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Quest-Based Mobile STEAM Content for Scientific Experiments in Middle Schools

중학교 과학실험을 위한 퀘스트 기반 모바일 STEAM 콘텐츠 개발

  • 이현주 (제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유리 (제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박찬정 (제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9.01.10
  • Accepted : 2019.02.20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being implemented from 2018, efforts are being made to cultivate scientific literacy among students in the field of science. Scientific experiments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interest in Science and their scientific attitudes. Learning through experimentation rather than learning scientific facts increases learners' understanding, and can be remembered longer. Therefore, experiments in Science subject are very important. However, in middle schools, scientific experiments are not performed due to the lack of time, budget and experimental material. In this research, we analyz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conduct questionnaires for students of science pre-service teachers, select the most important science experiments, and develop a mobile App to simulate and experience scientific experiments with the App. The proposed App is developed in a game format using quest-based learning methods to gain learning enhancement. It is also made using Unity. In this paper, after developing the app, we propose the direction of STEAM contents development through analyzing the difference from existing apps and the feedback from users.

2018년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과학 분야에서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에서 과학실험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학습 흥미 진작과 과학적 태도 함양에 도움을 준다. 과학적 사실을 이론으로 배우는 것보다 실험을 통해 배우게 되면 학습자의 이해가 높아지며 좀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적 소양 함양에 있어서 실험을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중학교에서는 시간과 예산, 재료 부족으로 과학실험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중학교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고 과학 예비교사 학생들을 주로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과학실험을 선정한 후, 가상 환경에서 과학실험을 체험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형 모바일 앱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앱은 학습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퀘스트 기반 학습방법을 사용하고 유니티를 사용하여 방탈출 게임형식을 접목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앱을 개발한 후, 기존 앱들과의 차이점 분석과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향후 STEAM 콘텐츠로서 개발 의미와 기대효과에 대해 제언한다.

Keywords

CCTHCV_2019_v19n2_8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Keller의 학습동기이론(1987)

CCTHCV_2019_v19n2_88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이동준 선생의 앙금 생성 반응 실험

CCTHCV_2019_v19n2_88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이동준 선생의 유전 원리 시뮬레이터

CCTHCV_2019_v19n2_88_f0004.png 이미지

그림 4. 과학실험 모바일 STEAM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

CCTHCV_2019_v19n2_88_f0005.png 이미지

그림 5. 구현 결과물

표 1. 원소의 불꽃 반응 실험 과정

CCTHCV_2019_v19n2_88_t0001.png 이미지

표 2. 앙금 생성반응 실험 과정

CCTHCV_2019_v19n2_88_t0002.png 이미지

표 3. 불꽃 반응 실험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반응 예상 정리

CCTHCV_2019_v19n2_88_t0003.png 이미지

표 4. 기존 앱과 기능 비교

CCTHCV_2019_v19n2_88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송진웅, 나지연, "2015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방향 및 쟁점 그리고 과학교실문화," 현장과학교육, 제9권, 제2호, pp.72-84, 2015. https://doi.org/10.15737/SSJ.9.2.201507.72
  2. 곽영순, 손정우, 김미영, 구자옥, "핵심역량과 융합교육에 초점을 둔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방향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제34권, 제3호, pp.321-330,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321
  3. 이창윤, 박철규, 홍훈기, "Flash와 Actionscript 3.0을 이용한 과학 시뮬레이션 앱의 디자인 및 효과 - 중학교 과학 '물질의 구성'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제38권, 제4호, pp.527-539, 2018.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4.527
  4. 조헌국,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탐구 요소 분석 : 과학탐구실험을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이화여자대학교), 제22권, 제3호, pp.208-218, 2018.
  5. 교육부, 실험활동 중시의 초중등 과학 탐구교육 진흥방안, 정책연구 2002-26, 2002.
  6. 이준희, "이러닝에서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기반 콘텐츠 설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5호, pp.325-333, 2005.
  7. C. M. Reigeluth and E. Schwartz, "An instructional theory for the design of computer-based simulations," Journal of Computer-Based Instruction, Vol.16, No.1, pp.1-10, 1989.
  8. 김창헌, 백두권, "웹 기반에서의 과학 가상 실험 모형," 한국시뮬레이션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228-234, 2000.
  9. 이성묵, 채광표, 남경운, 노태희, 서인호, 강석진, 김영수, 김재근, 이현주, 이문원, 권석민, 손영운, 중학교 과학: 교사용지도서, 금성출판사, 2012.
  10. 이문원, 중학교 과학2, 금성출판사, 2015.
  11. 이문원, 권석민, 김광수, 이효녕, 채광표, 곽영직, 강충호, 하윤경, 조은미, 조향숙, 권용주, 이일선, 김대준, 중학교 과학: 교사용지도서, 금성출판사, 2015.
  12. 박형성, "QR 코드를 활용한 퀘스트 기반학습 개발 및 적용사례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제11권, 제5호, pp.79-88, 2011. https://doi.org/10.7583/JKGS.2011.11.5.079
  13. 백영균, 한승록, 박주성, 김정겸, 최명숙, 변호승, 박정환, 강신천, 윤성철, 스마트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2016.
  14.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http://www.ktbook.com/info/2015%EA%B0%9C&EC%A0%95%EA%B5%90%EC%9C%A1%EA%B3%BC%EC%A0%95/%EB%B3%84%EC%B1%859_%EA%B3%BC%ED%95%99%EA%B3%BC%20%EA%B5%90%EC%9C%A1%EA%B3%BC%EC%A0%95.pdf
  15. 박현미, 정의철, "방탈출 게임 디자인을 위한 시나리오 구성방법 제안,"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 pp.1044-1047, 2017.
  16. 이동은, "게임 교과목 교육을 위한 4PBL 모델 제안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제18권, 제5호, pp.93-102, 2018. https://doi.org/10.7583/JKGS.2018.18.5.93
  17. 김범준, 유니티 2D 게임 공작소, 길벗, 2015.
  18. 사이먼 잭슨, RPG를 만들면서 배우는 유니티 2D 게임 개발, 에이콘출판, 2015.
  19. 김정열, 문기영, 유니티 2D 모바일 게임 개발, 에이콘출판, 2014.
  20. 박상현, 이것이 C#이다, 한빛미디어,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