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Verification of Korean Version Swallowing Disturbance Questionnaire (K-SDQ)

한국판 삼킴 곤란 척도(K-SDQ)의 번안본 검증

  • Received : 2018.09.03
  • Accepted : 2018.12.19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Swallowing disorders that can affect nutrient intakes and quality of life are commonly shown among the elderly as well as patients with neurogenic disorder. This study verifi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wallowing Disturbance Questionnaire (SDQ), a subjective swallowing disability assessment tool, modified for Koreans' eating habit and cultural sentiment, against 105 stroke patients, in order to help identify early swallowing problems of the elderly. Reliability of internal consistency in the Korean version of SDQ is .601, test-retest reliability is .97, and concurrent validity is .956. Based on 8 points of cut-off score, 46.8% of sensitivity and 81.6% of specificity. Comparing the results of video fluoroscopic study (VFSS), an objective swallowing disorder test with those of Korean version of SDQ,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was shown as 81% and 53%. The Korean version of SDQ is expected to be a useful testing tool to discriminate swallowing disorders in stroke patients. It has great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swallowing difficulties shown by subjects can be sorted out to request a diagnostic assessment before clinical evaluation by a rehabilitation therapist or ruling out unnecessary exposure to additional tests by accurately identifying stroke patients without swallowing problems.

영양 섭취와 일상생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삼킴장애는 신경장애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 노년층에게서도 적지 않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삼킴 문제를 조기 선별하여 진단 검사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주관적 삼킴장애 평가도구인 삼킴곤란척도(Swallowing Disturbance Questionnaire, SDQ)를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에 맞게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뇌졸중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판 SDQ의 문항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601,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7, 공인타당도는 .956이었고, 절단점 8점을 기준으로 민감도가 46.8%, 특이도가 81.6%인 것으로 나타났다. 객관적 삼킴장애 검사인 비디오투시조영검사와 한국판 SDQ 검사 상 관찰된 삼킴곤란 유무와의 비교 결과, 음성예측도(negative predictive value, NPV)는 81%, 양성예측도(positive predictive value, PPV)는 53%로 나타났다. 한국판 SDQ는 뇌졸중 환자들의 삼킴장애 유무를 변별하는데 유용한 검사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재활전문가에 의한 임상평가가 이루어지기 전에 대상자가 보이는 삼킴곤란을 미리 선별하여 진단검사를 의뢰하거나, 삼킴문제가 없는 뇌졸중 환자를 정확하게 선별하여 잉여적인 추가 검사 노출을 배제하는 차원에서 그 임상적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