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vercoming Over-Politicization and Extreme Polarization of North Korean Issu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nflict Transform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북한문제의 과잉정치화와 극단적 양극화 분석: 갈등전환(Conflict Transformation)의 제도화 모색

  • Published : 2018000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lay the groundwork for overcoming extreme polarization due to over-politization of North Korean issue by applying an approach based on the concept of 'conflict transform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North Korea's intervention in 'South-South conflict' and the structure of conflict in South Korean society. First of all, it analyzed how North Korea intervened in the two presidential elections in 2007 and 2012, the 'candlelight protest' in 2008, and the 'candlelight protest' in 2014 that were conducted in South Korean society.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articles published by North Korea's official media, the Rodong Sinmun. It also analyzed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s intervention in South-South conflict, also substance and cause of extreme polarization and over-politization of North Korean issue in South Korean society in terms of conflict context, relations, and memories. As a result, not only inter-Korean relations but also relations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forces in South Korean society need to be reset to overcome them. And based on these new relationship settings, it is evident that reconstruction of mutual memory and sharing work are requir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tried to incorporate existing researches while compensating the limitation of existing researches through a conflict transformation approach.

본 연구는 북한의 남남갈등 개입과 이를 둘러싼 한국사회의 갈등구조를 '갈등전환' 개념에 입각한 접근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북한문제의 과잉정치화로 인한 극단적 양극화의 극복방안을 모색하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다. 우선 한국사회에서 진행된 2007년과 2012년 두 차례의 대선 국면과 2008년 광우병 문제로 전개된 촛불집회 국면, 그리고 2014년 세월호 사건으로 진행된 촛불집회 국면에서 북한이 어떻게 개입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의 공식 매체인 『로동신문』이 게재한 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북한의 남남갈등 개입 양상과 성격, 한국사회에서 북한문제의 과잉정치화와 극단적 양극화의 실체와 원인을 갈등의 맥락, 관계, 기억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남북관계뿐만 아니라 한국사회 내 보수-진보세력 간 관계의 재설정이 필요하고, 이러한 새로운 관계설정을 바탕으로 한 상호 기억의 재구성 및 공유 작업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갈등전환적 접근을 통해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함과 동시에 종합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