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가정 내 사회적 자본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ype and Characteristics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of Adolescents

  • 신근화 (경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8.10.01
  • 심사 : 2018.12.27
  • 발행 : 2018.12.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adolescents social capital by using Q methodology, to improve the adaptation of adolescents to school, and to contribute to the theory of social capita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ve types were derived. Type I was abundance, type II was family ceremony type, type III was discipline, type IV was exchange type, type V was trust type'. Based on the above five typ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capital types of school adolescents are as follows: First, Type I includes social capital elements in various areas with abundant social capital elements relative to other types. Second, Type III is the weakest type of support among family members among the social capital elements in the family. Emotional interactions in parent - child relationship are cut off. Type II, however, is more emotional Support is the strongest type. Third, types II, IV, and V are parents love and affection for their children and they are very interested in children. Types III, IV, and V are parents It can be seen that it acts as a guide and an advisor. Finally, we can see that the five commonalities share a minimum parental interest in childre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아 (2007).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35. 145-165.
  2. 권재기 (2011).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의 발달양상과 내면화, 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 한국아동복지학, 34, 95-126.
  3. 김경근 (2000).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아동의 학업성취. 교육사회학연구, 10(1), 21-40.
  4. 김경식, 이현철 (2007). 청소년 비행의 영향 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7(2). 1-22.
  5. 김경식, 이현철 (2010). 사회적 자본으로서 부모, 교사, 교우관계와 학업성취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중등교육연구, 58(1), 203-225.
  6. 김경식, 최성보, 이현철 (2009). 사회적 자본과 학교적응과의 관계-가족, 학교, 지역사회 내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25(2), 60-83.
  7. 김두환 (2005). 교육목표의 관계적 동조와 학업성취-지위획득 연구의 새 방향. 교육사회학연구, 15(1).
  8. 김리재 (2013).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선희 (2005). 청소년기 스트레스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모감독 및 자아개념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세연 (2012). 가정 내 사회적 자본과 가정배경이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은정 (2006). 가정의 물적.인적 사회자본과 자녀의 학업성취 사이의 관계: 사회자본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제3회 한국청소년패널 학술대회논문집, 3-29.
  12. 김태균 (2007). 가정 내 사회적 자본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제4회 한국청소년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805-824.
  13. 김태균 (2008).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청소년의 학업성취와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5(1), 59-80.
  14. 김헌수, 원유미 (2000). Q 방법론. 파주: 교육과학사.
  15. 김흥규 (2007). P표본의 선정과 Q소팅. 주관성 연구, 15, 5-19.
  16. 박승곤, 김수정, 문성호 (2013).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지역별 차이 분석. 청소년학연구, 20(4), 199-224.
  17. 박희훈 (2014).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이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방하남, 김기헌 (2001). 변화와 세습. 한국사회학, 35(3), 1-55.
  19. 방하남, 김기헌 (2005). 고등교육 진학에 있어 가족배경의 영향과 성별 격차. 한국사회학, 39(5), 119-151.
  20. 백봉렬 (2012). 청소년의 자아존감, 사회성, 학교적응유연성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백혜영 (2017). 빈곤이 부모우울과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을 통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아동과 청소년의 다집단 분석. 학교사회복지, 38.
  22. 서봉언 (2009). 가정내 사회적 자본과 자아개념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신원영 (2010).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자아존감과의 관계: ARCL모델을 적용한 종단연구. 한국아동복지학, 32, 7-32.
  24. 신원영, 강현아 (2008). 빈곤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 연구, 15(4), 57-87.
  25. 신은주 (2013).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안우환 (2004). 가족 내 사회 자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양숙경, 문혁준 (2009).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과 자아탄력성의 영향. 가족과 환경연구, 47(7), 59-71.
  28. 염소림, 최유석 (2014).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9), 255-266.
  29. 원지영 (2009).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녀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 연구, 16(9), 125-150.
  30. 이경은, 주소희 (2008). 가족내외의 사회자본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0(2), 113-131.
  31. 이다은 (2007).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가정의 사회적 자본 영향 분석.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이동호 (2012). 청소년 스트레스가 우울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 부모감독 및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국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이정선, (2001).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사회, 문화적 관계: 콜맨의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 연구, 4(2), 147-181.
  34. 이재영, 공태명 (2010). 가정.학교.지역사회 사회자본과 청소년 일탈행동. 사회과학 연구, 17(3), 61-82.
  35. 이충환 (2016).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자기통제력과 사회자본의 영향연구-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사용하여 -. 교정복지연구, 43.
  36. 임선아 (2014). 부모의 긍정적 태도가 자녀의 자존감을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9), 79-100.
  37. 장은지 (2017). 가정 내 사회적 자본과 학업성취간의 관계에서 학교 내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전경하, 송 순 (2013). 가족내.외의 사회적 자본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연구-자아탄력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1), 143-165.
  39. 최지은, 신용주 (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 환경연구, 41(2), 199-210.
  40. 황숙영 (2007). 부모애착, 부모감독, 또래관계가 중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이충환 (2016).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자기통제력과 사회자본의 영향연구 -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사용하여 - , 교정복지연구, 제43호.
  42. Bourdieu, P. (1986). The Form of Capital. In A. H. Halsey, H. Lauder, P. Brown, & A. S. Wells(ed.), Education : Culture, Economy, Society: 85-95, N.Y.: Oxford University Press Inc.
  43. Braatz ,J., Putnam, R. D. (1996). Families, communities, and education in America: explore the evidence.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ED) 412637.
  44. Brown, S. R. (1980).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45. Brown, S. R. (1995). Q methodology as the foundation for a science of subjectivity. Th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Chicago: University of Illonois Press.
  46. Bubolz, M. M. (2001). Family as Source, User and Builder of Social Capital. Journal of Socio-Economics, 30(2), 129-131. https://doi.org/10.1016/S1053-5357(00)00091-3
  47.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of human ca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0. https://doi.org/10.1086/228943
  48. Coleman, J. S. (1990). The foundation of social theory. Cambridge MA: Havard University Press.
  49. Coleman, J. S. & Hoffer, J. B. (1987). Public and private school: the impact of community. New York: The Free Press.
  50. Field. J. (2003). Key ideas: Social Capital. London: Routledge.
  51. Kerlinger, F. N. (1986). Foundation of behavioral research. NY: CBS Colleage Publishing.
  52. Mckeown & Thomas. (1988). Q Methodology. Newbury Park: Sage Pub.
  53. Mclanahan, S. & Sandefir, G. (1994). Growing up with a Single Parents: What Hurts, What helps. Cambridge. MA; Havard University Press.
  54. McNeal, R. B. Jr. (1990). Parental investment as social capital: Differential effectiveness on science achievement, truancy and dropping out. Social Forces. 78, 117-144.
  55. McNeal, Ralph B. Jr. (2001). Diffrerntial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Cognitive and Behavioral Outcomes by Socioeconomic Status. Journal of Socio-Economics, 30: 171-179. https://doi.org/10.1016/S1053-5357(00)00100-1
  56. Parcel, T .L., Dufur ,M. J. (2001). Capital at home and at school: effects on child social 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 32-47.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1.00032.x
  57. Putnam, R. (1995).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6(1). 65-78.
  58. Rosenzweig, C. J. (2000). A meta-analysis of parention and school success: the role of parents in promoting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fstra University.
  59. Stephenson, W. (1953). The Study of Behavior: Q 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Chicago: University Chicago Press.
  60. Wright, J., Cullen, F., & Miller, J. (2001). Family social capital and delinquent involvement.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9(1). 1-9. https://doi.org/10.1016/S0047-2352(00)00071-4
  61. Zick, C. D., Bryant, W. K., & Osterbacka, E. (2001). Mother's employment, parental involvement, and the implications for intermediate child outcomes. Social Science Research, 30(1), 25-49. https://doi.org/10.1006/ssre.2000.0685