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과학기술연구회 (2018), 과학기술 출연(연) 발전방안.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국민생활연구 추진전략.
- 과학기술혁신본부 (2018), 제2차 과학기술기반 국민생활(사회)문제해결 종합계획
- 김병권 (2016), 사회혁신, 서울연구원.
- 김종선 외 (2016), 디지털 사회혁신의 활성화 전략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김준한. 한재각 (2018), 에너지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한국 리빙랩의 경험: 성대골의 도시지역 미니 태양광 사례를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제18권, 제1호.
- 김효민. 조승희. 송성수 (2016), 참여적 과학기술 거버넌스의 전개와 전망, 과학기술학연구, 제16권, 제2호.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6), 사회문제 해결형R&D사업 운영 ․ 관리 가이드라인.
- 박미영. 김왕동. 장영배 (2014), 전환 연구와 지속가능한 발전: 벨기에 플랑드르 기술연구소(VITO) 사례, STEPI 동향과 이슈, 제18호.
- 사회혁신팀 편역 (2014),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 이론과 실천. (Sterrenberg L., Andringa, J., Loorbach, D., Raven, R., and Wieczorek, A.(2013), Low-carbon transition through system innovation Theoretical notions and application, Pioneers into Practice Mentoring Programme 201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서울혁신파크 리빙랩 (2017), 2016 서울 리빙랩, 100일의 기록, 서울 혁신파크.
- 성지은 외 (2017), 국내 리빙랩 현황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성지은. 박인용 (2016), 시스템 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시사점 기술혁신학회지. 제19권 제1호.
- 송위진 엮음 (2017), 사회. 기술시스템 전환: 이론과 실천 한울아카데미.
- 송위진 (2017.11.1), 과학기술, 국민생활 속으로 들어가다. 머니투데이.
- 송위진 (2017), 사회적경제조직의 혁신활동과 과제, 한국혁신학회지, 제12권 2호.
- 송위진. 성지은 (201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정책, 한울아카데미.
- 송위진. 성지은 (2014), 시스템 전환론의 관점에서 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발전 방향, 기술혁신연구. 제22권 제4호.
- 송위진 외 (2017), 사회. 기술시스템 전환 전략 연구사업(3차년도): 시스템 전환과 지속가능한 산업형성,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송위진. 성지은. 김종선. 강민정. 박희제 (2018),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과 사회혁신, 한울아카데미.
- 신현우. 이광석 (2017), 한국의 메이커 문화 동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가발전 메이커 담론과 일상문화 속 저항 사이에서, 인문콘텐츠, 제45호.
- 엄정욱 (2018), 민간주도의 국민생활과학자문단 출범의 의미와 안전을 위한 자문단의 역할, 과학과 기술, 2018년 4월호.
- 이광석 (2017), 데이터 사회 비판, 책읽는 수요일.
- 이명호 (2017), 국가 R&D전략과 시산학 혁신체제, 여시재.
- 이영희 (2002), 기술사회에서의 참여민주주의의 가능성 연구: 과학기술 정책 관련 시민참여 모델 평가를 중심으로, 동향과 전망, 2002년 여름호.
- 이원재 (2018.5.16), 실험하는 국가가 필요하다, 한겨레신문.
- 임홍탁. 송위진 (2017),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초학제적 연구의 특성, 동향과 이슈, 제39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임명환 (2018.6.8), 국민생활연구 추진체계 필요하다, 디지털 타임즈.
- 장훈교 (2017), TRANSIT과 전환적 사회혁신, 월간 사회혁신의시선, 2017년 4월호. 서울혁신센터 사회혁신 리서치랩.
- 정지범 (2013), 지역안전거버넌스 구축의 한계와 과제: 정책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제27권, 제1호.
- 한국정보화진흥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ICT를 통한 착한 상상,
- 한재각. 장영배 (2009), 과학기술 시민참여의 새로운 유형: 수행되지 않은 과학 하기, 과학기술학연구, 제9권 제1호.
- 현재환. 홍성욱 (2012), 시민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 STS의 참 여적 전환 내의 다양한 입장에 대한 역사적 인식론, 과학기술학연구, 제12권, 제2호.
- 홍덕화 (2018), 전환적 사회혁신과 고령사회 대응: 도시 녹색 공유재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2018년 봄호.
- Avelino, F. et al. (2018), "Transformative Social Innovation and (Dis) empowerment."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in Press.
- Breckon, J.(2015), Better Public Services through Experimental Government, Alliance for Useful Evidence.
- Geels, F. (2004), "From Sectoral Systems of Innovation to Socio-technical Systems Insights about Dynamics and Change from Sociology and Institutional theory", Research Policy, 33, 897-920. https://doi.org/10.1016/j.respol.2004.01.015
- Geels, F.(2014), "Reconceptualising the Co-evolution of Firms-in-industries and Their Environments: Developing an Inter-disciplinary Triple Embeddedness Framework", Research Policy, 43, 261-277. https://doi.org/10.1016/j.respol.2013.10.006
- Hess, D. (2007), Alternative Pathways in Science and Industry: Activism, Innovation, and the Environment in an Era of Globalization, Cambridge, MA: MIT Press.
- Hess, D.(2016), Undone Science: Social Movements, Mobilized Publics, and Industrial Transitions, MIT Press.
- Isaksen, A. and M. Nilsson (2013), "Combined Innovation Policy: Linking Scientific and Practical Knowledge in Innovation Systems," European Planning Studies, 21(12), 1919-1936. https://doi.org/10.1080/09654313.2012.722966
- Loorbach, D. and Rotmans, J.(2010), The practice of transition management: Examples and lessons from four distinct cases, Futures, 42, 237-246. https://doi.org/10.1016/j.futures.2009.11.009
- Lundvall, B.(2008), National Innovation System: Analytical Concept and Development Tool. Industry and Innovation, Vol. 14, No. 1.
- Mazzucato, M.(2018), "Mission-oriented Research and Innovation in the European Union", European Commission.
- Morozov, E. (2014), To Save Everything, Click Here: The Folly of Technological Solutionism, Public Affairs.
- Mulgan, G. and Townsley, O. (2016), The Challenge-driven University: how real-life problems can fuel learning, NESTA.
- Mulgan, G.(2012), Government with People: the Outlines of Relational Stat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 Muir, R. and Parker, I.(2014), Many to Many: How the Relational State will Transform Public Services,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 Nonaka, I. (1994), "A Dynamic Theory of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Organization Science, Vol.5, No. 1.
- Radjou, N and Prabhu, J. (2016), 검소한 이노베이션(Frugal Innovation), Mindful Books.
- Samlelin, B. (2015), "Open Innovation 2.0 Creations New Innovation Space", in Open Innovation Yearbook 2015, European Commission.
- Schot, J. and Steinmueller, E. (2016), Framing Innovation Policy for Transformative Change: Innovation Policy 3.0. SPRU Science Policy Research Unit, University of Sussex: Brighton, UK.
- Seyfang, G and Smith A. (2007), "Grassroots innova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wards a new research and policy agenda", Journal Environmental Politics Vol 16, No. 4.
- Smith, A., Fressolib, M. and Thomas, H. (2014), "Grassroots innovation movements: challenges and contributions.ʼ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 63.
- Stilgoe, J., Owen, R. and Macnaghten, P.(2013), "Developing a Framework for Responsible Innovation", Research Policy, Vol. 42 No. 9.
- Stokes, E. (1997), Pasteur's Quadrant: Basic Scienc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Brookings Institution Press.
- Schuurman, D. (2017), Living Labs, Mimeo, IMEC.
- Tushman, M. and Rosenkopf, L.(1992),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Technological Change: Towards a Sociology of Technology Evolutio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4, JAI Press Inc.
- Utterback, J.(1994), Mastering the Dynamics of Innovati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번역서: 김인수. 김영배. 서의호 옮김, 기술변화와 혁신전략, 2002, 경문사).
- VITO(2012), Transition in Research. Research in Transition.
- World Bank(2015), Citizen-Driven Innovation: A Guidebooks for City Mayor and Public Adminstration, The World B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