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Vedāntic Perspective on Philosophy for Old Age

노년 철학에 관한 베단따의 전망

  • Received : 2018.01.08
  • Accepted : 2018.02.22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philosophy for old age' when humanity begins to reflect on old age in earnest as our country shifts to the aged society. In particular, this article aims to reframe $Ved{\bar{a}}ntic$ philosophy, i.e. a beacon of Hindu philosophy as a model of philosophy for old age, on the assumption that liberation-oriented Hindu philosophies in India can be the most suitable model to frame and apply philosophy for old age mainly at the individual level. First of all, this article identifies that liberation-oriented Hindu philosophies are nothing but a philosophy for the later part of one's life, that is, a philosophy for old age, showing that their common thoughts are very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old age. Then, it proves that three points of $Ved{\bar{a}}ntic$ philosophy, i.e. spirit supremacy, the world as an illusion, and freedom from all relations, are fully compatible with philosophy for old age. Finally, it argues that the tradition of Hindu saṃnyāsin (wonderer) embodied to the extreme in $Ved{\bar{a}}ntic$ philosophy is to establish 'old age for philosophy' beyond 'philosophy for old age.' Because $Ved{\bar{a}}ntic$ philosophy establishes saṃnyāsin of old age, which is optimized to strive for the truth as the confident subject of philosophical inquiry, so much that it exists more 'by old age' than 'for old age.' After all, according to $Ved{\bar{a}}ntic$ philosophy, as ontological and practical positivity is maximized in old age, so old age itself can be the best position to overcome not 'negativity of old age', but 'negativity of human condition' or 'negativity of life.'

이 글은 고령시대에 진입한 우리나라에서 노년에 관한 인문학적인 성찰이 본격화되는 시점에 '노년 철학'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해탈을 목표로 삼는 인도의 힌두철학이 주로 개인적 차원에서 노년철학을 구성하거나 적용하는 경우에 최적의 모형일 수 있다고 가정한 채 힌두철학의 대표주자인 베단따 철학을 노년 철학의 한 모형으로 재구성해 보려고 한다. 우선 해탈 중심적인 힌두철학의 공통적 사유가 노년의 특성과 매우 흡사하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그 철학이 인생의 후반기를 위한 철학 즉 '노년을 위한 철학'이라는 것을 규명한다. 그러고 나서 베단따 철학의 정신 우월주의, 세계 환영설, 무관계의 해탈론이 노년 철학에 잘 부합할 수 있는 특성이라는 것을 증명한다. 마지막으로 베단따 철학에서 가장 잘 구현되어 온 힌두교의 산냐신(진리유랑자) 전통이 '노년을 위한 철학'을 넘어 '철학을 위한 노년'을 정립한다고 역설한다. 베단따 철학은 '노년을 위해' 존재한다기보다 '노년에 의해' 존재한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진리 탐구에 최적화된 존재인 노년의 산냐신을 철학적 탐구의 당당한 주체로 확립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베단따 철학에 따르면, 존재론적으로 또 수행론적으로 긍정성이 극대화되는 시기인 노년 그 자체는 노년의 부정성이 아니라 인간 조건의 부정성 또는 삶의 부정성을 극복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