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search Status and Task of the Metalcrafts of Shoso-in Collection

정창원(正倉院) [쇼소인] 금속공예의 연구 현황과 과제

  • Choi, Eungchon (Department of Art history, Dongguk University-Seoul)
  • 최응천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 Received : 2018.05.31
  • Accepted : 2018.08.23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Sh{\bar{o}}s{\bar{o}}-in$(正倉院) is the detached storage building for Japanese treasures that belongs to $T{\bar{o}}dai-ji$ in Nara, Japan. The reason why $Sh{\bar{o}}s{\bar{o}}-in$ collections are drawing attention is that Japanese artifacts, sculptures, paintings, and other objects that were introduced through the Silk Road, such as Sasanian Persia and India, and those that were introduced from the Unified Silla and Tang China. In addition, hundreds of well-preserved documents of $Sh{\bar{o}}s{\bar{o}}-in$ collections play an important role as a historical reference material covering not only the social situation of the time but also the history of exchange of cultural diplomacy and the change of Buddhist doctrine. In particular, some of collections of $Sh{\bar{o}}s{\bar{o}}-in$ were made in China and may have been imported or received as gifts, but many of the artifacts made in Baekje and Unified Silla are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his paper examined the research status of $Sh{\bar{o}}s{\bar{o}}-in$ metal crafts of Korean and foreign scholars, and examined the association with the relics of $Sh{\bar{o}}s{\bar{o}}-in$ through metal craft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 research on the future direction of $Sh{\bar{o}}s{\bar{o}}-in$ collections sh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Systematization of state-level support and single window for the research of $Sh{\bar{o}}s{\bar{o}}-in$ collections 2. Accurate listing and database of $Sh{\bar{o}}s{\bar{o}}-in$ collections 3. The positive implementation of joint research with Japan and invitation of researchers related to $Sh{\bar{o}}s{\bar{o}}-in$ collections 4. The exchange exhibition between the Korean National Treasures and the $Sh{\bar{o}}s{\bar{o}}-in$ collections 5. Expansion of the research base through the publication and support of books related to $Sh{\bar{o}}s{\bar{o}}-in$ collections.

쇼소인[정창원(正倉院)]은 일본 나라시내(내량시내(奈良市內)) 토다이지[동대사(東大寺)]의 후원 쪽에 위치하는 목조(木造)로 지어진 단독의 창고 건물을 가리킨다. 이곳에는 나라시대로부터 소장되기 시작한 약 9,000여점에 이르는 다종다양한 미술품과 문서를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정창원 유물이 주목받는 까닭은 8세기 일본의 공예, 조각, 회화는 물론 사산조 페르시아, 인도와 같이 실크로드를 통해 건너온 물품과 당시 통일신라와 중국 당대에서 유입된 유물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수백여점에 달하는 생생한 문서가 잘 보존되어 있어 당시의 사회 제반 상황은 물론이고 문화 외교의 교류사 및 불교 교리의 변천까지 아우르는 역사적 고증 자료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이러한 정창원 소장 유물이 과연 어느 시기에 어느 곳에서 제작된 것인가에 관한 문제로서 이들 중에는 중국에서 만들어져 수입되거나 선물로 받은 것도 있겠지만 백제나 통일신라에서 만들어져 정창원에 소장된 유물이 다수 전해지고 있어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처럼 중요성을 지닌 정창원 관련 연구가 그동안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정리된 적이 없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 외 학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정창원 금속공예의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최근 한반도에서 출토되고 있는 금속공예품을 통해 이들이 지닌 정창원 유물과의 연관성을 검토해 보았다. 나아가 정창원 조사와 연구에 대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한지 정창원 조사와 연구의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한 내용이다. 1, 정창원 소장 유물 조사를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 및 창구의 일원화 2. 정창원 소장 유물의 체계적인 목록화 작업 및 데이터베이스화 3. 일본과 공동 조사 연구의의 적극적인 시행 및 정창원 관련 연구자의 초청 4. 정창원 유물과 국내 보물급 유물의 교류 전시 추진 5. 정창원 관련 서적의 출판과 지원을 통한 연구 저변의 확대.

Keywords

References

  1. 法隆寺献納宝物特別調査概報X X IV-供養具1, 東京國立博物館, 2003
  2. 法隆寺献納宝物特別調査概報 X X V-供養具2, 東京國立博物館, 2004
  3. 法隆寺献納宝物と正倉院宝物の源流に関する調査研究 : 韓国所在の彫刻.工芸作品を中心に, 東京國立博物館, 2004
  4. 日韓両国に所在する韓国仏教美術の共同調査研究, 奈良國立博物館,1993
  5. 正倉院展, 奈良國立博物館.
  6. 正倉院展六十回のあゆみ, 奈良國立博物館, 2008
  7. 正倉院宝物, 東京國立博物館, 1981
  8. 正倉院宝物-X, 毎日新聞社, 1994-1997
  9. 正倉院宝物 北倉, 朝日新聞社, 1987
  10. 正倉院宝物 南倉, 朝日新聞社, 1989
  11. 正倉院宝物 中倉, 朝日新聞社, 1988
  12. 正倉院の金工, 日本経済新聞社, 1976
  13. 正倉院宝物にみる家具.調度, 紫紅社, 1992
  14. 正倉院宝物にみる仏具.儀式具, 紫紅社, 1993
  15. 正倉院宝物にみる楽舞.遊戯具, 紫紅社, 1991
  16. 栄原永遠男.이병호 옮김, 정창원문서 입문, 태학사, 2012
  17. 이난영,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18. 이난영, 正倉院 소장품과 統一新羅, 일지사, 1996
  19. 崔在錫, 正倉院 소장품과 統一新羅 일지사,1996
  20. 최응천 外, 금속공예, 솔, 2003
  21. 宮内庁正倉院事務所, 正倉院紀要
  22. 日本経済新聞社, 正倉院の金工, 1976
  23. 講談社, 正倉院美術館, 2009
  24. 思文閣, 正倉院宝物に学ぶ1, 2008
  25. 思文閣, 正倉院宝物に学ぶ2, 2012
  26. 関根真隆, 正倉院への道, 吉川弘文館, 1991
  27. 東野治之, 正倉院文書と木簡の研究, 塙書房, 1977
  28. 東野治之, 遣唐使と正倉院, 岩波書店, 1992
  29. 米田雄介, 正倉院と日本文化, 吉川弘文館, 1998
  30. 米田雄介.杉本一樹, 正倉院美術館, 講談社, 2009
  31. 杉本一樹, 正倉院宝物の世界, 山川出版社, 2010
  32. 松嶋順正, 正倉院寶物銘文集成1.2, 吉川弘文館, 1978
  33. 陽原公浩 外, 正倉院の世界, 平凡社, 2006
  34. 由水常雄, 正倉院の謎, 魁星出版, 2007
  35. 林良一, The Silk Road and the Shoso-in, Heibonsha.Weatherhill, 1975.
  36. 김동욱, 正倉院 寶物의 位相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9, 新羅文化宣揚會, 1988
  37. 김종선, 日本 正倉院 所藏 新羅帳籍의 作成年度와 그 歷史的 背景 아시아문화 5,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89
  38. 박남수, 752년 金泰廉의 對日交易과 <買新羅物解>의 香藥 한국고대사연구 55, 한국고대사학회, 2009
  39. 윤선태, 752년 신라의 대일교역과 買新羅物解: 正倉院 소장 貼布記의 해석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24, 한국역사연구회, 1997
  40. 이난영, 奈良 正倉院에 보이는 新羅文物 中齋 張忠植博士 華甲記念論叢, 中齋 張忠植博士 華甲記念論叢刊行委員會, 1992
  41. 이난영, 扶餘山 出土 一括遺物의 再檢討 美術資料 20, 국립중앙박물관, 1977
  42. 이난영, 어자문 기법 진단학보 71.72, 진단학회, 1991
  43. 이용진, 통일신라시대 柄香爐 연구 범종 20, 한국범종학회, 2007
  44. 中野正樹, 正倉院 寶物과 新羅遺物 미술사연구 8, 미술사연구회, 1994
  45. 中野正樹.沈盈伸 옮김, 正倉院 寶物과 新羅遺物 미술사연구, 미술사연구회, 1994
  46. 최응천, 軍威 麟角寺 출토 佛敎金屬工藝品의 性格과 意義 先史와 古代 32, 한국고대학회, 2010
  47. 최재석, 日本 正倉院 소장 한약재를 통해 본 統一新羅와 日本과의 관계 民族文化硏究 2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
  48. 최재석, 日本 正倉院 소장품 製作國 확인의 一次的 視覺 韓國學報 19, 일지사, 1993
  49. 최재석, 正倉院 소장품의 內容과 性格:正倉院 소장품 旅具 序說 美術史學硏究 199.200, 한국미술사학회, 1993
  50. 최재석, 日本 東大寺 正倉院의 屛風과 그 제작국 한국학연구 6,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4
  51. 최재석, 日本 東大寺獻物帳을 통해 본 正倉院 소장품의 製作國 韓國學報20, 일지사, 1994
  52. 최재석, 日本 正倉院의 赤漆文느티나무欌과 그 製作國 新羅文化 10,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4
  53. 최재석, 日本 正倉院의 8世紀 소장품은 日本에서 제작될 수 있는가? : 정창원소장품 일본제론 비판 정신문화연구 17, 한국학중앙연구원, 1994
  54. 최재석, 日本 正倉院의 假面 伎樂에 대하여 日本硏究 9,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1994
  55. 최재석, 日本 正倉院의 大刀와 그 제작국 韓國學報 20, 일지사,1994
  56. 최재석, 日本 正倉院의 銅鏡과 그 제작국에 대하여 : 平螺鈿鏡을 중심으로 民族文化硏究 2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4
  57. 최재석, 東大寺 正倉院의 佛敎儀式具와 그 제작국에 대하여 불교학보 32,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95
  58. 최재석, 일본 정창원의 유리와 그 제작국 일본학지 15, 일본연구학회, 1995
  59. 최재석, 日本 正倉院 소장 生活用具.飮食器와 그 제작국 한일관계사연구 3, 한일관계사학회, 1995
  60. 최재석, 正倉院 소장의 尺와 그 製作國에 대하여 韓國學報 21, 일지사, 1995
  61. 최재석, 正倉院의 書藉.文具와 그 製作國에 대하여 정신문화연구 18,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
  62. 加島勝, 正倉院寶物の鵲尾形香爐 佛敎藝術 200, 每日新聞社, 1992
  63. 加島勝, 柄香炉と水瓶 日本の美術 540, 至文堂, 2011
  64. 橋詰文之, 正倉院の佐波理 古代文化 51, 古代学協会, 1999
  65. 東野治之, 正倉院文書からみた新羅文物 遣唐使と正倉院, 岩波書店, 1992
  66. 東野治之, 正倉院御物修繕還納目録-開題と飜刻, 奈良大, 2002
  67. 鈴木靖民, 正倉院の新羅文物 古代對外關係史の硏究, 吉川弘文館, 1985
  68. 西川明彦, 正倉院宝物の装飾技法 日本の美術 486, 至文堂, 2006
  69. 西川明彦, 木画紫檀碁局と金銀亀甲碁局龕 正倉院紀要 35, 宮内庁正倉院事務所, 2013
  70. 成瀬正和, 正倉院銅製品の製作地等に関する検討-化学組成等から- 古代文化 51-8, 1999
  71. 成瀬正和, 正倉院宝物の素材 日本の美術 439, 至文堂, 2002
  72. 成瀬正和, 正倉院宝物に見える黄銅材料 正倉院紀要 29, 宮内庁正倉院事務所, 2007
  73. 中野政樹, 法隆寺献納宝物 響銅加盤について Museum 114, 東京国立博物館, 1960
  74. 中野政樹, 正倉院の金工総説 正倉院の金工, 日本経済新聞社, 1976
  75. 中野政樹, 正倉院宝物の佐波理加盤鋺 Museum 368, 東京国立博物館, 1981
  76. 中野政樹, 日本の魚々子:受容と展開 Museum 33, 東京国立博物館, 1983
  77. 中野政樹, 正倉院宝物の匙と加盤.鋺 仏教芸術 200, 每日新聞社, 1992
  78. 阪田宗彦, 法隆寺の佐波理遺品 Museum 280, 東京国立博物館, 1974
  79. 阪田宗彦, 密教法具 日本の美術 282, 至文堂, 1989
  80. 阪田宗彦, 正倉院宝物の塔鋺形合子 仏教芸術 200, 每日新聞社, 1992
  81. 河田 貞, 正倉院宝物に関連する近年の新羅古墳出土遺物 Museum 369, 東京国立博物館, 1981
  82. 後藤四朗, 正倉院宝物の製作地の問題 Museum 368, 東京国立博物館, 1981 學位論文
  83. 안귀숙, 中國淨甁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0
  84. 홍창화, 日本 正倉院 所藏 統一新羅 金屬工藝品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