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amina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 Readiness for Smart Learning in Special Schools and Classes and the Actual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스마트교육 환경 조성 및 특수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 실태

  • 김정수 (국립특수교육원 기획연구과) ;
  • 김석진 (국립특수교육원 연수과)
  • Received : 2018.08.13
  • Accepted : 2018.10.04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ysical environmental readiness for smart learning and the actual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suggest ways to vitalize smart education. For this, a 14-item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hich touched upon issues regarding the availability of wireless internet service and teachers'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a randomly chosen sample of 991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ross the nation, including teachers who work at special schools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nd in special classes at all three levels of regular school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method of a cross-time-frequency analysis using a SPSS 21.0 statistics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both special schools and classes had a poor smart education environment an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having a harding time because of the lack of the infrastructure and additional expenses. In addi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use smart device mostly for the purpose of motivating students. These research findings propose that it is urgent to set up a proper smart education environment for special needs students and to provide a systematic training program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본 연구는 전국 특수학교(급)의 스마트교육 환경 조성 및 특수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 실태를 파악하여 스마트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급)의 무선 인터넷 구축, 특수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 등에 관한 14문항의 설문을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발달장애 특수학교와 초 중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특수교사 9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학교(급) 모두 스마트교육을 위한 환경이 열악하고 교사들은 기반시설 부족, 추가비용의 발생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교(급) 교사들은 교과시간의 도입부분에 동기유발을 목적으로 스마트기기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스마트교육 환경의 구축과 교사 지원을 위한 시스템 마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전략, 교육과학기술부, 2011.
  2. 노선옥, 우이구, "한국의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 현황과 향후 과제,"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pp.201-225, 2016.
  3. 이태수, 김정수, "장애학생의 스마트러닝을 위한 특수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4권, 제1호, pp.259-283, 2013.
  4. 강민채, "스마트교육에 대한 예비특수교사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18-28,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1.018
  5. 손지영,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 및 효과에 대한 국내 연구 고찰," 특수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pp.79-105, 2013.
  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7. 신승춘, "스마트사회의 정보화역기능: 정보취약계층의 정보격차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9권, 제3호, pp.63-73, 2011.
  8. 대전광역시교육청, 국립특수교육원,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적용 수업 사례 연구 자료집, 국립특수교육원, 2014.
  9. 고진복, 양지현, 전병운, "특수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교수매체 활용 실태와 스마트러닝 교수매체에 대한 인식 조사," 재활과 복지, 제17권, 제3호, pp.205-233, 2013.
  10. 주용진, 유장순,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특수교육 재활과학연구, 제53권, 제3호, pp.231-254, 2014.
  11. 김경신, 김미경,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특수교사들의 활용실태 및 요구조사: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지적장애연구, 제16권, 제3호, pp.153-174, 2014.
  12. 최진성, 권순황, "특수교사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활용 실태 및 태도," 지적장애연구, 제17권, 제3호, pp.239-260, 2015.
  13. 임병노, 김민태, 최성기, 신수범, 차남주, 이승진, 변용완, 류진선, 임영아,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이슈사항 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14. 박유리, 김민식, 이기훈, 스마트 기기 이용행태실증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1.
  15.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용어사전, 하우출판사, 2009.
  16. 교육부, 2018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18.
  17. 김영표, 김태준, "스마트러닝 실태에 대한 교사인식에 따른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스마트러닝에 관한 태도 및 요구," 유아특수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pp.125-145, 2012.
  18. 김정수, 이태수,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증강현실 과학교육 콘텐츠 구현 및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720-73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720
  19. 김태준, 이태수, "특수교사의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7호, pp.38-48,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7.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