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회복지사의 소진 정도에 관한 인식 연구

The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Burnout Intention of Social Workers

  • 투고 : 2019.11.05
  • 심사 : 2019.11.26
  • 발행 : 2019.12.28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한 중요성을 고려하여,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소진 정도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사들의 소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동시에 이를 바탕하여 사회복지사들의 소진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들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경북 청도군 소재 5개의 사회복지 시설에 93명을 설문조사하였으며, SPSS 23.0을 이용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복지사들은 전반적으로 소진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소진의 하위영역별로는 정서적 고갈이 다른 하위영역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비인간화와 개인적 성취감의 저하 또한 높은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awareness of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burnout. Through this, social welfare institutions will use the basic data to identify the level of exhaustion of social workers and at the same time, suggest ways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social workers' exhaustion. In addition, it will be used as a material to lower the intention of turnover of social workers. A total of 93 people were surveyed at 5 social welfare centers in Cheongdo-gun, Gyeongbuk.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s a result, first, social workers tended to be exhausted overall. Second, emotional depletion tended to be higher than other subregions, and dehumanization and deterioration of personal achievement tended to be higher.

키워드

참고문헌

  1. 오재동, "사회복지사의 근무착근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15권, 제1호, pp.88-103, 2013.
  2. 최선경,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가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친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 고영길, 시스템통합(SI)업체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4. 김성기,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직무특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5. 김희연, 위탁급식업체 영양사의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과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6. 남진영, 병원 원무행정근무자의 직무소진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7. 배성후, "직무특성요인과 직무몰입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경영연구소, 제9권, pp.101-127, 2001.
  8. 성희자, 권현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긴장,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 : 민간부문 사회복지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3호, pp.361-383, 2013.
  9. 송영지, 손지현, 남희은, "노인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7권, pp.71-92, 2013.
  10. 유현숙,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1. 이정은, 최연옥, "ADHD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의양육스트레스 대처와 가족탄력성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96-107,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096
  12. 김정현,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영성의 조절효과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3. 윤예숙, 조성열, 변용찬, 송근창, "장애인 재활전문가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559-573,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