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the Raising of Loc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문화유산교육의 전개과정과 지역문화유산교육의 부상

  • Received : 2018.03.30
  • Accepted : 2018.05.08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In modern society, cultural heritage has played a role in constituting national identity. Th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Project started in the 2000s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as also aware of the issu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ultural diversity as major cultural issues at the time. However, the main purpose of previou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was to foster national identit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executed cultural heritage education programs since 2006.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cultural heritage teacher visiting the school, the project to designate a cultural heritage school, and an education program to experience cultural heritage at an archaeological site were carried out. In the 2010s, the theme of cultural rights and enjoyment of cultural heritage in life was raised as an important issu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had to accept the 'new meaning of cultural heritage', 'cultural rights',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this context, the loc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project started. The region is a space where various identities are reconstructed. However, loc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tself cannot realize cultural heritage enjoyment in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cultural heritage in life through the various efforts of loc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근대사회에서 문화유산은 국민정체성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문화재청이 2000년대 시작한 문화유산교육 사업 또한 당시의 주요한 문화적 이슈인 지속가능발전, 문화다양성 등의 수용에 대한 문제의식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요한 목적은 국민정체성 함양에 있었다. 문화재청은 2006년도부터 문화유산교육 사업을 시작한다. 문화재청의 문화유산교육 사업은 문화유산방문교육, 연구시범학교와 고고학 체험교실을 중심으로 시행되었다. 2010년대 들어 문화적 권리와 생활 속에서의 문화유산 향유라는 문제의식이 본격화 된다. 문화유산교육은 '문화유산의 새로운 의미'를 수용하고, 문화유산교육 속에서 '문화적 권리'와 '학습자 중심 교육' 등 새로운 문제의식을 담은 문화유산교육의 전략을 모색해야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리고 그 결과가 지역문화유산교육 사업의 시행으로 나타난다. 지역은 다양한 정체성이 재구성되는 공간이다. 그러나 지역문화유산교육이 그 자체로 문화유산 향유의 근본적 지향인 생활세계로의 진입과 생활세계와 결합한 새로운 전체성을 구현할 수는 없다. 지역문화유산교육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노력을 통해서 '생활 속 문화유산'의 모색이 가능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미숙, 2003, 정체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 : 서사적 정체성 교육 한국교육 30권 1호, pp.5-32
  2.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6,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서 묻는 교육의 미래 2016 글로벌평생교육동향 2호(2016.6), 국가평생교육진흥원
  3. 권용혁, 1996, 하버마스와 새로운 사회운동 사회비평 15호, 나남출판사
  4. 김경선, 2008, 스베트라나 앨퍼스의 신미술사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5. 김경욱, 2003, 문화민주주의와 문화정책에 대한 새로운 시각 문화경제연구 제6권 제2호, pp.31-53
  6. 김상현, 2009, 러시아 국가 정체성의 역학관계 모델과 정치-문화 상징의 함의: 푸틴 시대의 국가 정체성 재고를 위한 시론 국제지역연구 vol. 12 no.4, pp.23-55
  7. 문화재청, 2006-2017, 문화재연감, 문화재청
  8. 문화재청, 2007, 문화재 활용 가이드북, 문화재청
  9. 문화재청, 2010, 문화유산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수립 기초 연구, 문화재청
  10. 문화재청, 2018, 2018 지역문화유산교육 가이드북, 문화재청
  11. 민주식, 2016, 탈근대의 미술교육을 위한 소고 조형교육 제58집, 한국조형교육학회
  12. 박소현, 2011, 신박물관학 이후, 박물관과 사회의 관계론 현대미술사연구, 제29권, 현대미술사학회, pp.211-237
  13. 양정무, 1998, 신미술사학 옮긴이 해제 신미술사학, (알란리스 외), 시공사
  14. 양지연, 1999, New Museology-서구 박물관학계의 최근 동향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12, 서양미술사학회, pp.145-151
  15. 오명석, 1998, 1960-1970년대의 문화정책과 민족문화담론 비교문화연구 vol. 4,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pp.121-152
  16. 이노은, 2011, 박물관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15,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pp.27-48,
  17. 이명진, 2013, 신박물관학의 관점에서 본 부산 박물관의 발전방안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이상돈, 2000, 법사회학, 박영사
  19. 홍태영, 2011, 정체성의 정치학, 서강대학교출판부
  20. 교육부, 2015, 개정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80호(2015.12.01.))
  21. 문화재보호법, 2017, 법률 제15065호(2017.11.28. 공포)
  22. 문화재청, 2017, 보도자료 지역문화유산으로 청소년 교육 이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 (2017.9.21.)
  23.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1989, Code of Professional Ethics
  24. Marilena Alivizatou, 2008, Contextualis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03
  25. Richard Shusterman, 2003, Entertainment: A Question for Aesthetics, British Journal of Aesthetics 43. no3, 허정선 외 역, 삶의 미학, 이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