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을 보는 세 가지 관점

Three Frames of Societal Challenge-driven Innovation

  • 투고 : 2018.05.24
  • 심사 : 2018.07.23
  • 발행 : 2018.07.31

초록

이 글에서는 최근 새로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을 바라보는 관점들을 검토한다. 현재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에 대한 논의가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여러 관점들이 병존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과학기술을 다루는 전문가와 시민사회가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 과정에서 형성하는 관계에 따라 1) 전문가 중심 관점, 2) 시민 중심의 관점, 3) 전문가-시민의 협업 관점으로 나누어서 논의를 전개한다. 이 3개의 관점을 정리한 후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정책의 발전방향을 논의한다.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을 혁신정책 전환을 위한 전략적 니치로 파악하고 향후 전개 방향을 1) 협업적 관점의 심화, 2) 시스템 전환론의 도입, 3)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론에 입각한 혁신정책의 재구성으로 제시한다.

This paper examines three perspectives on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that are aiming at resolving the social problem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cratic experts and civil society in the process of social problem solving innovation, we will discuss 1) expert-centered approach, 2) citizen-centered approach, and 3) expert-citizen collaboration approach. After summarizing these three perspectives, we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olicies that solve social problem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social problem solving type innovation policy as a strategic niche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innovation policy, and to develop the future direction in the following ways: 1) deepening the collaborative approach, 2) introducing the sustainability transition approach, and 3) reconstructing the innovation policy using new concept of innov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과학기술연구회 (2018), 과학기술 출연(연) 발전방안.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국민생활연구 추진전략.
  3. 과학기술혁신본부 (2018), 제2차 과학기술기반 국민생활(사회)문제해결 종합계획
  4. 김병권 (2016), 사회혁신, 서울연구원.
  5. 김종선 외 (2016), 디지털 사회혁신의 활성화 전략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6. 김준한. 한재각 (2018), 에너지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한국 리빙랩의 경험: 성대골의 도시지역 미니 태양광 사례를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제18권, 제1호.
  7. 김효민. 조승희. 송성수 (2016), 참여적 과학기술 거버넌스의 전개와 전망, 과학기술학연구, 제16권, 제2호.
  8.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6), 사회문제 해결형R&D사업 운영 ․ 관리 가이드라인.
  9. 박미영. 김왕동. 장영배 (2014), 전환 연구와 지속가능한 발전: 벨기에 플랑드르 기술연구소(VITO) 사례, STEPI 동향과 이슈, 제18호.
  10. 사회혁신팀 편역 (2014),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 이론과 실천. (Sterrenberg L., Andringa, J., Loorbach, D., Raven, R., and Wieczorek, A.(2013), Low-carbon transition through system innovation Theoretical notions and application, Pioneers into Practice Mentoring Programme 201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1. 서울혁신파크 리빙랩 (2017), 2016 서울 리빙랩, 100일의 기록, 서울 혁신파크.
  12. 성지은 외 (2017), 국내 리빙랩 현황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3. 성지은. 박인용 (2016), 시스템 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시사점 기술혁신학회지. 제19권 제1호.
  14. 송위진 엮음 (2017), 사회. 기술시스템 전환: 이론과 실천 한울아카데미.
  15. 송위진 (2017.11.1), 과학기술, 국민생활 속으로 들어가다. 머니투데이.
  16. 송위진 (2017), 사회적경제조직의 혁신활동과 과제, 한국혁신학회지, 제12권 2호.
  17. 송위진. 성지은 (201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정책, 한울아카데미.
  18. 송위진. 성지은 (2014), 시스템 전환론의 관점에서 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발전 방향, 기술혁신연구. 제22권 제4호.
  19. 송위진 외 (2017), 사회. 기술시스템 전환 전략 연구사업(3차년도): 시스템 전환과 지속가능한 산업형성,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 송위진. 성지은. 김종선. 강민정. 박희제 (2018),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과 사회혁신, 한울아카데미.
  21. 신현우. 이광석 (2017), 한국의 메이커 문화 동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가발전 메이커 담론과 일상문화 속 저항 사이에서, 인문콘텐츠, 제45호.
  22. 엄정욱 (2018), 민간주도의 국민생활과학자문단 출범의 의미와 안전을 위한 자문단의 역할, 과학과 기술, 2018년 4월호.
  23. 이광석 (2017), 데이터 사회 비판, 책읽는 수요일.
  24. 이명호 (2017), 국가 R&D전략과 시산학 혁신체제, 여시재.
  25. 이영희 (2002), 기술사회에서의 참여민주주의의 가능성 연구: 과학기술 정책 관련 시민참여 모델 평가를 중심으로, 동향과 전망, 2002년 여름호.
  26. 이원재 (2018.5.16), 실험하는 국가가 필요하다, 한겨레신문.
  27. 임홍탁. 송위진 (2017),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초학제적 연구의 특성, 동향과 이슈, 제39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8. 임명환 (2018.6.8), 국민생활연구 추진체계 필요하다, 디지털 타임즈.
  29. 장훈교 (2017), TRANSIT과 전환적 사회혁신, 월간 사회혁신의시선, 2017년 4월호. 서울혁신센터 사회혁신 리서치랩.
  30. 정지범 (2013), 지역안전거버넌스 구축의 한계와 과제: 정책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제27권, 제1호.
  31. 한국정보화진흥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ICT를 통한 착한 상상,
  32. 한재각. 장영배 (2009), 과학기술 시민참여의 새로운 유형: 수행되지 않은 과학 하기, 과학기술학연구, 제9권 제1호.
  33. 현재환. 홍성욱 (2012), 시민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 STS의 참 여적 전환 내의 다양한 입장에 대한 역사적 인식론, 과학기술학연구, 제12권, 제2호.
  34. 홍덕화 (2018), 전환적 사회혁신과 고령사회 대응: 도시 녹색 공유재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2018년 봄호.
  35. Avelino, F. et al. (2018), "Transformative Social Innovation and (Dis) empowerment."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in Press.
  36. Breckon, J.(2015), Better Public Services through Experimental Government, Alliance for Useful Evidence.
  37. Geels, F. (2004), "From Sectoral Systems of Innovation to Socio-technical Systems Insights about Dynamics and Change from Sociology and Institutional theory", Research Policy, 33, 897-920. https://doi.org/10.1016/j.respol.2004.01.015
  38. Geels, F.(2014), "Reconceptualising the Co-evolution of Firms-in-industries and Their Environments: Developing an Inter-disciplinary Triple Embeddedness Framework", Research Policy, 43, 261-277. https://doi.org/10.1016/j.respol.2013.10.006
  39. Hess, D. (2007), Alternative Pathways in Science and Industry: Activism, Innovation, and the Environment in an Era of Globalization, Cambridge, MA: MIT Press.
  40. Hess, D.(2016), Undone Science: Social Movements, Mobilized Publics, and Industrial Transitions, MIT Press.
  41. Isaksen, A. and M. Nilsson (2013), "Combined Innovation Policy: Linking Scientific and Practical Knowledge in Innovation Systems," European Planning Studies, 21(12), 1919-1936. https://doi.org/10.1080/09654313.2012.722966
  42. Loorbach, D. and Rotmans, J.(2010), The practice of transition management: Examples and lessons from four distinct cases, Futures, 42, 237-246. https://doi.org/10.1016/j.futures.2009.11.009
  43. Lundvall, B.(2008), National Innovation System: Analytical Concept and Development Tool. Industry and Innovation, Vol. 14, No. 1.
  44. Mazzucato, M.(2018), "Mission-oriented Research and Innovation in the European Union", European Commission.
  45. Morozov, E. (2014), To Save Everything, Click Here: The Folly of Technological Solutionism, Public Affairs.
  46. Mulgan, G. and Townsley, O. (2016), The Challenge-driven University: how real-life problems can fuel learning, NESTA.
  47. Mulgan, G.(2012), Government with People: the Outlines of Relational Stat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48. Muir, R. and Parker, I.(2014), Many to Many: How the Relational State will Transform Public Services,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49. Nonaka, I. (1994), "A Dynamic Theory of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Organization Science, Vol.5, No. 1.
  50. Radjou, N and Prabhu, J. (2016), 검소한 이노베이션(Frugal Innovation), Mindful Books.
  51. Samlelin, B. (2015), "Open Innovation 2.0 Creations New Innovation Space", in Open Innovation Yearbook 2015, European Commission.
  52. Schot, J. and Steinmueller, E. (2016), Framing Innovation Policy for Transformative Change: Innovation Policy 3.0. SPRU Science Policy Research Unit, University of Sussex: Brighton, UK.
  53. Seyfang, G and Smith A. (2007), "Grassroots innova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wards a new research and policy agenda", Journal Environmental Politics Vol 16, No. 4.
  54. Smith, A., Fressolib, M. and Thomas, H. (2014), "Grassroots innovation movements: challenges and contributions.ʼ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 63.
  55. Stilgoe, J., Owen, R. and Macnaghten, P.(2013), "Developing a Framework for Responsible Innovation", Research Policy, Vol. 42 No. 9.
  56. Stokes, E. (1997), Pasteur's Quadrant: Basic Scienc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Brookings Institution Press.
  57. Schuurman, D. (2017), Living Labs, Mimeo, IMEC.
  58. Tushman, M. and Rosenkopf, L.(1992),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Technological Change: Towards a Sociology of Technology Evolutio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4, JAI Press Inc.
  59. Utterback, J.(1994), Mastering the Dynamics of Innovati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번역서: 김인수. 김영배. 서의호 옮김, 기술변화와 혁신전략, 2002, 경문사).
  60. VITO(2012), Transition in Research. Research in Transition.
  61. World Bank(2015), Citizen-Driven Innovation: A Guidebooks for City Mayor and Public Adminstration, The World B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