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Scaffolding Support Considering Learner Characteristics on Subject Interest and Interaction Level in PBL Environment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스캐폴딩 지원이 PBL 수업 환경에서 교과 흥미와 상호작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9.10.18
  • Accepted : 2019.12.03
  • Published : 2019.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level of subject interest and interaction when supporting scaffolding considering learner characteristics in PBL. For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86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procedure was as follows. First, we divide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A primary PBL was used to measure prior levels of subject interest and interaction. Secondary PBL was performed to verify treatment effect. In the second PBL,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ognitive, metacognitive, and motivation scaffolding that reflected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The control group received random scaffolding. Subject interest and interaction were measured after the end of the second PB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COVA. As a result, the interest and interaction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analyz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본 연구는 PBL 수업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여 스캐폴딩을 지원하였을 때 교과 흥미와 상호작용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사범학부 및 일반교직을 전공하는 학생 86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였다. 교과 흥미와 상호작용의 사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1차 PBL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후에 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2차 PBL 과제를 수행하며, 실험집단에게는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인지적, 메타인지적, 동기적 스캐폴딩을 제공하였다. 비교집단은 무작위로 인지적, 메타인지적, 동기적 스캐폴딩을 제공하였다. 2차 PBL 과제가 종료된 후에 교과흥미와 상호작용의 사후 수준을 측정하였고, 사전 수준을 공변량으로 선정하여 ANCOVA,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교과흥미와 상호작용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검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M. J. Dingel, W. Wei, and A. Huq, "Cooperative learning and peer evaluation: The effect of free riders on team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se performance and peer evaluation," Journal of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Vol.13, No.1, pp.45-56, 2013.
  2. 정광희, 김신애, 손찬희, 이쌍철, 김성미, 김은영, 정제영, 이명희, 여소망, 글로벌 교육동향 연구(V): 지능정보사회의 교육혁신 동향, 한국교육개발원, 2017.
  3. G. C. Ruel, A. Nauta, and N. Bastiaans, Free-riding and team performance in project education, University of Groningen, 2003.
  4. 김현우, PBL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 성과와 학습 정서의 유형 및 단계별 특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5. 윤희정, 문제중심학습(PBL) 전략의 개발과 적용 및 그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6. 강인애, 허정필, 최성경, "Flipped PBL과 Flipped Learning 간의 흥미도 및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pp.331-375, 2017.
  7. 정영란, 최혜숙, 장기완,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성찰일지 작성의 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4권, 제3호, pp.444-450, 2010.
  8. 김영애, 박한숙, "ICT활용 문제중심학습(e-PBL)이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 신장에 미치는 효과: 농어촌소인수 학습을 대상으로," 통합교육과정연구, 제2권, 제2호, pp.75-92, 2008.
  9. 장경원, 박명화, "블랜디드 PBL을 위한 효과적인 학습공간 활용 전략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7권, 제2호, pp.207-232, 2007.
  10. 이은철,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 수준에 대한 협력스크립트 형태의 토론 성찰일지 작성의 효과성 검증," 교육공학연구, 제33권, 제2호, pp.239-267, 2017.
  11. P. Gunning and O. L. Rebecca, "Children's Learning Strategy Use and the Effects of Strategy Instruction on Success in Learning ESL in Canada," System, Vol.43, pp.82-100, 2014. https://doi.org/10.1016/j.system.2013.12.012
  12. 이은철,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고성취 집단의 학습과정에서 나타난 상호작용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31권, 제2호, pp.159-190, 2015.
  13. P. R. Pintrich, D. A. F. Smith, T. Garcia, and W. J. McKeachie,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Ann Arbor: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to Improve Postsecondary Teaching and Learning," The University of Michigan, 1991.
  14. L. R. Pinninti,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ies: An Indian Context," The Reading Matrix, Vol.1, pp.179-193, 2016.
  15. 이은철, "온라인 협력학습 과정의 참여 수준에 대한 학습전략의 영향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63-72,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063
  16. 이은철,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학습동기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416-42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416
  17. 이은철,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학습동기 유형에 따라 교수메시지에 대한 반응행동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514-524,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5.514
  18. L. S. Vygotskii, The Collected Works of L. S. Vygotsky: Child Psycholog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987.
  19. 이은철, 김민정, "위키(wiki) 기반 협력학습 지원을 위한 통합적 지원 모형 개발 및 효과성 검증," 교육공학연구, 제28권, 제3호, pp.587-617, 2012.
  20. J. M. Zydney, "The effect of multiple scaffolding tools on students' understanding, consideration of different perspectives, and misconceptions of a complex problem," Computers & Education, Vol.54, No.2, pp.360-370, 2000. https://doi.org/10.1016/j.compedu.2009.08.017
  21. 윤미선, 김성일, "중고생의 교과흥미 구성요인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17권, 제3호, pp.271-290, 2003.
  22. 유경희,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성취목표 지향성을 고려한 스캐폴딩 제공 전략이 학습 성과 및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