family functioning, and social support in survivors of childhood leukemia and their mothers and father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5, No.1, pp.120-129, 1997. https://doi.org/10.1037/0022-006X.65.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