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Formula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Polic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the Focus on the Composition of the Committee and Changes in the Listing of Cultural Properties-

일제강점기 문화재 정책 형성과정 연구 -위원회 구성과 목록 변화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7.12.27
  • Accepted : 2018.02.20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investigated and institutionalized Korea's cultural properties for the purpose of governance. This process was conducted by Japanese officials and scholars, and systematized after making some changes. The Reservation Rule (1916) and the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in 1934 were actually the starting point for Korea's current cultural property policy. In the view of lineup of 'committee' that consider all of cultural property and changing of 'cultural property list', this study discusses the cultural property policy implemented by Joseon's Government-General, whi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seon's Government-General formed a committee (Preservation Society) to formulate the cultural property policy, and had the policy implemented by appointing Governor officials who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the total number of officials of the institution. Although some Koreans were concerned about this, they had no influence on the matter. Second, the cultural properties listed by Joseon's Government-General a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according to the lists. The compilation of the first list was led by Sekino Tadashi, who represented the grading system (1909~1916); while that of the second list (1917~1933) was led by Guroita Gatsumi, who represented listing (1917~1933). Guroita Gatsumi tried to erase Sekino Tadashi's list by formulating the cultural property policy and the list - a situation that was revealed in the system and the actual contents of the list. The third list was made as a list of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n 1934. This list also reflected the results of Sekino Tadashi investigation of the important cultural properties at existing temples that had been excluded from the previous regulations (1934~1945). In this way, a basic framework for the listing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was established in 1934.

일제는 그들의 통치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 문화재에 대한 조사와 제도화를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일본인 관료와 학자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몇 번의 변화를 거쳐 체계화 되었고, 1916년에 제정된 "고적 및 유물 보존규칙"과 1934년에 지정된 문화재들은 현재 우리나라 문화재 정책의 시작점이 되었다.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주도로 진행된 문화재 정책을 문화재에 관한 전반을 심의하던 '위원회'의 인원 구성과 '문화재 목록'의 변화상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항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조선총독부는 문화재 정책을 입안하고 결정하기 위한 심의기구로 '위원회(보존회)'를 두었는데, 제도와 인적 구성 면에서 조선총독부 관료를 과반 이상 두도록 하여 조선총독부의 정책이 관철되도록 하였다. 이 속에서 조선인은 극소수가 참여하였는데, 그들마저 형식적인 구색 맞추기였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조선총독부가 조사하여 목록화한 문화재는 목록화 계기에 따라 크게 세 시기로 구분된다. 첫 번째 목록(1909~1916)은 등 급제로 대표되는 세키노타다시에 의해 주도되었고, 두 번째 목록(1917~1933)은 대장법으로 대표되는 구로이타가쓰미에 의해 주도되었다. 구로이타가쓰미는 문화재 제도를 입안하고 목록을 공식화 하면서 세키노타다시의 영향에서 멀어지려 하였는데, 이러한 정황이 제도와 실제 목록 내용에서 드러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 목록(1934~1945)은 1934년 지정문화재 목록으로 만들어졌는데, 이 단계에서는 세키노타다시의 조사 성과도 반영이 되었으며, 종전의 규정에서 제외되었던 현존사찰의 중요 문화재도 포함이 되었다. 이렇게 1934년을 기점으로 현재 우리나라 문화재 목록의 기본적 체계가 만들어졌다.

Keywords

References

  1. 金志宣, 2008, 조선총독부 문화재 정책의 변화와 특성 - 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 高麗大學校 大學院 韓國史學科 碩士學位論文
  2. 金振元, 2012, 朝鮮總督府의 佛敎文化財 政策 硏究 中央大學校 大學院 史學科 韓國史專攻 博士學位論文
  3. 박선애, 2007, 조선총독부의 문화재 정리사업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4. 吳世卓, 1982, 文化財保護法 硏究 檀國大學校 大學院 法學科 行政法專攻 博士學位論文
  5. 吳世卓, 1996, 일제(日帝)의 문화재정책(文化財政策) - 그 제도적(制度的) 측면(側面)을 중심(中心)으로 文化財 29
  6. 吳世卓, 1997, 문화재보호법과 그 문제점 文化財 30
  7. 이현일.이명희, 2014, 조선총독부박물관 공문서로 본 일제강점기 문화재 등록과 지정 美術資料 85
  8. 이성시, 2016, 구로이타 가쓰미(黑板勝美)의 역사학 연구와 식민주의 식민주의 역사학과 제국, 책과함께
  9. 정상우, 2008, 1910-1915년 조선총독부 촉탁(囑託)의 학술조사사업 역사와 현실 68, 한국역사연구회
  10. 정상우, 2014, 朝鮮史(朝鮮史編修會 간행) 편찬 사업 전후 일본인 연구자들의 갈등 양상과 새로운 연구자의 등장 사학연구 116, 한국사학회
  11. 黑板勝美, 1912, 史蹟遺物保存に關する意見書 史學雜誌 제5호
  12. 關野貞硏究會, 2009, 遊西日記關野貞日記, 中央公論美術出版
  1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1909년 朝鮮古蹟調査의 기억 - 韓紅葉과 谷井濟-의 조사기록
  14. 김윤정, 2011, 조선총독부 중추원 연구, 景仁文化社
  15. 문화재관리국, 1996.12, 일제의 문화재정책 평가 세미나
  16. 유네스코한국위원회.수원시, 1997.9, 문화유산대토론회
  17. 이성시 지음. 박경희 옮김, 2001, 만들어진 고대 - 근대 국민국가의 동아시아 이야기, 삼인
  18. 정규홍, 2005, 우리 문화재 수난사 - 일제기 문화재 약탈과 유린, 학연문화사
  19. 최석영, 2015, 일제의 조선(朝鮮) 식민지 고고학과 식민지 이후, 서강대학교출판부
  20. 황수영 편, 2014, 일제기 문화재 피해자료, 국외소재문화재재단
  21. 朝鮮總督府, 1916-1945, 朝鮮總督府官報
  22. 朝鮮總督府, 1937, 朝鮮寶物古蹟名勝天然記念物保存要目
  23. 문화재청(http://www.cha.go.kr)
  2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http://modern-history.museum.go.kr)
  25.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조선총독부관보(http://theme.archives.go.kr)
  2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직원록자료(http://db.history.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