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미취학 자녀를 둔 치과위생사의 일-가정 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일-가정 촉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Job Stress, Work-family Promotion, Quality of Life on the Work-family Balance in Dental Hygienists with Preschool Children

  • 투고 : 2019.09.25
  • 심사 : 2019.11.11
  • 발행 : 2019.12.28

초록

본 연구는 K지역의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기혼여성인 치과위생사 194명을 대상으로 일-가정 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일-가정 촉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가정 균형 평균 3.36이며, 양육비가 적은 경우(3.43), 가족 도움은 '좋다' 3.54로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2.82로 가구소득이 적은 경우(2.94), 양육비 많은 경우(3.19), 가족도움은 '나쁘다'(3.66)가 높았다. 가정-일 촉진 평균은 3.47이며, 경력은 10년 초과(3.55)가 높았고. 삶의 질 평균이 3.19, 가족도움은 '좋다'(3.55)가 높았다. 일반적인 특징, 직무스트레스, 일-가정 촉진, 삶의 질이 일-가정 균형에 미치는 영향력 검정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양육비가 적은 집단(p=.037), 직무스트레스 낮은 집단(p=.002), 일-가정 촉진 높은 집단(p=.000), 삶의 질 높은 집단(p=.000)으로 나타났다. 총괄적으로 취업한 기혼치과위생사들의 만족한 직장 및 가정생활을 위해서 가족들의 도움과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서 일-가정의 균형과 일-가정 촉진을 향상시키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 stress on work stress, work-family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work-family balance of 194 dental hygienists with preschool children in K area. On average, the work-family balance was 3.36, and in case of low child support (3.43), family help was as high as 3.54, job stress averaged 2.82, with a low household income (2.94), high child support (3.19), and family help was bad (3.66). The average home-work facilitation was 3.47,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3.55). The average quality of life was 3.19 and the family help was good (3.55). Regression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work-family promotion, and quality-of-life effects on work-family balance showed low child support (p = .037), low job stress (p = .002), There was a high level of work-family promotion (p = .000) and a high quality of life (p = .000). In order to improve the work-family balance, work-family promo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seeking ways to reduce the family's help and job stress for the satisfactory job and family life of working married dental hygienists.

키워드

참고문헌

  1. 윤소영, 김혜진, "맞벌이 기혼남성의 일-가정 균형의 주관적 인식 및 갈등정도와 가정의 건강성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9-35, 2013.
  2. KDI 경제정보센터, 2018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2018.
  3. 황윤숙, 김수화, "기혼 치과위생사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요인,"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6권, 제3호, pp.435-446,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3.435
  4. L. Wadsworth and B. Owen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work-family enhancement and work family conflict in the public sector,"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67, No.1, pp.75-87, 2007. https://doi.org/10.1111/j.1540-6210.2006.00698.x
  5. 이경징, 배현숙, "기혼 여성 치과위생사의 경력단절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치위생과학회지, 제15권, 제6호, pp.786-793, 2015. https://doi.org/10.17135/jdhs.2015.15.6.786
  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 Issue & Focus. 여성 경제활동 현황, 결정요인 및 효과, 제215호, 2013.
  7. 임선영, "학령 전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논총, 제19권, pp.35-63, 2016.
  8. 김명원, 강민주, "맞벌이 부부의 성역활 태도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제49권, 제8호, pp.25-35, 2011.
  9. 유미애, 손연정, "기혼 간호사의 직장-가정 갈등, 사회적지지, 기무만족도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제16권, 제4호, pp.515-523, 2009.
  10. 최수찬, 김종성, "중소기업 기혼 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기업 내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제13권, 제1호, pp.141-176, 2016.
  11. 진종순, 김기형, "일과 가정의 갈등이 공무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제51권, 제4호, pp.195-217, 2013.
  12. 윤대혁, "맞벌이 부부의 가정-직장 균형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5권, 제1호, pp.87-109, 2008.
  13. 통계청, 경제활동 인구연보, 2009, 2010.
  14. 홍승아, 류연규, 김영미, 최숙희, 김현숙, 송다영, 일가족 양립정책의 국제비교 연구 및 한국의 정책과제, 제12권,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15. J. H. Greenhaus and G. N. Powell,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1, No.1, pp.72-92, 2006. https://doi.org/10.5465/AMR.2006.19379625
  16. J. H. Wayne, J. G. Grzywacz, D. S. Carlson, and K. M. Kacmar, "Work-amily facilitation: A theoretical explanation and model of primary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Human Resources Management Review, Vol.17, No.1, pp.63-76, 2007. https://doi.org/10.1016/j.hrmr.2007.01.002
  17. 김옥선, 김효선, "일-가정 상호작용에 대한 역할요구-역할자원의 접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6권, 제2호, pp.85-120, 2012.
  18. 이지영, 김효선, "질적연구를 통해서 본국 내 여성 전문 병원에서의 일과 가정의 상호작용," Korea Business Review, 제18권, 제3호, pp.27-56, 2014.
  19.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외 25명,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한국산업안전공단,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제17권, 제4호, pp.297-317, 2004.
  20. J. S. Boles, J. A. Wood, and J. Johnson, "Interrelationships of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Work-Family Conflict with Different Facets of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The Journal of Personal Selling and Sales Management, Vol.23, No.2, pp.99-113, 2003.
  21. 홍수민, 김희경, 안용순,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 및 신체화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제9권, 제3호, pp.295-302, 2009.
  22. NIOSH, Stress at work DHHS (NIOSH) Publication, 1999. available at http://www.cdc.gov/niosh/stresswk.html
  23. 박성민,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직무만족의 관련성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4. OECD, How's Life?, Measuring Well-being, 2017. http://www.oecd.org/social/how-s-life-230896 79.htm
  25. 김혜진, 정애화, 김지희, "일부 지역 치과위생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229-23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229
  26. 김남주, 권태희, "기혼여성의 직장. 가정균형과 삶의 질의 상호관계," 한국여성연구원, 제76권, 제1호, pp.43-70, 2009.
  27. 김경미,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과 행복수준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8. 방병문, 이선영, 정종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 실증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2호, pp.205-213,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2.205
  29. 홍수민, 김희경, 안용순,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외 건강상태 및 신체화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제9권, 제3호, pp.295-302, 2009.
  30. M. N. Ruderman, P. J. Ohlott, K. Panzer, and S. N. King, "Benefils of Multiple Role for Managerial Women," Academy of Management J, Vol.45, No.2, pp.369-386, 2002. https://doi.org/10.2307/3069352
  31. 최유리, 조규영, "교대근무 기혼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 일-가정 양립갈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제20권, 제4호, pp.2161-2175, 2018.
  32. 박현정, 사회복지 업무 종사자의 일-가정 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3. 박윤경, 이주연, 임소라, 장희란, 강효정, 김지수, "종합병원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격리 불안 및 대리양육," 한국콘텐츠학회, 제14권, 제7호, pp.302-31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302
  34. 김리진, 윤종희,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 만 6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직, 사무직 및 생산직 여성을 중심으로,"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제154 권, 제12호, pp.47-58, 2000.
  35. 손연정, "기혼 직장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19권, 제3호, pp.422-435, 2007.
  36. 김수정, 직무요구가 일과 가정의 갈등 및 일과 가정의 증진에 미치는 영향:경계관리, 조직지원 제도의 조절효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