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강호, & 마상진. (2011). 농업인력육성사업의 경제적 수익 효과: 후계농업경영인육성사업을 중심으로. 농촌경제, 34(4), 41-58.
- 김정섭. (2014). 귀농인의 사회.경제 활동과 함의. 농촌지도와 개발, 21(3), 53-89.
- 김정섭, & 김종인. (2017). 귀농.귀촌 인구 전망과 정책 방향. 농촌지도와 개발, 24(1), 33-48.
- 김종인, & 김정섭. (2016). 일본의 청년 신규 취농 지원 정책과 시사점. 농촌지도와 개발, 23(2), 115-122.
- 김진호. (2013). 4-H청소년 서울현장체험학습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청소년인증수련활동 효과성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0(3), 729-753.
- 농림축산식품부. (2017). 청년창업농 육성대책. 보도자료.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 마상진, 정은미, & 김경인. (2017). 고령화시대 청년 창업농업인 육성체계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명수환, 여민수, & 홍승지. (2017). 후계농업경영인의 농업경영회계기록 활성화 방안. 농업경영.정책연구, 44(3), 612-637.
- 박덕병, & 이민수. (2015). 농촌교육농장 방문객의 선호체험과 교육적 효과 간의 정준상관관계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3), 63-81.
- 박규근, 이도진, & 이선하. (2002). 농업계 고등학교의 교육 농장 운영 실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4(3), 21-38.
- 임형백. (2008). 한국 농업인력육성의 방향 전환. 농촌사회, 18(1), 207-240.
- 오해섭, & 김정주. (2002). 농업후계인력 육성을 위한 농촌청소년교육 및 지원방향. 한국농촌지도학회지, 9(2), 185-197.
- 진종순. (2010). 여성 농업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성별영향 평가. 지방정부연구, 14(4), 87-106.
- 최영창, 박은식, 고정숙, & 조영숙. (2007). 청년농업인 육성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농촌지도 공무원들의 의식조사 내용을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4(2), 351-371.
-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2015). 도시청년 농촌유입을 위한 농산업 창업지원 계획(안), 예산: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2015). 2016년 충청남도 귀농인 육성.지원 계획. 예산: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 충청남도 농업정책과. (2018). 충청남도 3농혁신 백서. 예산: 충청남도 도청.
- 충청남도 정책기획관. (2015). 충남형 청년정책 구상. 예산: 충청남도 도청.
- 충청남도 친환경농산과. (2018). 2018년 친환경 청년농부육성 계획. 예산: 충청남도 도청.
- 통계청. (2005, 2010, 2015). 농림어업총조사. 대전: 통계청.
- 황인욱, 이소영, 주진수, 양주환, & 김종숙. (2017).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성공 특성 및 영농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우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5(1), 21-45.
- Inwood, S. M., & Sharp, J. S. (2012). Farm persistence and adaptation at the rural-urban interface: Succession and farm adjustment. Journal of Rural Studies, 28, 107-117. https://doi.org/10.1016/j.jrurstud.2011.07.005
- Koutsou, S., Partalidou, M., & Ragkos, A. (2014). Young farmers' social capital in Greece: Trust levels and collective actions. Journal of Rural Studies, 34, 204-211. https://doi.org/10.1016/j.jrurstud.2014.02.002
- Leonard, B., Kinsella, A., O'Donoghue, C., Farrell, M., & Mahon, M. (2017). Policy drivers of farm succession and inheritance, Land Use Policy, 61, 147-159. https://doi.org/10.1016/j.landusepol.2016.09.006
- Miles, M., & Huberman. A.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London: Sage.
- Onwuegbuzie, A. J., & Weinbaum, R. K. (2016). Mapping Miles and Huberman's within-case and cross-case analysis methods onto the literature review process. Journal of Educational Issues, 2(1), 265-288. https://doi.org/10.5296/jei.v2i1.9217
- Zagata, L., & Sutherland, L-A. (2015). Deconstructing the 'young farmer problem in Europe': Towards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Rural Studies, 38, 39-51. https://doi.org/10.1016/j.jrurstud.2015.01.003
피인용 문헌
- 청년농업인의 농업경영 특성과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vol.26, pp.3, 2019, https://doi.org/10.12653/jecd.2019.26.3.0143
- 청년농업인의 거주지역 선택 결정요인 vol.26, pp.4, 2019, https://doi.org/10.12653/jecd.2019.26.4.0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