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at the Public Health Center through Analytic Approach of Self- Reflection (phenomenological study)

성찰일지 분석을 통한 간호대학생의 보건소 실습 경험 (현상학적 연구)

  • 최혜정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Received : 2019.09.04
  • Accepted : 2019.10.18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at a public health center through their self- reflections. Subjects : The 110 students in the 3rd year, practice at two public health centers in city P and city K. From the110, 53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practice in city K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 11males (20.8 %) and 42 females (79.2 %). Methods : The data analyzed were the self-reflections regarding the clinical practice. Results : These data indicate that : most of the participants now believe that public health centers provide many more services to the community than they previously knew about. They rate the public health center's programs highly, and want to be community health nurses. For the first time, they realize that the work of public health nurses is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they note that their emotions while at the public health center differ significantly from when they work at the other. The environment in the public health center makes them feel more comfortable and less stressed. Generally,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practice at the public health center. Conclusion :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can be made. Experience at public health centers is an important part of nursing students' education. I suggest that research on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while practicing at the public health center should expand to include research methods other than the analysis of their reflection journals, In addition a follow-up study of experiences while practicing at the public health center should be attempted of self-reflections.

Keywords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간호학과의 교과과정 중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의 대상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로, 기술, 문화, 경제의 변화가 빠르게 발전하여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하고도 복잡한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Kim, 2017a).

각 대학의 지역사회간호학의 실습은 학년이나 기간 및 학점이 약간 씩 다를 수 있지만 보건소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전공필수과목으로서 병원실습과는 달리 대상자의 가구를 방문하기도 함으로써 그들의 환경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기회도 갖게 된다.  

간호학과의 교육과정은 그 특성상 학습의 내용이 방대하고 임상실습과 같이 이론을 실천하는 능력까지도 필요로 하는 특성을 지닌다. 최근 간호의 교육은 의료기술의 발전, 정보의 대중화,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 증가 등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보건의료 환경으로 인해 임상현장에서 보다 전문적이고, 수준 높은 임상수행 능력을 갖추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에 간호교육 현장에서는 효율적인 학과 교육 과정 및 임상실습교육을 통하여 간호 대학생의 임상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자 다각도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Kim, 2017c).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은 간호 뿐 아니라 의료인과 지역사회 주민과의 의사소통 기술, 대상자들을 위한 보건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간호문제에 대한 대처 및 관리 능력 등을 통합적으로 함양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할 때,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자는 간호학적 지식과 개인‧사회적 가치를 문화적 상징도구로 하여 지역사회를 이해하는 의미 구성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최근의 교육은 교육의 주체가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임상실습기관인 병원이나 보건소의 교육환경이 다양하나 실습교육에 대한 인식부족, 의료과실 문제 등으로 실제 환자(대상자)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임상실습보다는 관찰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어느 정도는 비구조화, 비체계적으로 진행 될 수밖에 없는 점 등이 학생들의 임상실습 참여를 축소시키는 이유가 되고 있다(Kim, 2017b).  

간호학의 영역은 임상간호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으며 오히려 간호의 의미를 따져 볼 때 매우 폭넓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간호학 교과과정은 자연과학 계통의 과목 뿐 아니라 인문사회과학 계통의 과목을 이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전공 영역에서도 학생의 진로 방향에 따라 임상간호, 지역사회간호, 산업간호, 학교보건 등의 과목이 있다(Lee, 2002). 

보건소는 1995년 보건소법이 지역보건법으로 개정 되면서 지역주민의 건강을 평생 관리하는 보건의료서비스 체계로 업무를 전환시켜 국민건강증진 등의 다양한 보건사업과 보건행정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간호대학생들의 보건소 실습경험에 대한 연구는 간호전문직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Heo & Kim, 2017). 

간호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간호사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학습하고, 실제 현장에서 실습을 한 후, 사회에 나갔을 때 간호사의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방법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임상실습은 간호지식을 실무에서 통합하고 적용하여 대상자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성찰이란 의미는 ‘작은 것을 살핀다’라는 뜻으로 일상생활을 경험하면서 생각과 감정, 특히 감정상태의 변화를 겪으며 그 의미를 깨닫는 과정이라 볼 수 있다.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가 교육연구의 중심주제가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과정을 개발하고 교수-학습 전략에 적용하는 체계적인 노력은 부족하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되는 시기에 이들의 경험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연구는 간호 교육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나 현재까지 성찰을 통한 보건소 실습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학과 3학년 학생들의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기관인 보건소 실습 후 작성한 자기성찰 보고서를 토대로 그들의 실습경험을 그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경험 세계로 들어가 그들의 고유 언어를 통하여 실습의 경험을 표현하는 내용을 분석하여 보건소 실습을 지도하는 교수들의 교육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과 학생들이 보건소 실습을 하며 겪은 그들의 경험세계를 그들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그들의 용어로 이해하고 설명함으로써 보건소실습(현상)에 대한 대상자 경험의 서술을 통해 간호교육자들이 보건소실습 간호학생들의 경험을 이해하여 효율적인 실습지도와 그에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II.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보건소 실습 후 제출한 논리-과학적 사고와 대비되는 성찰일지를 분석하여 간호 대학생들의 보건소 실습 경험의 본질적 구조와 의미를 분석하고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2. 연구대상 

강원도 소재 K시에 위치한 일 대학 간호학과 3학년 학생들의 보건소실습은 P시 보건소와 K시 보건소에서 이루어진다. 지역사회간호학이론 총 5학점 중 2학점을 수료한 후 처음으로 나가는 실습이며, 실습 학점은 1학점이다. 1주일 동안 보건소 각 부서에서 전반적인 업무를 이해하는 정도로 진행되며 3학년 2학기 2학점을 수료한 후 4학년 1학기 때 대상자별 실습 2학점 등 총 3학점의 지역사회간호학 실습학점을 수료하게 된다. K시에 위치한 보건소에서 실습한 학생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료의 이용을 동의한 11명의 남학생과 42명의 여학생 등 총 53명의 성찰일지를 분석하였다.

 

3. 자료수집

간호학과 3학년 학생들의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이 시작되는 4월 29일부터 6월 12일까지 자료의 수집과 분석이 동시에 진행되었다. 보건소에서 실습이 이루어지는 3학년 정원이 107명인 관계로 P시와 K시 두 곳의 보건소에서 실습하게 된다. 학생들은 두 곳 중 한 보건소를 1주일 동안 7-8명씩 한 조가 되어 실습을 하며. 연구자는 두 개의 보건소 중 K시 보건소에서 순회와 집담회를 지도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의 자료는 실습 후 제출한 지침서 내용 중 성찰일지 부분을 읽고 Colaizzi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학위논문으로 질적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현상학적, 문화기술적, 내러티브 탐구 등 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여 왔다.   

자료 분석의 첫 단계로, 원자료인 성찰일지를 여러 번 집중하여 읽으며 보건소 실습에 대한 의미있는 자료에 밑줄을 그어 표시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 공통된 의미를 가진 자료끼리 분류한 다음, 수집된 자료로부터 주제, 주제모음, 범주들을 도출하였으며 보건소실습 경험에 대한 의미부여 작업을 시도하였다.

 

5. 이론적 배경 

성찰의 개념이나 접근 방식은 배경 지식의 맥락과 학자들의 관심에 따라 다양한 명칭과 관점으로 분류된다. 서양의 학자들은 각기 상이한 관점에서 다양한 용어 즉 자기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 메타인지적 성찰(metacognitive reflection),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성찰(introspection), 명상(meditation)을 사용하여 성찰에 대해 논의해 왔다. 

1641년 Descartes가 집필한 그의 저서 “성찰”의 서두에서 성찰이란 ‘모든 것을 철저하게 전복시켜 최초의 토대에서부터 새로 시작’하는 작업이라고 하였다.  

또한 성찰(reflection)이란 ‘지식, 혹은 결론을 지지할 수 있는 진전된 근거를 가지고 어떤 신념이나 규정된 지식을 활발하게 그리고 지속적이면서도 세심하게 숙고하는 것이다’라고도 한다. 즉, 사고의 과정과 방식으로, 학습자가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적용할 때, 학습자 본인이 사고하는 지적이고 감정적인 활동을 말한다. 학습자들은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때 기존 지식구조의 평형상태가 깨지면서 인지적 갈등이 생기게 되므로 인지적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지식을 재구성하는 고차원적인 사고활동인 성찰이 필요하다(Jho, 2017).

일반적으로 신념, 또는 가정된 지식의 형식에 대하여 적극적이고 지속적이며 신중하게 고려하는 반성적 사고인 성찰일지는 자신의 학습경험을 뒤돌아보고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데 추후 바람직한 변화를 가져오며 이를 통해 개인의 학습의 발전 및 성장을 이루게 하는 역동적 과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Lee & Jang, 2019). 

따라서 보건소에서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을 한 후 성찰일지를 작성하는 학습자는 실습하는 동안 어떻게 실습을 하였고, 무슨 생각을 하였고, 무엇을 잘못했는지 뒤돌아보면서 평가를 하게 된다.

임상실습 성찰일지는 비구조적 형식으로 학생들이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하였다. 교수 역시 교수자의 입장에서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확인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실습환경, 실습내용, 실습과정 등을 알 수 있고 학습이 잘 이루어졌는지, 아닌지 평가할 수 있다(Jho, 2017). 

성찰일지를 분석할 때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는 수학적인 정량적 분석의 방법이 지니는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형의 질적 방법을 연구하여 온 방법 중의 하나이다.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는 ‘체험연구(lived experience research)를 위한 방법인데, 현상학적 체험연구 방법은 심리학, 간호학, 교육학 등 다양한 인문사회과학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Lee, 2005). 

 

III. 연구결과

본 연구의 목적인 간호학과 학생들의 보건소 실습 경험에 대해 성찰일지 내용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보건소 인식의 변화’, ‘지역사회 간호사 역할의 재발견’, ‘정서적 경험’, ‘전문적 경험’, ‘실습체계’, ‘의사소통’, ‘새로운 발견’의 7개의 범주와 ‘부정적 선입견’, ‘새로운 내용을 알게 됨’, ‘보건소의 중심 역할’ ‘새로운 프로그램 창조자’, ‘기대감’, ‘여유로움’, ‘두려움과 불안’, ‘아쉬움’, ‘당황함’, ‘친절함’, ‘감사함’, ‘무시당함’, ‘노인인구와 노인간호사업의 이해’, ‘독거노인들의 현실이해’, ‘건강증진사업의 이해’, ‘다양한 지원사업의 발견’, ‘실습시간 이용의 부적절’, ‘실습시기의 조정’, ‘현장지도자 부족’, ‘노인과 의사소통 기회’, ‘다양한 프로그램 참가’등 21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Table 1).

 

Table 1.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the students in public health center

DHTHB4_2019_v7n4_171_t0001.png 이미지

 

VI. 고 찰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보건소 실습에 대한 경험을 그들의 입장에서 확인하기 위해 자유롭게 작성한 성찰일지를 분석하여 의미와 본질을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총체적으로 파악하려고 하였다. 

보건소는 공공 보건의료 체계의 하부조직으로 지역 주민의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지속적으로 담당하여 온 지역 보건의료기관이다(Oh & Han, 2002). 그러나 실습지로서의 보건소는 지역사회간호학 이론수업 절반도 수료하지 못 한 채 실습을 나가야하는 학생들에게 긴장감과 부담감을 줄 수 있는 기관이다.   

간호학과 학생들의 교육과정 중 필수 항목인 임상실습의 주요 실습기관인 병원과 보건소는 의사, 간호사, 기타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자, 지역사회 주민, 환자 및 보호자 등 다양한 사람들이 의사소통을 하며 상호 영향을 미치는 공간이며 환자(대상자)에게 직접 중재를 해야 하는 긴장감과 부담감, 대상자들의 반응에 대한 두려움, 실습 현장지도자들의 학생에 대 한 기대감 때문에 일반 대학생들보다 많은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 밝히려하는 보건소 실습에 대한 ‘경험’은 오랫동안 교육의 주된 관심사이자 탐구의 대상이었다. 교육은 ‘경험의 재구성(reconstrction of experience)이며 그 궁극적 목표는 인간의 성장에 있다. 인간의 삶은 경험의 연속이며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경험은 재조직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는 가운데 인간은 이전의 자신보다 한층 더 성장하고 발달하게 된다(Chang 등, 2010). 학습과 경험, 경험을 통한 학습에 관한 논의는 오랫동안 교육의 주된 관심사이자 탐구의 대상이었다(Lee, 2016). Jho(2017)의 연구에서도 간호사들이 변화하는 임상환경에서 새로운 지식과 실무 개발을 통해 간호역량을 갖추려면 성찰과정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이 보건소 실습 중 각 부서를 실습하지 못하고 일주일 동안 2개의 부서만을 실습하고 나머지 부서에 대해서는 학생들 간의 토의 및 발표를 이용하여 각 부서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밖에 없어 비판적 성찰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나하는 생각도 해본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보건소 실습 경험 중 학생들이 갖는 ‘가격이 낮아 나쁜 약을 사용할 것이다’ ‘특별한 사업도 하지 않고 예방접종 정도 할 것이다’ ‘사무직 공무원 같이 계속 책상 앞에서 서류작업 같은 일만할 것이다’ 등의 부정적 선입견은 Park과 Lee(2002)의 논문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일반 지역사회주민 역시 간호학과 실습생처럼 보건소를 같은 시각으로 볼 수 있어 매우 염려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인식을 변화시켜주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건소에서 수행되는 사업은 통합건강증진사업, 만성질환관리사업, 감염병관리사업, 암관리사업, 구강건강관리사업, 건강증진사업, 방문간호사업, 정신보건사업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학생들이 보건소는 업무가 가볍고 병동만큼 활기차게 업무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실습이 시작되기 전 실습생들이 경험하는 감정의 상태는 ‘불안’과 ‘긴장감’ ‘기대감’이 혼합되는 다양한 심리상태를 경험하고 있다고 확인되었다. 특히 불안을 느낀 학생들이 많았지만 아마도 병원에서 경험한 불안과는 다른 것으로 사료되나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을 앞둔 간호 대학생들은 실습 전 불안과 두려움 등을 느낀다는 내용이 선행연구들의 결과(Jeong과 Seo, 2017 ; Oh, 2003 ; Oh와 Han, 2002)에서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다행히 학생들이 실습을 하며 보건소 업무를 이해하게 됨에 따라 인식이 많이 바뀌게 되었다. 특히 현안 문제 중 노인보건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는 사실은 매우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강의실에서 이론으로만 학습하는 것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노인을 직접 보고, 그들과 대화를 하고, 그들을 위한 사업을 실무에서 직접 참가하여 확인하고, 보건정책의 변화, 이슈 등을 연구하며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을 피부로 느끼게 된 것이다. 또한 그런 상황에서 자기 성찰을 통해 차분히 뒤를 돌아다보며 실습을 정리해 보았을 때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도 향상되었다고 본다(Kim, 2017d).

또한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에 대해 이론만으로 강의를 듣고 실제 직무에 대해 확인할 기회가 없었으나 실습을 하며 그들의 역할과 지위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도 가질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중 실습 부서 배치와 시간 관리의 경험이 언급되었는데 이는 대부분의 보건소들이 안고 있는 고민이라 할 수 있다. 간호학과 실습생들은 가파르게 증가하였고, 보건소는 한정적이어 실습기관이 현실적으로 부족하다. 특히 보건소는 한곳 인데 간호학과는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인 지역이 대다수여서 어떤 경우에는 두, 세 곳의 학교가 실습시기와 실습장소가 중복되는 경우도 있어 실습부서를 제한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 마련이다.

보건소는 일반적으로 오전에는 대상자가 많이 방문하고 오후에는 주로 직원들이 출장을 나가는 경우가 많아 학생들을 관리 할 수 있는 인력이 많지 않다. 이런 상황이 학생들에게 소외되는 느낌, 무시되는 느낌, 실습에 대한 회의 등의 감정을 만든다. 그러나 보건소 선생님들께서 모두 친절하고 장애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 열심히 대상자들을 챙겨 주는 모습을 보며 실습생들은 긍정적인 시각으로 실습에 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핵가족이 대부분인 현대는 노인들과의 관계형성이 잘 안되고 대화의 길도 막혀있어 그들과의 의사소통은 물론 노인들에 대한 이해 부분이 매우 부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건소를 방문하는 대상자 층은 노인이 많아 실습생들이 노인들과 대화를 할 수 있고, 가깝게 다가갈 수 있는 유일한 장소가 되기도 한다. 특히, 실습 중 방문간호를 나가는 학생들은 독거노인에 대한 현실을 오감을 통해 이해할 수 있게 되고, 빈번한 일은 아니지만 보건소 직원, 간호팀들과 함께 보건소 외의 지역에서 건강 캠패인을 하거나 교도소 방문과 같은 특별한 경험을 하는 학생도 있는데 이러한 경험은 다른 교과목 실습에서 경험할 수 없는 특별한 기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학과 교수들이 미처 생각할 수 없었던 실습 기간 전, 후의 학생들의 심리상태, 실습 환경, 실습 학생들이 힘들어하는 점, 실습에 대한 여러 가지 사항들을 건의하고 싶지만 미처 실습지도 교수에게 표현하지 못한 내용, 보건소에 대한 실망과 보람을 느낀 점 등 학생들의 내면을 자세히 볼 수 없었던 많은 내용들을 심층적으로 보여주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 지역의 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결과로 일반화시킬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으나 실습 담당 교수들이 그동안 미처 인지하지 못한 실습생들의 내면을 확인하고 이해하게 됨으로써 향후 실습지도의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필요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V. 결 론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이 이루어지는 보건소에서의 실습 전반에 대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고자, K시 보건소 실습생 53명의 실습 후 성찰일지를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급변하는 보건사업의 흐름에 맞추어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을 위한 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식과 술기를 갖출 수 있도록 교수들은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그러나 교수들은 그들의 입장에서 실습지도 계획을 수립하고, 수행하며 평가하였다. 보건소 실습 중 학생들이 지도를 잘 받고 있는지, 어떤 내용의 실습을 하고 있는지, 실습기관 선생님들과 잘 지내는지, 어떤 마음으로 실습에 임하는지 그들의 내면을 알 수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의 입장에서 그들의 용어를 통하여 분석된 내용들은 ‘보건소 인식의 변화, 보건소 사업의 다양화와 보건소 인력들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에 놀람, 노인인구에 대한 현실적 이해 등 긍정적인 면과 시간 관리의 어려움, 직무에 참석하지 못하고 방치된 느낌, 보건소 임무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실습을 잘 못하고 있다는 부정적인 시각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수자들은 학습목표와 방법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보건소 실습 경험의 연구를 성찰일지를 통한 방법이 아닌 다른 연구방법으로 진행되길 제안한다 

둘째, 보건소 실습 외 보건진료소, 건강지원센터, 학교, 산업장, 병원 등의 실습기관에서의 성찰일지 분석 연구를 제안한다

셋째, 수준별 성찰에 따라 보건소 실습 경험의 후속 연구가 시도되기를 제안한다.

References

  1. Chang SU, Park IW, Kee CW(2010). An analysis of reflection level of in terms of reflection style and grade in PBL of medical school : focused on critical reflection. J Edu Tech, 26(1), 145-184. https://doi.org/10.17232/KSET.26.1.145
  2. Heo NR, Kim JY(2017). Communication practicum experience amon nursing students : reflective learning approach.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9), 311-333.
  3. Jeong CY, Seo YS(2017).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journals for cadever practice experiences in nursing students. J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 18(8), 257-264.
  4. Jho MY(2017). Effects of the type of writing reflective Journals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aking a fundamental nursing skill course. J Korean Data Analysis Soc, 19(5), 2825-2839. https://doi.org/10.37727/jkdas.2017.19.5.2825
  5. Kim CH(2017a). A study on reflection as an educational concepts and its practical meanings. Graduate school of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6. Kim CY(2017b). Introduction of reflective journals and saticefaction evaluation for active clinical practice mode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Doctorial thesis.
  7. Kim JA(2017c).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tress of stress coping and empathy on clinical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Graduate school of Keiymu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8. Kim SO(2017d). Effects of self-directed practice through writing self-reflective journal on basic nursing performance ability, confidence in performance, learning self efficacy and practice satisfaction. J Digital Convergence, 15(10), 293-306. https://doi.org/10.14400/JDC.2017.15.10.293
  9. Lee JH(2016). Participants of 'enlightenment' reflex learning experience narrative research.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10. Lee KH(2002). Nursing students' evaluation on the practice in health centers. J Res, 29(2), 105-119.
  11. Lee MK, Jang KS(2019). Reflection-related research in korean nursing : A literature review. J Korean Acad Nurs Adm, 25(2), 83-96. https://doi.org/10.11111/jkana.2019.25.2.83
  12. Lee NI(2005). Phenomen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J Korean Soc Phenomenol, 24, 91-122.
  13. Oh JJ(2003). Nursing student experiences on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in public health center. J Kor Comm Nurs, 14(2), 299-311.
  14. Oh PJ, Han SJ(2002). A study on the projected workforce for public health nurses in korea. J Kor Comm Nurs, 13(4), 757-766.
  15. Park JM, Lee SJ(2002). Evaluation of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and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 at public health center. J Kor Comm Nurs, 13(1), 16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