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gal Issues and Tasks for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평화통일국민협약' 추진의 법제도적 과제

  • Received : 2018.10.30
  • Accepted : 2018.11.29
  • Published : 2018.12.22

Abstract

Crisis of trust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south-south conflicts among Korean political circle, civil society and peoples on the issue of the Korean peninsula policy driven by south Korean government, have weakened the sustainable and consistent energy of the policy for peace and unification of Korea peninsula. At the moment of drastic change of south-north relation in Korean peninsula, National agreement as a foundation of sustainable peace and unification policy has very important meaning. Because of this, national contract of unification as a kind of social concertation, has been demanded.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is an unprecedented process for making unofficial legal norm because it authorize quasi-legislative binding force on the agreement which is concluded by the Korean political circle, civil society and peoples for the peace and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includes 'agreed aim and principles' for peace, prosperity and unification as well as process and result. And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also is characterized long duration of aim achievement and openness of participating subjects. In terms of law, it will be legitimate source for comprehensive modification of international and internal law. In addition, The nature of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as a people's law, should be considered as soft law which has the power to realize its contents through the enactment of legislation and policy. In order to guarantee the establishment and effectiveness of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the setting of organization is need to determine the range of representatives, wh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contract making, procedure of contract and to carry out the contract after the conclusion of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For the reason, the Council of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as a independent administrative government committee and 'Act on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is needed.

한국 사회의 내적 신뢰위기, 특히 한반도정책에 있어 남한의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 그리고 국민 사이에 존재하는 남남갈등은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한반도 평화통일정책의 추진력을 크게 약화시켜 왔다. 한반도의 새롭고 대담한 평화를 위한 남북관계의 대전환기에 지속가능한 평화통일정책의 추진기반으로서 국민적 합의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 국민 모두의 안위와 미래에 직결되는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문제에 대한 일종의 사회적 협의체제로서 통일국민협약이 요구되어 왔다. 평화통일국민협약은 모호하고 추상적인 평화와 통일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의 형성을 넘어 구체화된 한반도정책의 원칙과 방향 그리고 실천적 과제에 대하여 각 참여주체가 합의하고 합의된 협약에 대하여 준(準) 입법적 구속력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비공식적 법규범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평화통일국민협약은 개념적 측면에서 과정과 결과 모두를 포함하는 '국민의 합의'로서 한반도평화번영과 통일의 '합의된 방향과 원칙'을 담고 있는 협약이며, '목표달성의 장기성과 참여주체의 개방성'을 특징으로 한다. 법적인 측면에서는 비공식적 법규범으로서 종전선언 전후에 추진되어야 할 관련 국내법제의 종합적 정비와 국제법적 합의의 정당성 근거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국민의 법'으로서 평화통일국민협약의 법적 성격은 '정치적 강령'이나 사회적 합의의 차원을 넘어 합의의 내용이 관련 법제의 제정이나 개정의 법원(source of law)으로서 의미를 갖으며 조직화된 시민사회의 평가를 통해 협약으로부터의 이탈이 억제되고 구속력이 담보되어야 한다. 동시에 국민협약은 그 자체는 법규범이 아니지만 국민협약의 이행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독립적 행정조직에 의하여 이행되는 연성법(soft law) 규범으로서 역할을 하여야 한다. 평화통일국민협약의 성립과 이행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협약에 참여하는 국민적 대표의 범위결정과 협약추진 절차 그리고 협약의 추진과 협약체결 이후 이행을 위한 기구의 설립과 조직구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정부의 독립행정위원회 조직으로 '(가칭)평화통일협약국민회의'의 설치와 '(가칭)평화통일협약국민회의법'을 통한 평화통일국민협약 추진법제의 입법이 요구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대구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