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joyment Methods of Traditional Theater Performances in the Early 20th Century

20세기초 극장무대 전통공연물의 향유방식

  • 정충권 (충북대학교 국어교육과)
  • Received : 2018.04.30
  • Accepted : 2018.06.30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n succession, transformation and significance of enjoyment methods of classical literature (art)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methods that appeared when the performances of the traditional era began to be displayed on the stage of the theaters in modern Seoul. The clues to the reasons for this type of enjoyment can be found in newspapers, magazine articles, and advertisements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he emergence of stage theaters at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ra caused a sweeping change in the performance environment, including the fact that it was possible for all kinds of people to enjoy art beyond the existing socioeconomic hierarchies or barriers of status, that the performers were given employment through the theater, and that the audience had the tendency of the general public of an unspecified number because the audience was able to see the performances only by paying the viewing fee. The way of enjoying traditional performances also changed based on these new adaptations: the performances were sequential, show-oriented, and re-contextualized as public performances. It is significant that in the traditional era, performers and audiences had been segregated according to their status and a strict hierarchy; now, such cultural norms were breaking down in favor of a kind of equality. In addition, it was possible for the audience to experience sensory enjoyment, and theater brought about a new kind of popular consumer enjoyment of an artistic product. Of course, though, it is possible to look back and find problems related to the contemporary context, but the traditional performances, which were the main performances for the lower class, took the first place on the modern theater stage, and as a result, no one can deny that it became possible to move forward in the first phase of an era of public performance.

이 글은 고전문학(예술) 향유방식의 근대적 계승 변용 양상 및 의의를 점검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전통 시대의 공연물들이 근대초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 실내 극장무대 위에 올려지면서 나타난 향유방식상의 특징들을 살피는 데 초점을 두었다. 그 단서는 20세기초 신문, 잡지 기사와 광고들에서 찾아 보았다. 근대초 실내극장무대의 등장은 공연 환경상 큰 변화를 야기했다. 기존 계층이나 신분의 벽을 넘어선 향유가 가능하게 되었다는 점, 공연자는 고용을 통해 극장측에 전속되어 가기도 했다는 점, 관람료 지불만 하면 누구든 공연을 볼 수 있었으므로 관객은 불특정 다수의 일반 대중의 성향을 띠어 갔다는 점 등이 대표적인 변화였다. 나열식 연속 공연, 보여주기 지향, 대중공연물로의 재맥락화 등은 그러한 환경 변화와 관련하여 나타난 전통공연물 향유방식상의 주요 특징들이었다. 이러한 특징들이 지닌 의의로는, 전통 시대 공연자 및 관객의 신분 계층상 장벽이 허물어져 일종의 평등성을 구현할 수 있게 했다는 점, 관객의 시점에서 볼 때 감각적 향유를 경험할 수 있게 했다는 점, 예술 상품으로서의 소비적 향유를 통해 일종의 대중적 향유라 할 만한 양상을 드러내었다는 점 등을 거론할 수 있었다. 물론 그 이면을 통해 시대적 맥락을 고려한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기는 하나, 하층이 주 공연자이던 전통공연물이 근대 실내극장무대의 첫 자리를 차지했으며 그 결과 우리 대중공연물 시대의 첫 막을 열 수 있게 되었다는 점만큼은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일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