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김유리 (한라대학교 교직과정부)
  • Received : 2018.09.18
  • Accepted : 2018.10.22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care and parental overprotection perceived by adolescence, their ego-resili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or this purpose, a total 2,002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e seventh data sets of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KCYPS). More specifically, samples were composed of 1st graders in middle schools(n=2,002). As a result, first, the perceived parental car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ego-resilience. Second, the perceived parental overprotection had effects on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mediated by ego-resilience. But the effect of parental overprotection was less than the effect of parental care. This study implies that parental care attitude and ego-resilience play important roles in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adolesc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2010 자료 중 초등학교 1학년 패널 7차년도 자료(중학교 1학년생, 2,002명)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양육태도의 돌봄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돌봄 양육태도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나, 그 영향력은 돌봄 양육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가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자녀를 양육할 때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자아탄력성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요인임을 밝혔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정임, 최정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계획 및 시간관리 전략이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제43권, 제4호, pp.221-244, 2012.
  2. B. J. Zimmerman,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B. J. Zimmerman, & D. H. Schunk (Ed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Y: Springer-Verlag, 1989.
  3. A. Wigfield, J. Eccles, and P. R. Pintrich, Development between the ages of 11 and 25. in D. C. Berliner & R. C. Calfee(Eds).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pp.148-185), NY: Simmmon & Schuster Machmllan, 1996.
  4. S. G. Paris and P. S. Newman, "Developmental aspects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25, No.1, pp.87-102, 1990.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7
  5. 김영민, 임영식, "민주적 양육방식, 자아탄력성 및 휴대전화의존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구조모형검증," 한국청소년연구, 제23권, 제2호, pp.273-299, 2012.
  6. 양혜진,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청소년의 분노형태," 사회과학논문집, 제24권, 제1호, pp.157-177, 2005.
  7. G. Parker, H. Tupling, and L. B. Brown, "A parenting bonding instrument," Brir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Vol.52, No.1, pp.1-10, 1979. https://doi.org/10.1111/j.2044-8341.1979.tb02487.x
  8. M. D. S. Ainsworth and S. M. Bell, "Attachment, exploration, and separation: Illustrated by the behavior of one-year-olds in a strange situation," Child Development, Vol.41, No.1, pp.49-67, 1970. https://doi.org/10.2307/1127388
  9.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Attachment, NY : Basic Books, 1969/1982.
  10. 정정애,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1권, 제3호, pp.1191-1202, 2010.
  11. 최진아,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 및 교사관계가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제18권, 제1호, pp.1-13, 2014.
  12. 유미영, 홍혜영,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4호, pp.915-937, 2010.
  13. 임선아, "(구조관계모형 검증을 통한) 부모의 민주적, 비민주적 양육태도가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학교적응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초등교육연구, 제27권, 제2호, pp.73-93, 2014.
  14. 이은경, 이선희, "부모의 과잉간섭과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제22권, 제4호, pp.543-563, 2014.
  15. 김원영, 서봉언, 김경식, "과보호 양육,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위축이 남녀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제51호, pp.41-69, 2017.
  16. 정미경,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발달경향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제10권, 제2호, pp.79-99, 2011.
  17. 이현주, 권수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347-35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347
  18. J. H. Block and J. Block,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Ed.),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Hillsdale, NJ: Erlbaum, Vol.13, pp.39-101, 1980.
  19. 민동욱, 강한나, 박혜원,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학습습관 간의 관계 : 부모양육태도의 상호작용효과," 인간발달중재학회지, 제3권, 제2호, pp.65-79, 2012.
  20. A. S. Masten,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Vol.56, pp.227-238, 2001.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27
  21. H. Waters and E. Waters, "The attachment working models concept: among other things, we build script-like representations of secure base experiences,"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Vol.8, No.3, pp.85-197, 2006.
  22. 조용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애착과 스마트폰 과용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3.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1: Attachment, NY : Basic Books, 1969.
  24. 김현진,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장기적 매개효과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30-40,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0.030
  25. 박지현, 서상완, 정지희, 이사사, 장성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pp.107-126, 2010.
  26. 신구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7. 김선희, 남녀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모의 과보호, 심리적 분리 및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8. 송인섭, 현장적용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서울:학지사, 2012.
  29. J. Block and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2, pp.349-361,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30. J. Block and J. H. Block, "Venturing a 30-year longitudinal study," American Psychologist, Vol.61, No.4, pp.315-327, 2006. https://doi.org/10.1037/0003-066X.61.4.315
  31. 구형모, 황순택, 김지혜, "자아탄력집단의 성격특질,"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0권, 제3호, pp.569-581, 2001.
  32. J. B. Kilka and T. I. Herrenkohl, "A review of developmental research on resilience in maltreated children," Trauma, Violence, & Abuse, Vol.14, No.3, pp.222-234, 2013. https://doi.org/10.1177/1524838013487808
  33. 이윤주, 신지연,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부적응, 부모양육태도의 관계," 사회과학논총, 제5권, pp.111-127, 2006.
  34. 이은미, 박인전, "부모자녀 유대관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제7권, 제1호, pp.3-24, 2002.
  35. 장휘숙, "정신병리를 차단하는 요인으로서의 탄력성," 한국심리학회지, 제10권, 제1호, pp.43-60, 2001.
  36. 임효진, 김재철, "중학교 학생들의 성취가치, 자기조절, 학업적응과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6호, pp.161-190, 2014.
  37. H. N. Snyder and M. Sixkmund, Juvenile offenders and victims: 1999 National report, Washington, DC: U. S., 1999.
  38. B. J. Zimmerman and M. Martinez-Pons,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23, No.4, pp.614-628, 1986. https://doi.org/10.3102/00028312023004614
  39. A. M. Armstrong,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skill through the modeling and structuring of computer program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Vol.37, No.2, pp.69-76, 1989. https://doi.org/10.1007/BF02298291
  40.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 척도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41. 유성경, 심혜원,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제16권, 제4호, pp.189-206, 2002.
  42.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43. 김세영,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수준에 따른 인터넷 활용 유형, 자기통제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4. 홍세희, 황매향, 이은설,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잠재평균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9권, 제4호, pp.1159-1177, 2005.
  45. 박순주, 심혜원,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자기조절학습이 빈곤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2호, pp.113-135, 2012.
  46. 김아영, 차정은, "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양육행동 지각,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분석: 자기조절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3호, pp.563-582, 2010.
  47. 조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방식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5권, 제1호, pp.35-50, 2012.
  48. 소수연, 안지영, 양대희, 김경민, "초기 청소년기의 변화에 대한 부모-자녀의 인식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22권, 제1호, pp.247-279, 2014.
  49. 김경하, "부모의 방임 및 학대와 청소년의 학교 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413-423,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4.413
  50. 김원, 박은아, 천성문,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제8권, 제2호, pp.123-142,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