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
DOI QR Code
에너지전환 과정에서 태양광 발전시설 입지에 따른 지역주민과의 갈등 문제가 사회적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음에도 사회적으로 수용되지 않는 갈등상황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농촌지역에 입지하는 소규모 태양광 시설에 반대하는 갈등의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수용성 있는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12월에서 2018년 3월 사이에 충북 옥천군에서 대표적 갈등사례 4개를 표집하고, 연구참여자 38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장소애착이론을 통해 기존 접근이 포괄하지 못하는 입지반대의 주관적 배경을 보다 폭넓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개인적 맥락에서는 장소정체성과 장소의존성, 공동체적 맥락에서는 공유한 역사, 자치와 소속감, 경제적 관심, 정치적 관심, 자연적 맥락에서는 자연으로부터의 정체성, 자연관리의 경험, 환경적 결과의 차원에서 주요한 반대 이유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태양광 시설 확대를 위해서는 기술적 우려 해소, 참여제도 설계, 보상, 경관과의 조화 등을 충분히 마련하여 사회적 수용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Local opposition against the construction of solar power facilities is a growing social issue in the context of renewable energy expansion in Korea. Local opposition, despite solar power generation being an environmentally-friendly and safe energy source, is an issue that requires diagnosis. This study examined the features of opposition against the location of small scale solar power panels developed in rural areas and draws policy suggestions to increase local acceptance. Four cases representing local conflicts have been selected from the period starting in December 2017 to March 2018 in Okcheongun, Chungbuk Province. In order to analyze those cases, a total of 38 local residents and stakeholders were interviewed. This study analyzes the reason of opposition against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in their neighborhood based on the place attachment theory. As a result, the grounds of opposition are specifically found in three place attachment dimensions: place identity and place dependence in personal contexts; shared history, self-governing and membership, economic concerns and political concerns in community contexts; identity from nature, experiences of management on nature, environmental consequences in natural contexts.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increasing local acceptance such as the resolution of technological concerns, a local participation system, adequate compensation measures and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