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ocietal Phenomenon of 'Single-Person Household', Media Representations and Cultural Implications: A Semiotic and Discourse Study on of tvN

1인 가구 현상, 미디어 재현, 문화적 함의: TV 드라마 <혼술남녀>에 대한 기호학과 담론 분석

  • 백진주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백선기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8.08.14
  • Accepted : 2018.09.21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Recently,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 is increasing rapidly. It brings about changes in the societal cultural aspect. Examples of television programs focused on their lifestyle provoked the societal attention as a important social agenda. This research investigated to figure out inherent ideologies in of tvN through Semiotic and Discourse analyses. As a result, predominant ideologies were revealed on the basis of representations of such single-person households. The authors also tried to find out how the media represent attitud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figure out how the media approach their ways of lives on bases of specific discourses and ideologies.

최근 한국 사회에서 1인 가구의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사회 경제 문화적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2010년대 이후 1인 가구의 생활상을 주소재로 한 방송 프로그램들이 다수 방영된 사례를 통해 1인 가구가 하나의 사회 문화적 현상으로 주목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tvN 드라마 <혼술남녀>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서사구조 분석, 계열체 분석, 행위주 분석 등 기호학적 분석방법들과 담론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1인 가구를 소재로 한 드라마에 내재된 이데올로기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청년세대 1인 가구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구성하는 서사구조와 갈등 관계, 담론을 통해 1인 가구의 특성을 발견하였고, 그러한 특성들에 내재된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발견하였으며,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사회 현상에 대한 문화적 함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2015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자료, http://meta.narastat.kr/
  2. 서정렬, 1인가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3. 백승민, 김민지, "1인가구 담론과 인권," 한국사회학회 사회확대회 논문집, pp.99-114, 2016.
  4. 김동환, "1인 가구 특성이 주택입지 및 주택시설 중요도에 미치는 영화-위계적 2차 모형 및 상호 작용 모형을 중심으로," 住居環境, 제14권, 제4호, pp.195-213, 2016.
  5. 정희순, "한일 양국 1인가구의 사회구조적 특징 연구," 한국일본어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496-501, 2011.
  6. R. Ronald, O. Druta, and M. Godzik, "Japan's urban singles: negotiating alternatives to family households and standard housing pathways," Urban Geography, Vol.39, No.7, pp.1018-1040, 2018. https://doi.org/10.1080/02723638.2018.1433924
  7. J. Raymo, "Living alone in Japan," Demographic Research, Vol.132, No.46, pp.1268-1294, 2015.
  8. 김미경, 김지은, "'나홀로 여행' 동기에 따른 제약 요인 인식과 참여의도 차이 연구," Tourism Research, 제41권, 제3호, pp.1-17, 2016.
  9. 김종선, 김태균, 이창현, 진변석, 경박한 시사 경제 톡, 팬덤북스, 2017.
  10. 우지혜, 백선기, "청년 안에서 바깥으로: 미메시스이론을 근간으로 1990년대와 2010년대 청년세대의 저항 및 욕망과 대중음악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2, p.555, 2018.
  11. 김도향, 1인 가구의 부상과 솔로이코노미, 디지에코 보고서: KT경제경영연구소, 2014.
  12. E. Klinenberg, Going Solo, 안진이(역), 고잉 솔로: 싱글턴이 온다, 더퀘스트, 2013.
  13. 김연옥, "1인 가구 시대의 도래: 특성과 생활실태," 한국가족복지학, 통권 52호, pp.139-166, 2016.
  14. 홍성철, "1인 가구의 증가와 미디어 소비 행태 분석,"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16권, 제3호, pp.59-84, 2015.
  15. 김혜영, "유동하는 한국 가족: 1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제15권, 제2호, pp.255-292, 2014.
  16. 양진연, "대학생의 자기오락화능력, 교과목만족, 교수만족, 전공만족과의 영향 관계 연구," Tourism Research, 제41권, 제4호, pp.149-168, 2016.
  17. 이호길, "'홀로여행객'의 자기오락화와 여가몰입과의 관계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26권, 제5호, pp.20-31, 2017.
  18. 홍지아, "TV드라마를 통해 재현된 여성의 몸 담론,"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49호, pp.122-143, 2010.
  19. 김수아, 강명구, 우위지에, 차이판, "가족관계의 변이: 한중 텔레비전에 나타난 가족관계의 재현," 방송통신연구, 통권 65호, pp.143-173, 2007.
  20. 서정렬, 1인 가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21. 김형우, "1인 가구와 방송 트렌드 변화," 미디어와 교육, 제5권, 제1호, pp.152-171, 2015.
  22. 장윤재, 김미라, "정서적 허기인가 정보와 오락의 추구인가: 먹방.쿡방 시청동기와 시청경험, 만족도의 관계," 한국방송학보, 제30권, 제4호, pp.152-185, 2016.
  23. 김재민,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결혼이주여성 이야기의 서사구조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24. 추다경, 미디어를 통한 역사 재현이 갖는 정치, 사회, 문화적 함의, 성균관대학교 문화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5. 백선기, 미디어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26. 나은희, 드라마 <미생>의 서사, 신화 및 의미구조,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7.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2003.
  28. 서정철, 기호에서 텍스트로: 언어학과 문화 기호학의 만남, 민음사, 1998.
  29. 백선기,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30. 오덕현, TV 사극의 역사재현과 저항적 의미생산,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1. 강민경, 탈북자, Talk show, 담화 및 담론: <이제 만나러 갑니다>와 <모란봉 클럽>의 담론분석,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2. 강민경, 백선기, 남시호, "문화적 양극화, 탈북자 토크쇼, 정체성 혼란 : <이제 만나러 갑니다>와 <모란봉 클럽>에 대한 담화 및 담론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 p.572, 2017.
  33. 안경희, 백선기, "교복 광고, 섹슈얼리티와 문화간 함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p.614, 2017.
  34. 백선기,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35. 김광현, "이데올로기: 통시적 및 공시적 고찰," 기호학연구, 통권 17호, pp.115-134, 2004.
  36. 강금량, TV 토크쇼에 나타나는 지배적 신화와 이데올로기 분석,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7. 백선기, 보도비평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