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pproach to Value Discourse on Translation of Korean Chinese written Classics

한국 한문고전 번역의 가치담론과 번역자상에 대한 시론적 접근

  • Received : 2018.12.10
  • Accepted : 2018.12.28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ason for translating Korean Chinese written classics and the image of the person performing the translation.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restricted to South Korea and the translation value of translating the Korean classical texts from the 1960s to the 2018. In the 1960s and 1970s, the discourse of national culture and the Classical Sinology(漢學) discourse centered around the Minjokmunwhachujinhwe(民族文化推進會, National Culture Promotion Association). The discourse of the national culture was paired with the modernization, and the discourse of Classical Sinology(漢學) discourse was a certain antagonism to the discourse of modernization. The translator stereotype in this periods was close to a Classical Sinology(漢學) who could wright Korean letters. The discourse of the national culture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by pairing with the discourse of the spiritual culture, and then changed into Korean study discourse in the 1980s. Since the mid 80s, the theory of translation has been introduced byo Kim Yong-ok. The translation of the Chosun dynasty annals, which started in the 70s, made the classical translation discourse in the classical translation field into the national project efficiency discourse. To the Early achievement of state-led gigantic project through group translation, they emphasized coherence and efficiency. On the contrary, the individuality of the translators and aspects of in-depth research have weakened. This discourse also influenced until the early 2000s. These large translation projects were produced by professional translator group.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Hankuk Kojon Bunyukwon) in 2007, he foundation for the stability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business was established, and the classical translation discourse was shifted to the academic discourse centered on classical translation sudies. This discussion was expanded to the request of the establishment of an academic institution called the Classical Translation Graduate School, with a discussion on the academic identities of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The imagies of translators, paired with the academic discourse of this period, and that the classical translators must be classical scholars and translators, are begun to be requested. Thus, the classical translation value discourse changed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the imagies of classical translators have been changed accordingly.

본고는 한국 한문고전을 번역하는 가치에 대한 담론과 그 번역을 수행하는 번역자상을 다루었다. 연구의 범위를 한국(남한)에 한정하여, 민족문화추진회 등 관련 기관이 창설되고 국가지원을 통해 고전번역 사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시기인 1960년대 이후를 연구범위로 하여 한국 한문고전을 번역하는 번역가치담론의 변천을 시론적으로 살펴보았다. 1960년대와 70년대에는 민족문화추진회를 중심으로 민족문화 담론과 한학(漢學) 담론이 주조를 이루었다. 민족문화 담론은 근대화와 짝을 이루는 것이었으며, 한학 담론은 근대화 담론에 일정 정도 길항하는 것이었다. 이 시기의 번역자상은 한글을 구사할 수 있는 한학자상에 가까웠다. 민족문화 담론은 정신문화 담론과 짝하여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 설립을 이끌어 내기도 하였으며, 이후 1980년대에 한국학 담론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80년대 중반 이후 김용옥에 번역학 이론이 소개되어 반향을 일으켰다. 70년대부터 시작한 "조선왕조실록"의 번역은 고전번역 현장의 고전번역 담론을 사업 담론으로 기울게 하였다. 이러한 대형번역사업은 전문역자군을 산출하여, 번역자상으로 전업적 고전번역자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2007년 한국고전번역원의 설립으로 고전번역사업의 안정적 기반이 마련되자 고전번역 담론은 사업 담론의 영역에서 고전번역학을 중심으로한 학술 담론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가게 되었다. 고전번역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논의와 함께 고전번역대학원이라는 학문기구의 설립 문제로 논의가 확장되었다. 이 시기의 학문 담론과 짝하여 고전번역자는 고전학자이자 번역자여야 한다는 연구 번역자상이 요청되기 시작한다. 이처럼 고전번역 가치담론은 시대흐름에 따라 변화하였고, 그에 따라 고전번역자상도 변화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