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ement and Practices of Workaholism for Korean Workers

일중독 측정과 실태

  • Received : 2018.01.10
  • Accepted : 2018.02.21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Workaholism refers to a state in which work is the center of self, a state in which other life other than work is deemed worthless, and a state in which one feels that his or her life ends when things get lost. There are concerns that South Korea's work-centered institutions, cultures and long-time labor practices expose workers to workaholism. This study identifies the prevalence of workaholism and its risk factors among workers using a representative sample from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f the wide range of workaholism showed that 7.0% of Korean workers were work-addicts. Male, workers working long hours, daily workers, employers, the self-employed were more likely to be work-addicts. Those who think that workload is high beyond regular working hours are more likely to be work-addicts. These results were also confirmed by regression analysis. It suggests that policies to shorten working hours and strengthen job and income stability can reduce the risk of workaholism and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일중독은 일이 곧 자아의 중심이며 일 이외의 다른 삶은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는 상태, 일이 없어지면 자신의 삶도 끝난다고 느끼는 특성을 지칭한다. 한국의 일중심 제도와 문화, 장시간 노동 관행은 근로자들을 개인, 가정, 사회, 조직의 다양한 차원에서 부정적인 일중독 위험에 노출시킨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7차 조사가 실시한 일중독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대표성 있는 표본을 가지고 우리나라 취업자의 일중독을 측정하고 실태를 분석했다. 일중독 현상의 광범위성과 위험 집단 및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취업자의 7.0%가 일중독자이며, 일중독자의 비중이 높은 집단은 남성, 엄격한 성별분업관념을 가지고 있는 근로자, 40대, 별거 이혼 사별한 사람, 주당근로시간이 길수록, 일용직과 고용주 혹은 자영업자였다. 정규 근로시간에 비해 업무량이 많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일중독 비중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회귀분석을 통해서도 재확인되었다. 연령, 성별분업 관념, 근로시간, 업무량 부하 정도, 종사상 지위는 일중독 확률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성별분업 인식 개선, 소득 안정성 강화, 근로시간 단축, 적정 업무량 관리를 통한 인력 운용이 일중독 위험을 낮추고 일과 생활의 균형을 도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