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Middle Aged Office Employees' Physical·Cogni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and Successful Aging

중장년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

  • Jeong, Hong In (Research Institute for HRD Policy, Korea University)
  • 정홍인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 Received : 2017.11.30
  • Accepted : 2018.02.20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etween the successful aging-related predictive factors and the successful aging in the middle aged office. The predic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uch a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cognitive function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were confirmed by the existing literatur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the middle aged office employees, who are generally defined an age group from 40 to 60.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targeted to employees working at companies registered to securities, KSDAQ, and KONEX in Korea. SPSS WIN 23.0 and AMOS 21.0, and M-plus 6.12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below. First,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c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ubjective health conditio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was appropriate as RMSEA=.059, TLI=.932, CFI=.944. Seco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successful aging but cognitive function and self-esteem were not significant. Third, social support, which is a social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among other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중장년에게 있어 성공적 노화의 예측요인으로 입증된 신체적 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해 중장년에게 의미있는 성공적 노화의 선행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신체적 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의 대표변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를 상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한민국 대표 기업공시채널 KINO(http://kind.krt.co.kr)에 등록된 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3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3.0과 Amos 21.0, M-plus 6.1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모형의 적합도는 RMSEA=.059, TLI=.932, CFI=.944로 적합도 지수의 기준값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와 사회적지지만이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로 나타났으나 인지기능과 자아존중감은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 중 사회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중장년의 성공적 노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성공적 노화에 있어 기존 선행연구와 배치되는 결과이며 생애주기에 따라 성공적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름을 시사한다. 즉, 중장년은 사회적 관계망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며, 일을 통해 본인의 정체성과 의미를 확립하고 있음에 따라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를 촉진시키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의 상황적 맥락이 반영된 중장년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화의 모형을 탐색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