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aces of Gwan-a in Yanggeun and Jipyeong in Literature - with the Focus on the History, Scale and Sites of Gwan-a -

문헌으로 찾은 양근·지평 관아의 흔적 - 관아의 연혁·규모·터[址]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7.12.19
  • Accepted : 2018.02.13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In premodern society, the central spaces in local counties were known as Eupchi (邑治), in which Gwan-a (官衙). The Eupchi located in seaside counties were in Eupseong, whereas the Eupchi of inland counties only included a Gwan-a, and did not have a fortress. Yanggeun-gun (楊根郡) and Jipyeonghyeon (砥平縣), which currently form Yangpyeong-gun (楊平郡), were counties where only Gwan-a existed. At present, there are few traces of the Gwan-a in Yanggeun and Jipyeong.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exactly verify the history, scale and location of these two Gwan-a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make a rough estimation of the histories, scales and sites of these Gwan-a by analyz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ancient maps that are scatter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spatial organization of local Gwan-a. The Yanggeun and Jipyeong Gwan-a appear to have been built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re are three reasons for this assertion: First, in Yanggeun and Jipyeong, Suryeong (守令) were first officially appointed after the early Joseon period. Once Suryoeng were appointed to such counties, the Gwan-a in which they would serve c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Dongheon (東軒) in Yanggengun and the Gaeksa (客舍) in Jipyeonghyeon were rebuilt in 1703 (2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ukjong) and 1465 (11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 respectively; thus; the Gwan-a must have existed since the early Joseon period.. Third, in Yanggeungun, the Hyanggyo (鄕校) had existed since the early Joseon period, as the Joseon government necessarily established the Hyanggyo in areas where Suryeong were established. The facilities of local Gwan-a in the Joseon period were largely divided into gonghae (公?), educational institutes, and alters. The gonghae was a facility in which the Suryeong and Gwanwon (官員) managed administrative, judicial and military affairs, and consisted of the A-sa (衙舍), Hyeongcheong (鄕廳), Jackcheong (作廳), Gaeksa (客舍), Gungwancheon (軍官廳), and so on. The education institute was called a Hyeonggyo, while alters included the Sajikdan (社稷壇), Seonghwansa (城隍祠) and Yeodan (?壇). Both the Yeongeun and Jipyeong Gwan-a also consisted of such facilities as A-sa, Hyangcheong, Jakcheong, Gaeksa, Gungwancheong, Hyeonggyo, Changgo, Sajikdan, Seonghwangsa, Yeodan, Saryeongcheong, Jiincheong and Gwannocheong. The present sites for both Gwan-as cannot be identified with any certitude. However, they can be roughly identified by connecting the related literatures, oral statements and relics with the principles of spatial organization of local Gwan-a in the Joseon period. ${\bullet}$ Address of the Yanggeun A-sa (Dongheon): the whole of # 15, Gwanmun 1-gil, Yangpyeong-eup (Yanggeun-ri 151) in front of Yanggeun Junior High School at present. ${\bullet}$ Address of Yanggeun Gaeksa: around the Yangpyeong police station at present. ${\bullet}$ Address of Jipyeong A-sa(Dongheon): the whole of Jipyeong-ri 248-250, Jipyeong-myeon at present. ${\bullet}$ Address of Jipyeong Gaeksa: the whole of Jipyeong-ri 238, Jipyeong-myeon at present.

전근대 사회에서 지방고을의 중심공간은 官衙(관아)가 있던 邑治(읍치)였다. 해안가 고을의 읍치는 읍성 안에 있었으나, 내륙 고을의 읍치는 성곽이 없이 관아만 있었다. 현재 양평군(楊平郡)인 양근군(楊根郡)과 지평현(砥平縣)은 관아만 있던 고을이었다. 양근군과 지평현에 관아가 정식으로 설치된 시점은 조선 초기이다. (1)조선 초부터 두 지역에 수령(守令)이 정식으로 임명되었던 점, (2)1703년(숙종 29)과 1465년(세조 11)에 양근군 동헌(東軒)과 지평현 객사(客舍)가 중수(重修)되었던 점, (3)조선 초부터 향교가 있었던 점 등이 조선 초부터 두 지역에 관아가 존재하였음을 증명한다. 조선시대 양근 지평관아의 주요건물은 아사(衙舍) 향청(鄕廳) 작청(作廳) 객사(客舍) 군관청(軍官廳) 등의 공해(公?), 향교 등의 교육시설, 사직단(社稷壇) 성황사(城隍祠) 여단(?壇) 등의 제단(祭壇)이었다. 현재 양근관아와 지평관아의 흔적은 거의 없다. 하지만 조선시대 지방관아의 공간구성 원칙 속에서 남아있는 문헌 고지도 유물 등을 분석한다면, 두 관아의 터[址]는 대략 찾을 수 있다. 문헌상 양근 아사[동헌] 터로 지목된 지역은 '현 양근중학교 앞 양평읍 관문1길 15(양근리 151)'이다. 실제 관문1길 일대에서 조선시대 백자편 기와편 등이 발견되며, 일부 주택에서 옛 동헌의 장대석을 재활용하는 모습도 확인된다. 한편 양근 객사 터로 추정되는 지역은 '현 양평경찰서 주변'이다. 하지만 양평경찰서 주변에서 객사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는다. 다만 양평경찰서 근처의 양평역 앞에 천주교 성지 표석이 있어, 이 일대가 관아 터였음을 알 수 있다. 지평관아의 주요건물(동헌 내아 작청 장청 군향고 연무정 화약고 향청 객사 등)은 현 관교길(지평리 238~250)을 따라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비교적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는 건물 터는 객사와 아사[동헌] 터이다. 객사 터로 지목된 지평리 238번지는 주민의 구술과 문헌 내용이 일치하며, 아사[동헌] 터로 추정된 지평리 248~250번지 일대는 백자편 기와편 옛 동헌의 담장 등이 발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三國史記
  2. 高麗史
  3. 成宗實錄
  4. 顯宗改修實錄
  5. 正祖實錄
  6. 高宗實錄
  7. 純宗實錄
  8. 承政院日記
  9. 備邊司謄錄
  10. 經國大典
  11. 東國輿地勝覽
  12. 輿地圖書
  13. 楊根郡邑誌與地圖成冊
  14. 京畿邑誌
  15. 砥平郡邑誌與地圖
  16. 楊根郡邑誌 先生案
  17. 砥平縣邑誌 先生案
  18. 大東地志
  19. 杞園集 楊根縣東軒新修記
  20. 太虛亭文集 砥平縣客舍重營記
  21. 국립중앙도서관연구소 고전운영실, 2011, 고지도를 통해 본 경기지명연구, 국립중앙도서관, pp.135
  22. 김동욱, 1998, 한국 건축의 역사, 기문당, pp.160-161
  23. 유동호.김정인, 2017, 양평 양근.지평 추정 관아지 학술기초조사 보고서, 양평문화원.(재)한성문화재연구원, pp.34, 36-43, 46-47
  24.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1999, 양평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양평군, pp.39-42, 48
  25. 양평군지편찬위원회, 2005, 양평군지上, 양평군, pp.369-370, 379-380
  26. 양평군지편찬위원회, 2005, 양평군지中, 양평군, pp.886, 979
  27. 김기덕.이재헌, 2001, 조선후기 충청도 전의현 관아건축의 배치구성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10권 4호, 한국건축역사학회, pp.7
  28. 김기덕, 2004, 조선후기 지방관아건축의 배치구성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3권 1호 통권 37호, 한국건축역사학회, pp.16-17
  29. 유동호, 2014, 조선후기 지방군제의 변화와 하삼도 병영 운영, 충북대학교 박사논문, pp.13-14
  30. 이기봉, 2011, 고지도와 지리지 속에 담긴 경기도 고을의 역사와 읍치 이해 고지도를 통해 본 경기지명연구, 국립중앙도서관, pp.224-225
  31. 정해득, 2009, 정조시대 현릉원 조성과 수원 이읍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논문, pp.236-237
  32. <평화신문> 2010. 5. 9 (제1067호)
  33. <카톨릭신문> 2010. 5. 2 (제2695호)
  34. <뉴시스> 2016.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